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등재지로, 지역연구 전문 학술지로 2021년부터 년3회 발간되고 있습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503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2015 2014 2013 2012 2011 2010 2009 2008 게시물 목록 地域政策硏究(지역정책연구) = Journal of Regional Policies [34-2호] 관련키워드 地域政策硏究(지역정책연구)=JournalofRegionalPolicies[34-2호] 연구진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116 목차 진연화ㆍ황재훈정부주도형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 지역자산 및 주민참여, 도시재생 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라휘문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수행방식과 성격에 대한 연구 ······························ 35: 관청형성모형의 분류기준을 적용하여장인수ㆍ정찬우패널확률프론티어모형을 활용한 최소효율규모의 추정과 정책적 함의 ················ 57: 1인당 세출 예산과 인구 규모 간 연관성을 중심으로전상현ㆍ서상택자료포락분석법(DEA)에 의한 비수도권대학의 성과효율성 분석 ························ 85이재민ㆍ윤설민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세종시 문화정책 방향성 탐구 ······································ 105: 세종시 관련 이해관계자 대상의 실증분석을 중심으로 다운로드 [34-2] 1. 정부주도형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련키워드 구조방정식모형마중물사업지역자산주민참여도시재생성과주민만족도 연구진 : 진연화, 황재훈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46 목차 [초록]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사업에 대하여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도시재생의 성과 및 주민 만족도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17년 선정된 충북 청주 운천·신봉 일반근린형 뉴딜사업이 2021년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되어 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자산과 주민참여 그리고 도시재생 성과를 매개변수로 구성하여 마중물 사업과 주민 만족도 간에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목적은 마중물 사업이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 방법으로는 지역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319개의 유효 설문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에 적용하여 주민 만족도에 대한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본 연구 대상을 분석한 결과, 정부 주도의 도시재생 마중물 사업은 직접적으로 주민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매개변수인 지역자산을 매개로 하여 도시재생 성과가 도출되는 경우에는 주민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중물 사업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도 지역자산 활용과 주민참여 그리고 도시재생 성과에 따라 주민 만족도 제고를 위한 도시재생 정책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운로드 [34-2] 2.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수행방식과 성격에 대한 연구 관련키워드 관청형성모형기능수행방식기관성격 연구진 : 라휘문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34 목차 [초록]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수행방식과 성격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이 연구는 Dunleavy가 제시하고 있는 관청형성모형(Bureau-Shaping Model)의 예산분류기준과 8개의 기관유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수행방식과 성격에 대한 분석결과를 상호 비교하기 위하여 공공질서 및 안전기능, 과학기술기능, 교육기능, 교통 및 물류기능, 국토 및 지역개발기능, 농림수산기능, 문화관광기능, 보건기능, 사회복지기능, 산업중소기업에너지기능, 일반지방행정기능, 환경기능 등과 같이 기능을 분류하였다.분석결과를 보면 동일한 명칭과 내용을 가지고 있는 기능이라고 하더라도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기능수행방식과 성격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운로드 [34-2] 3. 패널확률프론티어모형을 활용한 최소효율규모의 추정과 정책적 함의 관련키워드 지역인구감소지출효율화기능권역패널확률프론티어모형전국가적최소지원 연구진 : 장인수, 정찬우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35 목차 [초록] 지역 인구 감소는 한국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주된 현안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는 국가 균형 발전을 저해하며 지역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보다 실효성 있는 정책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 인구 감소에 대응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지역 주민 수요에 대응하는 인프라 구축에 대한 지출 효율화를 도모하는 방향으로의 기능 권역 구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의 228개 시군구의 세출 규모를 최소화하는 인구 규모를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 권역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2012-2020년의 1인당 세출 규모를 최소화하는 시군구 단위 인구 규모는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할 때, 약 17만 명이었으며, 이보다 인구 규모가 작은 지역은 2020년 기준 126개 지역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전국가적 최소지원(national minimum)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 인구 감소 지역을 중심으로 기능권역 구축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운로드 [34-2] 4. 자료포락분석법(DEA)에 의한 비수도권대학의 성과효율성 분석 관련키워드 성과효율성기술적효율성규모효율성자료포락분석비수도권대학 연구진 : 전상현, 서상택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28 목차 [초록] 본 연구는 자료포락분석(DEA)을 이용하여 비수도권 국립·사립 일반대학의 성과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현실성이 강화된 벤치마킹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비수도권에 본교가 위치한 학생 규모 5,000명 이상인 58개 대학교이며, 대학정보공시센터 대학알리미의 정보공시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출기준 CCR 모형과 BCC 모형을 이용한 DEA 분석 결과 비수도권 국립·사립 일반대학은 평균적으로 준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어 효율성이 낮은 DMU를 중심으로 효율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균적인 규모 비효율성이 2%로 낮게 분석되었으나 대부분의 규모 비효율적인 대학이 규모에 대한 수확 체증(IRS) 상태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효율성 개선을 위하여 비효율적인 대학별로 성과 목표 및 개선 가능치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다운로드 [34-2] 5. 문화도시 조성을 위한 세종시 문화정책 방향성 탐구 관련키워드 문화도시문화정책법정문화도시세종특별자치시정량연구 연구진 : 이재민, 윤설민 발행일 : 2023.08. 조회수 : 27 목차 [초록]정부에서는 지역문화진흥법에 기반하여 문화도시를 선정하기로 했다. 지금까지 104개의 지자체가 공모에 지원했으며, 49개의 지자체가 예비문화도시에, 24개의 지자체가 법정문화도시에 선정되었다. 세종시도 지정받기 위한 시도를 두 차례 하였지만, 비전과 전략의 모호성·지역자원의 인식 부족·단기적인 거버넌스의 진행 등의 한계점을 보여 지정받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단기적으로는 문화도시의 선정, 장기적으로는 문화적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정책 방향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292명의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기술통계분석·빈도분석·중요도 성취도 분석 등의 기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종시민들은 세종시가 문화도시에 부합하는지를 5점(10점 만점)으로 인식하였고, 신도시로서 가질 수 있는 이미지를 강점으로 느끼고 있었다. 더욱이 세종시는 앞으로 행정수도로서 기능이 강화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미래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 연구는 문화도시와 관련한 정량연구로서 연구방법의 독자성을 확보하였지만, 지역주민의 심층적인 이해를 담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다운로드 地域政策硏究(지역정책연구) = Journal of Regional Policies [34-1호] 관련키워드 地域政策硏究(지역정책연구)=JournalofRegionalPolicies[34-1호] 연구진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3.05.31. 조회수 : 349 목차 김해인ㆍ최은영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주류사회의 영향 ····················································· 1: Berry의 문화적응이론을 중심으로박길환‘창조적 경제’란 무엇인가? 도시·문화·산업측면 재고찰과 예술과 과학적창조성의 통합적 혁신체계로서의 창조적 경제 ························································ 27안윤상ㆍ전병윤ㆍ이만형도시공업지역의 재활성화를 위한 법률적·제도적 개선방안 ··································· 59이재은 · 최은영초등 고학년 아동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시간 사용 요인 ·············· 83고영모 ․ 김재학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간의 구조적 관계 ·························· 107이은희 · 이양수생애주기별 사회적 고립감의 영향요인 연구 ··································································· 133황광훈기업 규모별 청년층의 고용 유지기간 결정요인 및 일자리 이동에 따른임금의 변화 ··················································································································· 159 정유미ㆍ도명식조건부가치측정방법(CVM)을 이용한 MaaS(Mobility as a Service)의지불의사액산정 ···················································································································· 185: 대전광역시를 대상으로 남수연대학-지역 협력에 대한 앵커기관 이론의 함의 ························································· 203 다운로드 [34-1] 1.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과 주류사회의 영향 - Berry의 문화적응이론을 중심으로 관련키워드 다문화가정 청소년학교적응주류사회베리(Berry)문화적응(acculturation) 연구진 : 김해인, 최은영 발행일 : 2023.05.31. 조회수 : 169 목차 [초록] 한국 사회의 다문화 인구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의 적응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문화적응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주류사회와의 관계가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적응에 있어 단순히 개인의 적응문제를 넘어 주류집단과의 관계가 중요하다는 측면에 주목하였다. 이에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1차(2011)-8차(2018) 자료를 사용하여 군집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상호작용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유형은 이중문화 수용도에 따라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형으로 분류되었으며, 한국문화 수용도가 높은 통합형과 동화형의 학교적응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라는 공간의 목적이 구성원의 사회통합 기능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둘째,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학교적응의 결과는 주류집단인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에 따라 달라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학교적응이 단순히 개인의 적응 문제뿐만 아니라 주류집단의 수용도에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 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데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며, 앞으로는 한국 사회가 다문화수용성 및 사회포용적인 관점, 인정주의 관점에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다운로드 [34-1] 2. ‘창조적 경제’란 무엇인가 도시,문화,산업측면 재고찰과 예술과 과학적 창조성의 통합적 혁신… 관련키워드 창조적 경제예술적 창조성과학적 창조성생산소비자누적순환경로통합적 혁신체계(혁신)생태계 연구진 : 박길환 발행일 : 2023.05.31. 조회수 : 160 목차 [초록]본 논문은 국가 및 지역산업과 지역정책에 지니는 잠재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경제정책 기조로 특정 측면 위주로 정치적으로 강조되었다가 역사 속으로 사라져 가고 있는 “창조경제”의 ‘개념적 타당성’을 정부의 정책표어로서의 가치와는 무관하게 학술적, 이론적으로 재검토하고 논의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창조경제” 개념의 분석과정에서 정부경제정책 상으로 논의되고 강조되었던 창조경제에 관한 관련 국제적 정의와 이론들을 체계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각 이론의 논거가 창조경제를 적절히 개념화하고 있는 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 및 한계 인식을 바탕으로 누적순환경로(new Myrdalian circular and cumulative paths)를 통한 ‘예술적 기술’과 ‘과학적 기술’의 생산소비로서의 “창조적 경제”의 개념을 새로이 제안하고, 이를 위한 통합적 혁신체계의 대표적 사례의 비교를 통하여 그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후 향후 연구와 중앙 및 지방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함의를 도출한다. 다운로드 [34-1] 3. 도시공업지역의 재활성화를 위한 대안적인 법과 제도적인 뒷받침 관련키워드 도시공업지역구역규제산업활성화제도정비도시공업지역특별법 연구진 : 안윤상, 전병윤, 이만형 발행일 : 2023.05.31. 조회수 : 179 목차 [초록]이 연구의 목적은 1) 도시공업지역을 다루는 기존의 법과 제도에 내재된 문제점을 밝히고, 2) 산업활성화를 중심으로 계획체계와 지원수단을 구비한 대안적인 법과 제도적 장치를 제시하는 데에 주어진다. 주요 자료는 국토교통부 행정문서, 도시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 제정과 관련한 법률 문서, 부산 사상공업지역의 현장문서 및 언론자료 등이다. 이 연구는 심층 분석을 위해서 3단계 접근법을 채택한다. 첫째, 제도 시행 현황과 제약 요인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실시한다. 둘째, 도시 공업지역의 관리 및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사상공업지구에서 수행되고 있는 시범사업 가운데 사업계획(기본조사 및 계획체계), 사업시행 및 사업관리(재정지원, 비과세, 조직관리) 항목에서 제기되어온 한계와 개선방안을 살펴본다. 셋째, 도시 공업지역 활성화에 관한 대안적인 정책과 제도적인 뒷받침에 초점을 둔다. 다운로드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10 페이지 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