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사업 및 신규사업 아이템 발굴, 도 현안과제 해결방안 모색 등을 위한 연구과제 입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95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게시물 목록 [2024기획-04] 충북지역 농식품 수출 활성화를 위한 실태 조사 관련키워드 농식품산업농식품기업충북농특산물농특산물수출농특산물해외시장 연구진 : 윤영한, 지명구, 홍성호, 정용일, 이유환, 김미옥 발행일 : 2024.11. 조회수 : 32 요약 충북도의 일부 시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은 농산촌의 인구소멸지역으로 저출산고령화에 의한 인구 감소가 지속되고 있는 지역인 동시에 지역 경제의 상당 부분을 농업에 의존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들 지역에서 영위하고 있는 농업의 대부분은 고령자에 의해 운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다 현실적으로 타 지역에 비해 넓지 않은 농지 등으로 인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기에도 매우 불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최근 들어 농업농촌을 활성화를 위한 다각도의 노력이 고민되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가장 유용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 역내에서 생산되는 농산물 기반의 농식품화를 통한 고부가가치화와 이들 식품의 글로벌 시장으로의 확대전략이다. 이들 두전략은 상호 배치되는 전략이 아닌 동시에 시행되어야만 하는 전략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내 농식품기업 가운데 최근 5년간 수출 경험이 있는 기업을 대상으로 농식품의 수출 활성화를 위한 애로요인을 규명하고 대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현재 도내 농식품기업들은 온라인에 의존한 특정 제품, 특정국 대상의 해외 진출이 이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본격화되고 있는 K-Food 시장의 확산세를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기회요인으로 판단된다. 역내 농식품기업의 수출 활성화 요인 도출을 위해 진행된 본연구에서 도내 기업들이 경영상 느끼고 있는 애로요인은 자금 부족과 만성화되고 있는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글로벌 시장 진출과 관련해 거래선 발굴, 수출 마케팅 관련 지원 정책에 대한 니즈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역내기업들이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자사 제품의 경쟁력이 가장 중요한 관건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각종 인증 취득에 대한 애로를 느끼고 있으며, 기타 요인으로 관련 정보의 맞춤형 제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도내 농식품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요구되는 정책적 지원과 관련하여 최우선적인 과제로 자금 지원과 함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바이어 발굴 및 마케팅 그리고 현지 시장 진출에 전제가 되는 각종 인증 취득 관련 사항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기업의 입장에서 제공되는 업종별・대상국별 맞춤형 정보 제공과 함께 중앙정부에서 제공되는 각종 지원사업에 대한 상세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고 지방정부 차원에서는 중앙정부에서 담당하지 못하고 있는 지역의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맞춤형 정책이 발굴・지원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I. 서론 ····························································································································· 111. 연구 배경과 목적 ··········································································································112. 연구 범위와 방법 ··········································································································14II. 충북 농식품 관련 동향 ····························································································· 161. 충북의 농식품 관련 산업 동향 ·····················································································162. 충북의 농식품 관련 기업 동향 ·····················································································21Ⅲ. 충북 농특산물 수출 활성화를 위한 실태조사 ························································· 271. 조사 개요 ·······················································································································272. 실태 조사 분석 ··············································································································283. 조사 결과 분석 ··············································································································32Ⅳ. 시사점 및 정책적 제언 ···························································································· 961. 시사점 ····························································································································962. 정책적 제언 ·················································································································100Ⅴ. 결론 ························································································································ 1051. 요약 ······························································································································1052. 향후 연구 발전 방향 ···································································································107참고문헌 ····························································································································110Abstract ···························································································································113 다운로드 [2024기획-19] 충북의 농산물 수출 활성화 방안 연구 관련키워드 농업FTA농업ABCD모델농업ESG경영충북FTA충북농업충북농식품수출충북농산물수출 연구진 : 우장명, 김미옥, 정진섭, 이교, 정덕원, 이선웅, 순다산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4.11. 조회수 : 31 요약 일반적으로 농식품의 수출환경은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와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최근 미·중 무역 갈등의 심화, 우·러 전쟁의 장기화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보호무역주의와 자국 우선주의 강화에 따른 비관세 장벽이 확대되고 있어 수출장벽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최근 몇 년간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요소가 농업 및 농식품 산업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최근 농식품 소비 트렌드는 건강한 삶과 지구환경을 생각하는 ‘스마트 그린 푸드(Smart-Green-Food)’ 추세가 강화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니즈를 살펴보면 성장, 갱년기, 불면, 노화 등 생애주기별 건강을 위한 건강 기능성 식품 및 프리미엄 식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디지털 전환으로는 AI와 AR, Cloud 기술이 제조 과정부터 소비자가 최적화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방법까지 스마트 그린 푸드 라이프 스타일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트렌드를 고려할 때, 충북의 농업 및 농식품 산업은 지속 가능성과 혁신을 중심으로 한 수출 전략이 긴요하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 농업이 수출 다변화 전략을 추구하기 위해 먼저 현대 사회에서 농업 패러다임의 변화를 조사하고, 충북 농업의 현황을 심층·분석하였다. 특히, FTA 협정이 농업의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농업의 디지털 전환 및 ESG 전략 등 다양한 수출 증진 전략도 고찰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충북 농업의 FTA 활용 측면, 수출 활성화 과정에서의 애로사항을 도출하였고, 이를 종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ABCD 모델’을 활용한 종합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충청북도는 특정 농산물 분야에서 상당한 잠재력과 우위를 가지고 있지만, 수출 조건에서 부족함이 있으며, 특히 지역 특산품에 대한 효과적인 수출 전략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충북 농식품 전체 수출액은 지속적인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이 충청북도 농산물 무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충청북도 농산품의 對 일본, 호주, 러시아, 이스라엘 수출 증가율 측면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대응 전략의 조정이 필요하다. 둘째, 각국의 농작물 수출 특성을 고려할 때, 충청북도는 자국의 농작물의 우위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해 농산물 수출실적은 부진한 상황이다. 셋째, 충청북도는 여러 나라 FTA를 체결하였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충청북도가 FTA(자유무역협정)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것은 농산물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ABCD 전략을 활용하여 농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전략을 제시한다. 첫째, ‘민첩성(Agility) 전략’으로서, 최신 농업 기술을 신속하게 도입하고,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후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충북형 특화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벤치마킹(Benchmarking) 전략’으로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농업 관리 및 기술을 벤치마킹하여 충북형 농업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융합(Convergence) 전략’으로서, 산학연 융합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 인프라 및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 넷째, ‘헌신(Dedication) 전략’으로서, ESG 기반의 지속 가능한 농업과 FTA 활용을 통한 수출경쟁력 강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목차 제I장 서론 ·····················································································································91. 연구 배경 및 목적 ···········································································································9 1.1 연구 배경 ·················································································································9 1.2 연구 목적 ···············································································································102. 연구 내용 및 방법 ········································································································10 2.1 연구 내용 ···············································································································10 2.2 연구 방법 ···············································································································12제Ⅱ장 이론적 배경 ········································································································131. 지속 가능한 농업과 수출 ······························································································132. FTA와 농업 ···················································································································163. ABCD 모델과 농업 ·······································································································194. ESG 경영과 농업 ··········································································································205. 디지털 전환과 농업 ·······································································································22제Ⅲ장 충북 농업의 FTA 교역 현황 ·············································································271. 충북 FTA의 지원대책 현황 ··························································································272. 충북 FTA의 특혜대상 비중 ··························································································283. 충북 FTA의 산업별 활용 현황 ·····················································································294. 충북과 FTA 체결국들의 교역 규모(수출) ····································································31제Ⅳ장 충북 농업의 수출 현황 ······················································································341. 충북 농업의 현황 ··········································································································34 1.1 충북 농작물의 재배면적 ························································································34 1.2 충북의 작물 현황 ··································································································442. 충북 농식품의 수출 현황 ······························································································49 2.1 충북 농식품의 수출 성과 현황 ···············································································49 2.2 충북 농식품의 시·군별 수출액 ···············································································51 2.3 충북 농식품의 국가별 수출액 ·················································································523. 충북의 국가별 농산물 수출 현황 ··················································································55 3.1 충북의 對 호주 농산물 수출 ················································································55 3.2 충북의 對 태국 농산물 수출 ················································································58 3.3 충북의 對 필리핀 농산물 수출 ·············································································59 3.4 충북의 對 일본 농산물 수출 ················································································61 3.5 충북의 對 미국 농산물 수출 ················································································62 3.6 충북의 對 중국 농산물 수출 ················································································65 3.7 충북의 對 러시아 농산물 수출 ·············································································674. 충북 농업 수출의 문제점 ····························································································69제Ⅴ장 충북 농산물의 종합적 수출 전략 ···································································· 731. FTA 활용률을 기반으로 한 수출 전략 ········································································73 1.1 FTA 수출활용률이 높은 국가들 ·········································································73 1.2 FTA 수출활용률이 중간 국가들 ·········································································74 1.3 FTA 수출활용률이 낮은 국가들 ·········································································742. 충북 농산물의 수출 전략 ······························································································75 2.1 ABCD 관련 사례 및 시사점 ················································································75 2.2 충북 농업의 ABCD 전략 ···················································································87참고문헌 ····························································································································91부록 ·····································································································································99 1. 충북의 주요 지역별 전략 ··························································································99 2. 충북 상하이 농업사무소 ························································································102Abstract ···························································································································108 다운로드 [2024기획-18] 충북 농업의 외연 확대를 위한 기초연구 관련키워드 농업국제화농업지속가능성농업디지털전환농업ESG농업협력충북농업4중나선모델 연구진 : 우장명, 김미옥, 정덕원, 고초군, 주뢰, 정진섭, 이선웅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4.11. 조회수 : 34 요약 충청북도 농업은 최근 큰 변화를 겪고 있다. 그러한 변화는 농업의 글로벌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ESG 경영, 농업 가치사슬 등의 다양한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세계화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충청북도 농업은 점점 더 국제적인 교류와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자매결연과 같은 지역 간 농업교류를 통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충청북도는 지속 가능한 농업과 세계화를 위해 올바르고 가치 있는 외연 확대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충청북도 농업의 현황과 달라지고 있는 농업 패러다임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특히 디지털 전환, ESG 경영, 가치의 공동 창출(Co-creation of Value) 이론이 현대 농업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포터(Porter)의 가치사슬 모델을 통해 현대 농업의 부족한 점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충청북도 농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 충청북도 농업은 국제교류와 협력에서 일부 한계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 사중 나선 모델(Quadruple Helix)과 포터의 가치사슬 이론을 결합하여 충청북도 농업 협력에 대한 전략적인 방안을 제시했다. 한편, 성공적인 관련 사례 조사를 통해 분석된 충청북도 농업교류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기술과 품목 교류에 국한되어 있으며, 국제협력이 주로 농업 분야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교류 결과의 활용이 적고, 그 영향력이 제한적이다. 셋째, 교류 활동이 일회성 또는 단기에 그치는 경향이 있다. 넷째, 참여 주체가 주로 정부, 기업, 연구기관으로 구성된 단일화된 구조를 지니고 있다. 다섯째, 주체는 주로 삼중 나선 모델(Triple Helix Model: 정부, 기업, 연구소 또는 대학)의 협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섯째, 기술 및 제품 협력 위주이며, 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가 농업의 국제화와 지속 가능성을 확대하기 위한 해결 방향을 제시했다. 먼저, 충청북도 농업은 ESG 경영과 농업의 디지털 전환에 집중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환경, 사회,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농업의 삼중 나선(Triple Helix) 모델에서 사중 나선(Quadruple Helix) 모델로의 전환을 추진해야 한다. 즉, 정부, 기업, 대학/연구기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와 문화적 참여를 포함한 포괄적인 주체들의 협력을 통해 농업교류의 범위와 깊이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 다시 말해서, 충청북도 농업은 디지털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ESG 경영을 통해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교류 플랫폼을 구축하여 교류의 지속성을 유지하고, 농업교류의 결과를 현장 문제 해결에 활용하여 그 의미와 효과를 극대화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략적 접근을 통해 충청북도 농업은 국제적 경쟁력을 갖추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제I장 서론 ························································································································· 91. 연구 배경 및 목적 ···········································································································9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1제Ⅱ장 연구의 배경 ········································································································ 131. 농업의 국제화와 농업 협력 ···························································································132. 농업의 지속 가능성과 농업 협력 ··················································································153. 농업의 디지털 전환과 농업 협력 ················································································174. 농업의 ESG와 농업 협력 ···························································································195. 4중 나선(Quadruple Helix) 모델과 농업 협력 ························································21제Ⅲ장 충북 농업의 현황 ······························································································· 261. 한국 농업의 현황 ··········································································································262. 충북 농업의 현황 ··········································································································273. 충북 농업의 기본 여건 ·································································································304. 충북 농업의 수·출입 현황 ····························································································30제Ⅳ장 충북 농업의 패러다임 전환 ··············································································· 341. 지속 가능성의 개념과 농업에의 적용 ···········································································362. 농업 국제개발협력의 전환 ·····························································································363. 디지털 전환과 농산업의 변화 ·······················································································394. 교류 협력을 통한 농업 디지털 발전사례: 중국 ···························································395. ESG 경영과 농산업의 변화 ··························································································436. ESG 경영과 농산업의 변화 사례: 미국 ·······································································447. 4중 나선 모델과 농산업의 변화 ···················································································468. 4중 나선 모델과 농산업의 변화 사례: 네덜란드 ·························································479. 가치사슬 이론과 현대 농업의 변화 ··············································································52제Ⅴ장 충북 농업과 국제교류 ························································································ 551. 충북 농업의 국제교류 현황 ···························································································552. 충북 농업 관련 지역교류(자매결연) ··············································································723. 충북 농업 국제교류의 한계점 ·······················································································74제Ⅵ장 충북 농업의 외연 확대 전략 ············································································· 781. 충북의 외연 확대 전략 ·································································································78 1.1 충북의 지속 가능한 농업 구현 ·············································································78 1.2 디지털 전환과 농업의 국제교류 ···········································································79 1.3 ESG 경영과 국제교류사업 ····················································································80 1.4 가치공동창출(Co-creation)과 국제교류사업 ·······················································81 1.5 충북 국제협력모델의 도출 ····················································································822. 가치사슬에서 도출된 미래의 지속 가능한 농업 ···························································86 2.1 충북 농업의 새로운 가치사슬 ···············································································863. 요약 및 시사점 ··············································································································95참고문헌 ·························································································································96Abstract ························································································································103 다운로드 [2024기획-02] 글로벌 탄소 무역규제에 따른 통상정책 연구 관련키워드 탄소무역규제탄소국경조정탄소국경조정제도 연구진 : 이소영, 김정인, 이유환, 김상기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4.11. 조회수 : 93 요약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유럽 역외에서 생산된 탄소집약적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에 따르면 2025년까지는 배출량에 대한 보고의무만을 부여받지만 2026년부터는 배출량 검증 및 탄소국경조정제도 인증서 구입과 제출에 대한 의무가 추가된다. 본 연구는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의 향후 대응 시나리오를 수립하고 분석한 후 최적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정책 차원에서 한국 정부 및 충청북도 지자체의 산업현황과 대응방안을 모색하였고 주요국의 지방정부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 시나리오는 탄소국경조정 및 여타의 환경정책이 존재하는 않는 시장 자율적인 시나리오를 설정한다. 이후 기본 시나리오를 기초로 탄소국경조정 및 탄소세 부과 등의 환경 규제와 정책이 추가될 때마다 국가 경제가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부분균형분석을 통해 파악해 보고자 한다. 시나리오의 비교를 통해 국가별 최적 대응 상황을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분석 결과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을 전제된 상황하에서는 역외국은 탄소세를 부과함으로써 탄소국경조정을 회피하는 전략이 가장 주요한 전략으로 파악된다. 이는 탄소세 부과가 탄소국경조정을 통해 관세를 부과를 회피함과 동시에 역외국 정부의 세수를 증대시켜 사회후생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한편 분석결과 유럽이 지정한 탄소국경조정 대상 품목 및 향후 지정대상품목은 현재의 충청북도의 주요 수출품들과는 큰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는 단기측면에서 충청북도의 기업들은 직접적인 탄소국경조정세에 해당사항이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유럽의 탄소국경조정이 전세계적으로 환경보호의무 수준을 높이도록 유도할 것이다. 대기업은 ESG 등으로 환경의무에 이행에 대한 인식이 높고 대응여력이 존재하는 편이나 중소기업은 그렇지 않다. 특히 생산가치사슬상에서 충북의 중소기업과 거래관계에 있는 해외기업이나 대기업이 높은 수준의 환경보호 의무를 강제하게 될 때 충북지역의 중소기업은 환경위험에 직면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지원 방안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한 영국이나 미국 지방정부의 탄소배출량 저감 관련된 지역 중소기업 지원 사례를 소개하면서 분석을 마무리 한다. 목차 제I장 서론 ························································································································· 71. 연구 배경 및 목적 ···········································································································72. 연구 내용 및 방법 ·········································································································93. 선행연구 검토 ··············································································································10제II장 국내외 탄소 무역규제 동향 ················································································· 131. 탄소무역규제 현황 및 시사점 ·······················································································132. 국내 탄소무역규제 관련 대응 동향 ············································································17제III장 충북 탄소 다배출 산업 현황 ·············································································· 201. 충북 지역경제 및 산업현황 분석 ··················································································202. 충북 산업단지 분석과 탄소 다배출 산업 현황 ····························································34제Ⅳ장 탄소국경조정세 시나리오 분석 ·········································································· 401. 환경규제 없는 모형 ·······································································································412. 1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실시 ·····················································································433. 1국과 2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 실시 ··········································································454. 1국과 2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및 2국의 탄소세부과 ··············································475. 1국과 2국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및 2국과 3국의 탄소세부과 ···································496. 모형간 탄소배출량 및 사회후생 비교 ···········································································51제Ⅴ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 541. 한국 및 충북 경제에 미치는 영향 ················································································542. 정책적 시사점 ················································································································573. 결론 ································································································································60참고문헌 ······························································································································62Abstract ·····························································································································63 다운로드 [2024기획-16] 충북 출산육아수당 인식조사 관련키워드 출산육아수당출산지원금충북출산 연구진 : 최은희, 설영훈, 배민기, 허선영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4. 10. 조회수 : 139 요약 충북은 민선8기 들어서면서 임신‧출산관련 정책들을 다양하게 실행하고 있다. 그중 대표적인 공약은 출산육아수당 1,000만원을 5-6년간 분할하여 지급하는 것으로 2023년 1월 1일 출생자부터 지급하고 있다. 통계청 인구동향조사에 따르면, 2023년 충북은 출생아수, 합계출산율, 조출생률 모두 증가한 유일한 지자체로 기록되었다. 본 연구는 2023년 출산육아수당 신청가구를 대상으로 출산육아수당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충북 출산육아수당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자 한다. 외국의 출산지원금 정책을 살펴보면, 먼저 일본은 건강보험에 기반하여 출산육아일시금, 출산수당을 지급하여 출산에 필요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한다. 또한 베이비퍼스트 제도를 통해 임신 시에 임산부 국가의 출산응원선물로 1인당 5만 円 상당의 포인트를 지원하고, 출산 후 국가의 육아응원선물 5만 円에 도쿄도 자체 지원금 5만 円을 합쳐 아동 1인당 10만 円 상당의 포인트를 지원하며 도쿄도민일 경우 소득과 상관없이 지원한다. 싱가포르는 베이비 보너스제도를 통해 싱가포르 시민권자가 출산할 경우 현금급여(Baby Bonus Cash Gift), 아동발달지원계좌(Child development Account, CDA) 등의 지원 제공한다. 현금급여로는 첫째, 둘째자녀 6.5세까지 11,000SDG, 셋째 자녀 이상은 13,000SDG를 지급한다. 아동발달지원계좌는 싱가포르 시민권자의 자녀를 위한 특별 공동 저축 계좌(co-savings account)로 비매칭 신생아지원금과 매칭지원금으로 구분된다. CDA에 저축된 금액은 Baby Bonus 승인기관(AIs)에서 등록 보육시설/유치원/특수학교/조기교육 프로그램의 수수료, 병원 등 의료기관 진료비, MediShield 또는 MediSave 보험료, 보조공학장치, 안경/콘택트렌즈, 약국 건강식품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첫만남이용권, 부모급여, 가정양육수당, 아동수당 및 저소득층 출산양육지원(자녀장려금, 아동발달지원계좌,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각종 공제 및 할인제도를 운영한다. 서울시는 탄생응원 프로젝트를 통해 임산부 응원 사업으로 임산부 교통비 지원, 서울형산후조리경비, 출산맘 몸·마음 토탈케어, 다태아 안심보험 등을 수행하며, 2025년부터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임산부 여성에 출산급여 90만 원 지원, 임산부 배우자를 둔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에 출산휴가 지원금 80만 원 지원(임산부 배우자의 직업은 무관함)한다. 경기도는 시군 자체사업으로 조례에 의해 출산지원금, 양육비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충북은 임산부 산후조리비 지원, 임산부 교통비 지원, 출산육아수당 지원을 한다. 출산육아수당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추가 자녀계획이 있는 가정에서 가장 수요가 높은 정책은 주택마련 비용 부담경감, 보육비(교육비) 부담경감과 같은 경제적 지원으로 나타났다. 출산육아수당이 경제적 부담 감소에 기여한 정도는 4.01점, 출산육아수당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3.68점, 출산육아수당 지원금액 수준은 4.33점으로 증액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출산육아수당이 출산율 하락을 지연시킬 것으로 예상하는 정도는 3.82점, 인구증가(유입) 효과는 3.77점으로 예상하였다. 이러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출산육아수당 제도의 방향은 출산육아수당 지원금액 및 지원방식 조정, 출산육아수당 자동 신청 및 알림 정보 제공, 전수조사 기반 데이터 구축이 있으며, 출산육아수당 이외의 제도에서는 신혼부부 주택마련 대출이자 지원 확대, 아동수당 기간 연장 및 아동발달지원계좌 마련, 육아기 부모를 위한 근로여건 개선이 필요하다. 목차 제I장 서론 - 91. 연구배경 및 목적 - 92. 연구내용 및 방법 - 11제II장 이론적 배경 - 131. 출산 관련 현황 - 132. 출산지원금 선행연구 고찰 - 20제III장 출산지원금 정책 현황 - 241. 국외 - 242. 국내 - 28제Ⅳ장 충북 출산육아수당 인식조사 - 361. 조사개요 - 362. 분석결과 - 37제Ⅴ장 충북 출산육아수당 정책 방향 - 741. 요약 - 742. 정책 방향 - 78참고문헌 - 82Appendix - 85 Abstract - 91 다운로드 [2023기획-18] 2023년을 회고하다 - 충북의 10代 이슈 관련키워드 충북이슈 연구진 : 설영훈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350 요약 2023년 충북은 그동안 각고의 노력으로 드디어 COVID-19 위기를 완전히 극복하는 성과들을 도출하고, 숙원사업의 해결로 새로운 충북의 미래 도약을 위한 전환점을 마련한 의미 있는 한 해로서 이와 관련된 충북의 10대 이슈를 선정 목차 ※ 본 연구보고서는 미발간 자료로 자료문의는 연구협력팀 담당자에게 연락바랍니다. (Tel : 043-220-1103)I. 1. Overcoming Crisis - 위기 극복 & 성과 창출II. Creating a turning point - 숙원사업 해결과 성장추세의 전환점 마련Ⅲ. Preparing for the future – 새로운 미래를 위한 준비 [2023기획-16] 일반행정과 자치경찰제의 협력을 통한 안전기반 강화 관련키워드 자치경찰제지역안전거버넌스일반행정안전기반 연구진 : 최용환, 박재희, 이행준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2,633 요약 본 연구는 자치경찰제 도입 후 약 2년이 경과한 시점에서 지역안전 거버넌스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그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치경찰제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는 자치경찰위원회의 실태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특히 2021년 7월1일 충청북도 자치경찰위원회 출범이후, 자치경찰위원회는 각계각층의 의견수렴 참여 활성화, 사회적 약자 보호 대책 추진, 농산물 도난 방지, 음주자 안전 확보 등 중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 시점에서 충청북도 자치경찰위원회 출범에 따른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발전방향을 논의하는 공론의 장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러나 자치경찰제가 시행되면서 현 시점에서 성과평가를 실시하기는 여전히 어렵지만 몇 가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첫째, 충청북도 자치경찰이 일상적으로 지역주민에게 접근하여 생활안전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역주민의 삶 속에서 자치경찰의 존재가 항상 경찰과 가까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충청북도 자치경찰은 지역 치안조직과 거버넌스를 정기적으로 구축하여 주민생활과 밀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교통안전은 물론 범죄예방 등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자치경찰에 전달하고, 주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협력체계를 활용하는 것도 중요하다. 셋째, 충북자치경찰위원회의 위상 강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원칙적으로 자치경찰제의 이원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보다 실질적인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충청북도자치경찰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어야 한다. 목차 제I장 서론 - 91. 연구 배경 및 목적 - 92. 연구범위 및 방법 - 10제II장 자치경찰제 및 지역안전거버넌스에 관한 이론적 논의 - 121. 자치경찰제도의 의의 - 122. 자치경찰제 추진 형황 및 문제점 - 143. 자치경찰제 및 지역안전거버넌스 사례분석 - 21제III장 자치경찰제 및 지역안전 거버넌스에 관한 실태조사 - 271. 조사개요 - 272. 조사분석 결과 - 293. 종합 및 시사점 - 41제IV장 자치경찰제의 지역안전거버넌스 개선방안 - 471. 충청북도 지역안전 여건 - 472. 치안 인프라 확충 - 573.지자체-자치경찰간 안전거버넌스 구축방안 - 584.일반자치와 자치경찰간 업무개선방안 - 59제V장 결론 - 65참고문헌 - 67Appendix - 691. 부록 - 712. ABSTRACT - 82 다운로드 [2023기획-01]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에 대한 고찰 관련키워드 걷기보행거리보행안전보행환경보행전용 연구진 : 변혜선, 정용일, 임기현, 오재만, 홍병곤, 이승희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356 요약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원도심의 열악한 보행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걷기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걷기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검토하였다. 현대사회에서는 걷기가 더 이상 이동수단이 아닌, 사색, 산책, 운동, 참여, 여행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과 관련된 법과 제도를 살펴보았으며, 국내의 주요 사례를 고찰하였다. 걷고 싶은 거리는 반드시 차량이 배제되는 형태가 아닌, 차량과 함께 공존하면서 조성될 수 있는 기법이 다양하다. 보차혼용방식으로 일방통행, 주차 등과 병행하면서 이루어진다. 특히, 지방도시에서는 대중교통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많은 편으로, 주차문제는 걷고싶은 거리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에서는 보행로 확보, 횡단보도 설치 등 단순히 하드웨어적 접근 이외에, 주민들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점가의 경우,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사업이 진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시재생사업과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등에서 추진하는 주민교육, 워크샵,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주민들의 이해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원도심의 일정구간을 대상으로 걷고싶은 거리 대안을 제시하였다. 각 구간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보행교의 경관개선, 대중교통지구, 일방통행으로 전환, 보차혼용도로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안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련 사업을 활용함과 동시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그리고 지역 자산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도 함께 검토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3제2장 ‘걷기’에 대한 고찰 - 151. 걷기의 기본 기능 - 152. 현대사회와 다양한 걷기 - 163. 걷기와 걷고 싶은 거리 - 24제3장 관련제도 및 적용방식 - 271. 관련법 - 272. 활용가능한 사업들 - 39제4장 적용방식별 국내 사례 - 611. 대중교통전용지구 - 612. 보행전용 및 보차혼용방식 - 773. 종합 시사점 - 90제5장 시범적용 제안 - 931. 제안 개요 - 932. 구간별 보행환경 개선 방안 - 963. 추진방안 - 108참고문헌 - 112Appendix - 1161. ABSTRACT - 1172. Table of Contents - 119 다운로드 [2023기획-07] 한강유역 수리권 쟁점과 갈등조정 방안 공동연구 -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관련키워드 수리권물관리정책한강유역수자원수리권갈등조정 연구진 : 배명순, 김미경, 김문숙, 전만식, 송미영, 이기영, 김성우, 홍미진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360 요약 기후위기로 물의 지역적 편중,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면서, 물관리의 효율성과 위기 대응성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관리기본법 시행으로 통합물관리 추진기반을 마련하였고, 이·치수 중심의 물관리에서 수생태까지 고려하며 자연과 인간의 공생과 균형점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합리적이고 공평한 물 배분으로 물복지 격차 해소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물관리 관점에서 물 배분 및 비용부담 관련 수리권의 기본원칙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및 협력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기본법 제정, 지방자치제 시행 30년, 분권 및 유역 중심의 거버넌스 강조 등 전환점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한강수계 수리권과 관련한 제반 사항에 대한 갈등과 쟁점 사항들을 되짚어보았다. 이를 위해 한강수계 시도 연구원이 공동연구를 통해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국내외 수리권과 관련 법제도, 시도별 물 이용 쟁점 등을 분석하고, 수리권 개념 및 기본원칙을 재정립하고 이의 제도적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권은 민법, 하천법, 댐건설관리법에서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댐용수사용권 등으로 분절되어있어 상호 간 충돌과 법적 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관리기본법에도 수리권의 기본원칙, 개념 등이 담기지 못하였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기본 철학만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과 광역, 광역과 지방정부 간 갈등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심화되곤 했다. 현실적으로는 수자원공사가 수리권 관련 권한과 조정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있지만, 법적 권한은 한강홍수통제소가 관리하도록 되어있으며 이 문제 해결에는 수리권 관련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연구들이 있어 왔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수리권 관련 현행 법·제도의 원칙과 규정의 재정립, 댐사용권 개선, 유역공동체 중심의 수자원 이용·관리 기반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한강유역 내에서도 수리권의 개념 및 기본원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물 배분·이용 관점에서 법적 근거와 이행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은 미흡했다. 그 과정에서 지역별, 용도별 물 이용과 비용의 배분 과정에서의 갈등이 반복되어왔다. 공통된 주요 쟁점으로는 수리권 개념 통합 미흡으로 개별 법제에 따른 수리권의 독점적, 임의적 운용에 의한 유역 내 물순환체계 훼손, 물 배분 및 조정 시 일관성의 부족, 해당 지차체 의견수렴 미흡, 허가수리권 제도 및 규정 이행 미흡에 따른 물관리 효율성 한계로 나타났다. 주요 쟁점 중 하나는 현행 댐건설관리법의 댐용수사용권의 운용 문제로, 댐용수사용권한을 가진 수자원공사가 다목적댐 용수에 대해 독점적 권한을 가지면서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사용권이 제한되고 기존의 하천수가 댐용수로 전환되면서 비용부담 원칙에 대한 갈등도 수자원공사와 광역 시도간에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상류인 강원과 충북지역에는 댐 건설로 인해 풍부한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나 물의 배분·이용에 대한 권한은 제한되어 수리권 관련 형평성 문제를 제기해왔다. 수도권은 인구 및 산업 집중으로 물의 이용의 지역적 편중이 지속되어왔고, 현재도 용인의 대규모 반도체 공장의 물 배분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구체적 협의는 중앙정부와 관련 공공기관 간에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하천법과 댐건설관리법에는 중앙정부가 광역/기초지자체와 협의 조정해야 할 절차가 명시되지 않아 중앙정부가 임의적으로 물 이용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기존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사용권도 관련 지침의 개정과 관련 이행과정이 시도되는 과정이라 명시된 허가량과 수요량, 실제 사용량 간의 불일치가 여전하고 허가량과 불일치하는 사용료 납부 등이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한강유역 내에서 수요량 대비 허가량이 과다한 지역과 부족한 지역을 발생시키고, 물관리가 효율적, 체계적이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 수리권 관련 기존 제도 및 시도별 물이용 쟁점 관련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관련 법제도 정비와 보완이 시급하다. 국가차원에서 민법과 하천법, 댐건설관리법 등에서 서로 상충되는 개념을 통합 정비하고, 그 내용에 물 이용과 배분 관련한 조정기준, 물 사용 용도별 우선순위, 미래 물 사용자와 환경적 고려와 수생태까지 포괄하는 수리권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물의 배분·이용 과정에서 계획부터 최종 의사결정까지 유역을 토대로 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유역 물관리의 핵심 주체인 유역위원회, 광역/기초지자체에 대한 참여와 소통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물관리위원회와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수리권의 공평하고 공익적 특성을 보장하고 배분할 수 있도록 권한과 재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기본법 제15조(물수요관리 등) 및 제11조(유역별 관리)에 물 배분 원칙을 상세 추가하고 수리권을 하천법의 하천수사용권 중심으로 통합하며 사용량 규모에 따라 하천수 사용량 허가 및 재배분 시 (가칭)하천수배분조정위윈회를 통해 협의·조정하고 최종 결정은 유역물관리위원회를 거쳐 필요시 국가물관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승인하는 절차 등을 제안하였다. 수리권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으로는 물관리기본법, 댐건설관리법 및 하천법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물관리기본법에는 취수부담금 부과 및 유역관리기금 설치, 국가 및 유역물관리위원회의 물 배분 역할 내용도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제2장 우리나라의 수리권과 물관리 정책 - 71. 수리권의 개념 및 법적 성격 - 72. 국외 수리권 제도 및 사례 - 653. 국내 수리권 갈등 사례 및 조정 시도 - 97제3장 한강유역 수자원 이용현황 및 쟁점 - 1131. 수자원개발의 역사 - 1132. 수자원 이용현황 - 1163. 한강수계관리기금 동향 및 시사점 - 1314. 시도별 물 이용 쟁점 및 시사점 - 1405. 수리권 관련 설문조사 - 179제4장 한강유역의 수리권 갈등조정 및 제도개선 방안 - 1891. 수리권 갈등조정 방향 - 1892. 제도개선 방안 - 199참고문헌 - 211Abstract - 217 다운로드 [2023기획-05] 충북 그린 바이오 산업 육성전략 방안 관련키워드 그린바이오그린바이오동향그린바이오육성방안 연구진 : 허진아, 이유환, 김미옥, 양서우, 이소영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221 요약 ○ 농식품분야 신성장 동력인 그린바이오는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최근 인구증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식량부족의 대안으로 부각됨 - 글로벌 그린바이오 시장은 ’20년 약 1조 2천억 달러 규모로 ’30년까지 2배 이상 성장 가능성 전망 - 국내 그린바이오 시장은 ’20년 5조 4,000억 원으로 세계 시장 대비 0.3% 수준이며 ’30년에는 12.5조 원 규모의 시장 형성 예상 ○ 그린바이오는 식량, 작물, 축산, 식품, 천연, 바이오 소재로 구분하며, 핵심기술로는 육종기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기술, 동물용 의약품 기술, 대체육 기술 등이 있음 ○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지속가능한 경제 실현을 위해 레드·그린·화이트바이오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투자 확대 ○ 정부는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년 9월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산업화의 가속을 위해 ’23년 2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3대 추진전략을 제시 -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에서는 6대 분야(종자, 동물용의약품, 미생물, 식품소재, 곤충, 천연물 유래 소재)를 선정하여 산업화 촉진 ○ 충북은 주력산업인 바이오산업의 중점 육성을 통해 바이오관련 전·후방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21년 기준 바이오산업 생산액은 2조 628억 원 규모로 전국 3위 - 대표기업으로는 녹십자, 셀트리온제약, 대웅제약 등이 있으며, 6대 국책기관과 6대 국가바이오메디컬 시설 등 산·학·연·관이 집적된 오송 바이오클러스터 보유 ○ 충북 지역은 그린바이오 벨류체인상 전방 산업인 식료품 제조 중심의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양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의 주요 업종에 식료품 포함 - 충북의 산업구조를 보면 식료품, 음료,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등의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그린바이오 관련 전·후방 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제조기반 및 성장동력 보유 ○ ’20년 기준 충북 그린바이오 중소·벤처기업 수는 79개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기업이 포진하고 있어 그린바이오 기업 Pool 충분히 형성 ○ 국책연구기관, 연구개발 지원센터 등 28개의 바이오 관련 기관이 설립·운영 중으로 그린바이오 소재·원료 발굴, 연구개발 및 제품화 협력, 기술·산업 교류 및 판로개척 지원 협력 수행 가능 ○ 충북지역 소재 대학의 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 특화·전문 기술분야별 R&D 역량 등 가용자원을 적극 활용하면 그린바이오 창업지원 연계·협력 체계 확립 가능 ○ 충북은 산수가 뛰어나고 농업인구가 적지 않아 레드바이오와 같이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보다는 충북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분야를 선정하여 분산형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것이 필요 - 충북 그린바이오 산업 여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특화 분야(충주(식품), 제천(천연물), 청주(마이크로바이옴, 동물용의약품)) 선정 - 그린바이오산업 컨트롤타워 구축으로 도내에 조성된 바이오헬스산업의 풍부한 물적·인적 인프라를 활용한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요 - 그린바이오 전문인력 공동육성체계를 구축하여 기업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전문교육 훈련 제공 등을 통한 인적역량 강화 - 충북의 주력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 디지털 선도기술과 그린바이오산업의 연계를 통해 관련 기반 시설을 활용하고 지역기업의 성장성 확보로 그린바이오산업 고도화 가능 - 식품, 건강기능식품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를 화장품, 수의학까지 확대하여 R&D 기초부터 전략적인 지원으로 미래시장 선점 필요 ○ 본 연구는 마이크로바이옴, 식품 등 특정분야 외에는 관련 데이터가 적고, 분야별 관련 기업 수 파악이 어려워 분석에 한계가 존재하며, 농·식품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바이오 신기술 융합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식량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는 효율적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 필요 목차 제I장 서론 - 1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 내용 및 방법 - 15 제II장 국내·외 그린바이오산업 동향 - 171. 그린바이오의 이론적 배경 - 172. 국내·외 그린바이오 정책 동향 - 403. 국내·외 그린바이오 기업 동향 - 594. 지역별 그린바이오 현황 - 66제III장 충북 그린바이오 현황 및 여건 분석 - 711. 충북 그린바이오 현황 - 712. 충북 그린바이오 산업 여건 분석 - 79제IV장 충북 그린바이오 육성방안 및 결론 - 971. 충북 특화 중심의 육성방안 도출 - 972. 연구결과 요약 - 103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 106참고문헌 - 107Appendix - 1111. ABSTRACT - 113 다운로드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