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물박스 전체안전충북포커스재난안전브리프재난안전정책연구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재난선제대응Signal CRI연구원들이 각 분야의 전문보고서를 제공합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2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5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게시물 목록 2023 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 - No.2 도시침수 관련키워드 도시침수국지성집중호우비피해침수사고침수위험자동예측 연구진 :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425 요약 ▶ 서론: 최근 이상기후,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해 짧은 시간 동안 특정지역에 많은 비가 내려 피해가 발생하는 등 인명 및 재난 피해가 증가하고 있음. 특히, 각 기관 발표자료에 의하면 장마철 기간의 변동성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기존보다 강수량이 더 많은 극한 기상이 나타나고 있음. 충청북도에서는 2023년 7월 청주 오송읍 궁평2 지하차도가 호우로 인해 침수된 사고가 발생함. 본 고에서는 침수 사고와 관련하여 과거에 발생한 포항 아파트 지하주차장 침수 사고와 강남역 일대 침수 사고, 부산 초량 지하차도, 궁평2 지하차도에 대해 언론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예방 정책대안에 대한 검토를 진행함. ▶ 대응 방안: 재난안전통신망 활용 강화를 위한 교육을 진행하며, 침수위험 자동 예측 IoT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난 대응 및 보고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음. 또한, 각 기관의 역할이 달라 공조체계 구축을 위한 법 개정이 필요함. 시설물 성능 검증을 위해 디지털 트윈 등 3D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시설물 보완 및 대피를 위한 안전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음. 목차 ※ 자료의 활용을 원하시는 분들은 이메일(young@cri.re.kr)을 통해 연락주시기 바랍니다.I. 서론 - 12. 언론에서 본 과거 도시침수 사례 - 23. 언론에서 본 궁평2 지하차도 침수사고 - 64. 발생 대응 방안 - 14참고문헌 - 17 2023 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 - No.1 한파 관련키워드 2023충북재난취약진단INSIGHTNo.1한파 연구진 :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 발행일 : 2023.04. 조회수 : 1,642 요약 ▶ 필요성 및 목적: 올 겨울 전 세계적으로 이상한파가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역시 강력한 한파가 일찍 시작되었고 기온 변동성이 크게 나타나는 등 새로운 한파 특성을 보였음. 특히 충북은 이번 겨울철에 한랭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전국에서 가장 높게 집계되어 한파에 대한 관심 제고를 요구하였음 ▶ 한파 진단: 한파일수는 겨울철(12~2월) 중 1월에 전반적으로 빈도가 높은 특성을 보이며, 지역적으로는 강원도와 충북도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음. 충북도에서는 강원도와 인접한 지역(제천)에서 주로 많은 한파일수를 기록하였으며, 추풍령 지점의 경우 53년만에 연별 일 최저기온을 경신하였음 ▶ 대응 방안: 과학기술 근거기반 한파 예방 대책 마련과 인명 피해 및 도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한파 저감시설 확충이 필요함. 또한 국가정책과 연계 하에 건강취약계층을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를 제고하고, 한파 취약군 별 관리 대책 및 관리 인력 효율화 방안 마련이 필요함.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 가능한 건강 문제의 인식 확산 및 홍보 방안 마련이 요구됨 목차 I.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12. 전국 한파 현황 분석 - 23. 충청북도 한파 진단 - 104. 한파 대응 방안 - 19참고문헌 - 24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