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선생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1개
  • 게시물 51개
  • 1/6 페이지 열람 중

수탁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충북 Issue&Trend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기획특집> 지역발전을 위한 과제 -지역발전 측면에서 지역행복생활권 육성 방안/ 변혜선 -사회복지재정 분담제도 개선 방향 / 김진덕 -초광역개발 사업을 통해본 지자체 간 교류 협력 사례 / 홍성호 -산업협력권의 개요 및협력권 설정대안 / 윤영한 <해외출장 보고서> -이상설선생 유적 탐방 (러시아, 중국) / 이경기 <Inside CRI> -지상세미나 중계 : 2013년도 대한민국 지역희망박람회 컨퍼런스 - 연구사업 소개: 도정기획과제, 정책과제, 수택과제 - 포커스 : 77호, 78호, 79호, 80…

    2014-01-02 16:43:20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특집: 충북의 독립운동가 우당 권동진 선생의 생애와 독립사상▪우당 권동진의 생애와 민족독립운동 ······································································ 8이용창∣민족문제연구소▪권동진의 3・1운동 초기단계 주도와 독립사상의 피력 ······································· 42박걸순∣충북대학교▪충북 괴산출생 권동진의 친필시문과 유허지 ······················································ 63김근…

    2021-06-28 09:50:05
  • 서문 / 131. 부모를 섬기는 도리/ 142. 남편을 섬기는 도리/ 153. 시부모를 모시는 도리/ 164. 형제와 화목한 도리/ 185. 친척들과 화목한 도리/ 196. 자식을 가르치는 도리/ 207. 제사를 받드는 도리/ 228. 손님을 대접하는 도리/ 239. 투기하지 말라는 도리/ 2410. 말을 조심하는 도리/ 2511. 재물을 아껴 쓰는 도리/ 2613. 병환을 구완하는 도리/ 2814. 의복, 음식을 하는 도리/ 2915. 노비를 부리는 도리/ 3016. 꾸어 주고 받는 도리/ 3217. 팔고 사는 도리/ 3318. …

    2021-06-28 09:50:05
  • 책을 펴내며2단양읍지 해제7건치연혁(建置沿革)17경계(境界)17관원(官員)17성씨(姓氏)18산천(山川)18도리(道里)20풍속(風俗)21방리(坊里)21호구(戶口)23전결(田結)24군액(軍額)24곡총(穀摠)25토산(土産)26관방(關防)26봉대(烽臺)27학교(學校)27단묘(壇廟)27능묘(陵墓)28창고(倉庫)28장시(場市)29교량(橋梁)29제언(堤堰)30역원(驛院)31불우(佛宇)32누정(樓亭)33도서(島嶼)35고적(古蹟)37명승(名勝)39인물(人物)43효자(孝子)47열녀(烈女)52「단양현읍지」선생안59제영(題詠)61「단양현읍지」수록123부…

    2020-05-13 23:36:35

충북도시재생지원센터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기획] 모두가 함께하는 곳 - 02[듣다] 민속사진가 송봉화의 이야기를 듣다 - 10[말하다] 도산 선생의 이상촌 건설과 도시재생 - 16[걷다] CBURC IS - 18 충청북도 도시재생 답사단 모집 - 20[함께하다] 충청북도 도시재생사업현황 - 22 현장소식 - 24

    2022-04-18 11:08:14

특강/세미나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CRI 오피니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25. 09. 17. 발간][충청매일 - 오피니언 - 칼럼 - 지역사읽기]※ 오피니언 152번 게시글 내용과 이어집니다.조선미술전람회(이하 ‘鮮展’)는 1922년 1회를 시작으로 44년 23회까지 치러졌다. 우리는 선전 공모 결과를 통해 지역 1세대 미술인의 윤곽을 그릴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당시 언론, 관보, 전람회 도록 등을 종합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다. 출품 시 내는 원서에는 주소지를 쓰게 했다. 결과 발표 때도 이를 토대로 수상자의 거주지를 공개했다. 이를 참고하여 세 부류로 구분해 정리해 보도록 한다. 첫째, 주소…

    2025-09-17 15:30:07
  • [2025. 05. 28. 발간][충청매일 - 오피니언 - 칼럼 - 지역사읽기]※ 오피니언 133번 게시글 내용과 이어집니다.<삼국사기>에 실린, 영동의 양산 전투를 소재로 ‘양산가’라는 동명의 한시가 다수 창작되었다. 악부시의 비조에 해당하는 김종직의 ‘양산가’와 함께 살펴볼 만한 작품으로 이광사의 양산가를 들 수 있다. 원교 이광사(1705∼1777)는 조선 후기, 시·서·화에 모두 뛰어났던 예술인이자 학자였다. 이원교의 양산가는 ‘원교집선(圓嶠集選) 권 제1 동도악부’에 실려 있다. 김종직의 시가 5언 14행 총 7…

    2025-05-28 14: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