발간물박스 전체안전충북포커스재난안전브리프재난안전정책연구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재난선제대응Signal CRI연구원들이 각 분야의 전문보고서를 제공합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7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게시물 목록 안전충북포커스(2023/No.15) 관련키워드 보행안전보행사고충청북도교통연수원 연구진 : 충청북도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360 목차 CONTENTSPrepare Now for Survival !![기획] 보행안전04 – 충청북도 보행사고 현황과 보행쾌적성 향상 방안10 - 국가 보행안전 정책16 – 충북의 교통안전 정책방향 - 제4차 충청북도 교통안전기본계획을 중심으로 - 30 – 보행 안전 정책과 데이터의 진화[도민 돋보기]40 – 2023 충청북도 도민안전인식 조사 결과 [재난안전정책지도]48 – 충청북도 보행자사고의 공간적 특성 분석 [Fact Check!]54 – 충청북도 보행사고 발생현황 [재난안전기관탐방]56 - 충청북도교통연수원66 – CSRI NEWS 다운로드 2023 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 - No.2 도시침수 관련키워드 도시침수국지성집중호우비피해침수사고침수위험자동예측 연구진 :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426 요약 ▶ 서론: 최근 이상기후,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피해가 발생하는 등 인명 및 재난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 특히, 각 기관 발표자료에 의하면 장마철 기간의 변동성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기존보다 강수량이 더 많은 극한 기상이 나타나고 있음. 충청북도에서는 2023년 7월 청주 오송읍 궁평2 지하차도가 호우로 인해 침수된 사고가 발생함. 본 고에서는 침수 사고와 관련하여 과거에 발생한 포항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사고와 강남역 일대 침수 사고, 부산 초량 지하차도, 궁평2 지하차도에 대해 언론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방 정책대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함. ▶ 대응 방안: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강화를 위한 교육을 진행하며, 침수위험 자동 예측 IoT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난 대응 및 보고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또한, 각 기관의 역할이 달라 공조체계 구축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함. 시설물 성능 검증을 위해 디지털 트윈 등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시설물 보완 및 대피를 위한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목차 ※ 자료의 활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이메일(young@cri.re.kr)을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I. 서론 - 12. 언론에서 본 과거 도시침수 사례 - 23. 언론에서 본 궁평2 지하차도 침수사고 - 64. 발생 대응 방안 - 14참고문헌 - 17 안전충북포커스(2023/No.14) 관련키워드 산불안전산불발생현황 연구진 : 충청북도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06. 조회수 : 1,714 요약 Prepare Now for Survival !! 목차 CONTENTSPrepare Now for Survival !![기획] 산불안전04 – 산불 특성과 발생 사례12 - 과거 산불피해지 복원22 – 산불과 재난심리회복28 – 산불진화 기술[재난안전정책지도]38 – 충청북도 산불 발생의 공간적 특성 분석[Fact Check!]44 – 산불 발생 현황[재난안전기관탐방]46 - 산림항공본부56 – CSRI NEWS 다운로드 2023 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 - No.1 한파 관련키워드 2023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No.1한파 연구진 :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04. 조회수 : 1,644 요약 ▶ 필요성 및 목적: 올 겨울 전 세계적으로 이상한파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역시 강력한 한파가 일찍 시작되었고 기온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 등 새로운 한파 특성을 보였음. 특히 충북은 이번 겨울철에 한랭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게 집계되어 한파에 대한 관심 제고를 요구하였음 ▶ 한파 진단: 한파일수는 겨울철(12~2월) 중 1월에 전반적으로 빈도가 높은 특성을 보이며, 지역적으로는 강원도와 충북도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음. 충북도에서는 강원도와 인접한 지역(제천)에서 주로 많은 한파일수를 기록하였으며, 추풍령 지점의 경우 53년만에 연별 일 최저기온을 경신하였음 ▶ 대응 방안: 과학기술 근거기반 한파 예방 대책 마련과 인명 피해 및 도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한파 저감시설 확충이 필요함. 또한 국가정책과 연계 하에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를 제고하고, 한파 취약군 별 관리 대책 및 관리 인력 효율화 방안 마련이 필요함.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건강 문제의 인식 확산 및 홍보 방안 마련이 요구됨 목차 I.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2. 전국 한파 현황 분석 - 23. 충청북도 한파 진단 - 104. 한파 대응 방안 - 19참고문헌 - 24 다운로드 [2023-01] 중부내륙권 지진방재센터 설립 보고서 관련키워드 202301중부내륙권지진방재센터설립보고서 연구진 : 충청북도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2,809 목차 ※ 자료의 활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재난안전연구센터 담당자 이메일(gykim@cri.re.kr)을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Ⅰ. 서 론 ······························································································· 1 II. 센터의 설립 필요성 검토 ···································································· 7 Ⅲ. 기능과 역할 ····················································································· 55 IV. 기본구상 ·························································································· 73 V. 조직구성과 운영방안 ········································································ 91 Ⅵ. 입지환경 분석 ··············································································· 121 Ⅶ. 결 론 ··························································································· 123 다운로드 [2023-02] 충청북도 노후 공동주택 안전관리 방안 관련키워드 202302충청북도노후공동주택안전관리방안 연구진 : 충청북도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2,766 목차 ※ 자료의 활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재난안전연구센터 담당자 이메일(gykim@cri.re.kr)을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Ⅰ. 서 론 ··············································································· 01 Ⅱ. 노후 공동주택관리 법제도적 정책동향 ······································· 05 Ⅲ. 선진사례 분석 ·······································································17 Ⅳ. 충청북도 노후 공동주택 안전관리 현황분석 ······························ 25 Ⅴ. 충청북도 노후 공동주택 안전관리 방안 ····································· 33 Ⅵ. 결론 ··················································································· 43 ※ 참고문헌 ·············································································· 47 다운로드 [2023-03] 충청북도 도민안전교육의 현황 및 발전방안 관련키워드 202303충청북도도민안전교육현황발전방안 연구진 : 충청북도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2,797 목차 ※ 자료의 활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재난안전연구센터 담당자 이메일(gykim@cri.re.kr)을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Ⅰ. 서 론 ··············································································· 01 Ⅱ. 충청북도 안전교육의 현황 ····························································· 5 Ⅲ. 충북 기초자치단체의 안전교육 현황 ·········································· 17 Ⅳ. 도민 안전교육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 ········································ 49 Ⅴ. 결 론 ···················································································· 71 Ⅵ. 결론 ··················································································· 43 ※ 참고문헌 ··············································································75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