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미호강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3개
  • 게시물 71개
  • 1/8 페이지 열람 중

기본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제Ⅰ장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3. 연…

    2023-01-10 15:48:27

창의기획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contents008 발간사012 축사030 제1부 - 서른, 이립(而立)의 시간032 연혁038 정명正名040 집으로 가는 길044 10대 뉴스056 역대 원장의 회고와 당부070 제2부 - 사람과 일, 그리고 오늘072 길을 걷고, 길을 만들다073 1. 1990년 이전과 이후081 2. 「충북경제연구소」의 출발087 3. 「충북개발연구원」으로의 도약109 4. 「충북발전연구원」의 비상120 5. 「충북연구원」의 오늘로127 Ⅱ - 분야별 성과를 담다128 1. 조직과 성과, 그리고 살림살이142 2. 충북 성장의 레시피 : 성…

    2021-10-13 10:58:31

기획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제Ⅰ장 연구 필요성 ······································································································· 31. 배경 및 목적 ·································································································································· 32. 범위 및 내용 ······························…

    2023-04-26 21:56:52

수탁과제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본 연구과제에서는 미호천의 하천 생태를 조사하여 하천 수질 개선과 수량을 확보하여 하천생태환경을 우선 복원 및 생물다양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기 설치된 시설과 주변 현황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여 친환경적인 편의시설 ․ 생활체육공간 ․ 문화공간 확충을 통하여 미호천의 친환경 생태하천 조성과 더불어 사람과 자연 그리고 역사·문화가 공존하는 수변문화 공간 조성 및 도민을 위한 친수여가 공간 제공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2023-12-31 15:49:39

충북 Issue&Trend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권두언 강호축의 사회경제적 의미 / 정초시 충북연구원장 ISSUE 강호축 연계 국토공간구조 재편 필요성과 의의 / 홍성호 공간창조연구부 연구위원 강호축 육성의 필요성과 산업연게 전략 방안/ 정삼철 성장동력연구부 수석연구위원 강호축 발전의 기반이 되는 SOC사업 우선추진 필요 / 오상진 공간창조연구부 연구위원 강호축을 흐르는 달천을 주목하자 / 김양식 충북학연구소장 강호축과 충북관광 / 정연정 상생발전연구부 수석연구위원 TREND 미호강과 역사문화 / 강민식 청주백제유물전시관 학예연구사 미호강 유역의 물환경 현황…

    2019-02-18 17:30:41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CRI 오피니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25. 07. 21. 발간][충청매일 - 오피니언 - 칼럼 - 김영배의 지속가능한 세상 만들기]최근 글로벌 정세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이란 분쟁 등 국제 안보 불안과 기술패권 경쟁, 보호무역주의 심화 등으로 복합적 위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대내외 불확실성 속에서 대한민국이 직면한 핵심 과제는 명확하다. 바로 저성장, 인공지능(AI), 기후 위기라는 세 가지 도전과제이다. 첫째,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생산 가능 인구 감소와 잠재성장률 하락, 가계 부채 누적이 심화하고 있다. 이에 따른 소비 위축과 성장 둔화는…

    2025-07-21 14:26:48
  • [2024. 07. 18. 발간][충청매일 - 오피니언 - 배명순의 the 생각해보기]최근 괴산댐의 수위(물 높이)를 두고 말들이 많은 것 같다. ‘댐과 보 등의 연계운영 규정’(환경부훈령 제1627호)에서는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에 주요 댐들이 지켜야 할 제한수위(해발 고도)를 지정하고 있다. 충주댐은 138.0m, 괴산댐 134.0m, 대청댐 76.5m, 용담댐 261.5m이다. 일시에 유입되는 많은 양의 강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댐의 수위를 평상시보다 낮게 운영하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홍수기 제한수위도 200년, …

    2024-07-18 16:46: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