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특징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9개
  • 게시물 118개
  • 7/12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화보][제1장] 서언[제2장] 연혁[제3장] 지리[제4장] 관공서 및 조합/은행/회사[제5장] 농업[제6장] 임업[제7장] 광업[제8장] 공업[제9장] 상업[제10장] 교통운수[제11장] 통신기관[제12장] 재정[제13장] 금융[제14장] 물가[제15장] 노은[제16장] 교육[제17장] 종교[제18장] 소방위생[제19장] 직업별[부록] 명소구적

    2021-06-28 09:50:05
  • [발간사][제1장] 지지[제2장] 교통/운수/하천[제3장] 통신 및 전기사업[제4장] 지방행정[제5장] 사회사업[제6장] 교육[제7장] 신사 및 종교[제8장] 문묘[제9장] 농업[제10장] 임업[제11장] 상업[제12장] 공업 및 공장[제13장] 광업[제14장] 재정 및 경제[제15장] 위생명승고적[부록] 청주군세요람 원문

    2021-06-28 09:50:05
  • 발간사제1부 패러다임 전환기 충북 문화예술의 고민거리▪충북 문화예술의 새로운 모색 _ 임승빈▪예술과 디지털 기술의 융·복합에 대한 문제의 재정의 _ 김정이▪코로나 시대 문화예술의 고민거리 _ 윤정용제2부 역지사지로 다가서야 할 문화예술정책▪ 지방정부의 지역 문화예술정책_ 한용진▪ 충북문화재단 지원사업 현황 분석을 통한 정책 제언 _ 정지현▪ 충청북도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제언 _ 최선영제3부 함께 가꾸고 누려야 할 충북 문화예술▪ 장애인예술의 현재와 미래 _ 이영미▪ 예술창작기반 활성화 전략 _ 민경준▪ 충북지역 공연예술의 현황 및…

    2021-06-28 09:50:05
  • 충북지역 6·25전쟁의 특징과 성격 / 8-양영조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에 따른 충북 지역 변화 / 28-김양식 | 충북연구원 충북학연구소 대담_6·25전쟁 70년, 충북의 기억과 의미 / 46 1970년대 새마을운동 관련 연구에 대한 논쟁과 2010년 이후 새마을운동의 학문화 과정에 관한 연구 / 74-이정락 | 영남대학교 새마을국제개발학과 1920년대 충북지역 새마을운동 자료 검토 / 98-김양식 | 충북연구원 충북학연구소 대담_새마을운동 50년, 충북의 기억 / 123 …

    2021-06-28 09:50:05
  • 우리 물길, 왜 미호천인가? _ 9물길의 발원(發源)은 만물의 발원(發願)으로 말미암아 _ 15마이산, 중부지방 생태계의 보고(寶庫) _ 29산 아래 첫 물길, 도랑 _ 34생태농법의 첨병, 둠벙을 되살리자 _ 43모래내, 모래장터 이야기 _ 50미호천유래 ‘미곶’의 아름다운 풍광 _ 57물길의 자유 막는 물길 직선화 공사 _ 64빛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 승자가 된 덩굴식물들 _ 72물 가두는 콘크리트 보, 하천 오염의 주범 _ 80황새의 전설 깃든 물푸레나무 _ 86토종민물고기, 하천 생태계가 준 선물 _ 95논우렁이, 생명의 …

    2018-02-09 16:27:16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1~2)◈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의 역사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꾸준히 ‘충북학연구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는 충북의 선사문화를 다루고 있다. 특히, 중원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발간된 충북의 선사문화는 충북지역 역사의 시원을 밝히고 중원문화권의 한 특징을 학술적으로 명백히 규명하고 있어 발간 의의가 더 크다. 또한 충북지역에서 발달된 선사문화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과…

    2009-03-16 00:00:00
  • 나말여초기(羅末麗初期) 충북지역 환호(環壕)의 특징 / 8- 박한철 | 충청북도 문화재연구원1444년 세종대왕의 청주목 초수리 거둥과 토지공법 / 30- 조혁연 | 충북대학교 사학과 초빙교수용애(龍崖) 신응태(申應泰)의 삶과 시세계 / 43- 김용남 | 전 충북대학교 강사연초재 오상렴의 창랑옹모산별업십육경소지에 대한 역주 / 65- 김종수 | 세명대학교 외래교수단양팔경(丹陽八景)의 정립과 채진두(蔡鎭斗)의 「단양팔경」에 대한 고찰 / 81- 이상주 | 전 중원대학교 한국학과 교수충청권 아리랑유산의 실상과 전승 / 108- 이창식 |…

    2020-05-13 23:36:35
  • 연구논문충주 지역의 학교 설립 과정과 단계별 의미 고찰(1) /8김희찬·비영리단체 <아이들의 하늘> 주비위원회 간사엄필진(嚴弼鎭)의'조선동요집(朝鮮童謠集)'(1924)에 대한 일고찰 /46전계영 - 충북대학교 강사정지용(鄕愁)의 再考 /61김묘순 - 우석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수료류선열 동시의 시정신과 형상화 방법 /83정 민 - 세명대학교 강사중고제 판소리의 교육적 가치와 학교 현장 착근 방안 /106김재국 - 세광중학교 교사청주지역어의 특징적인 모음 관련 음운 현상 고찰 /119배영환 - 제주대학교 교수인…

    2018-02-13 13:05:46
  • 1. 충북시론- 청풍명월 양반문화 선비정신2. 연구논문- 충북문화와 충북문학의 사상적 특징- 청주 지명 상당에 대하여- 동학혁명사에 나타난 손병희의 행적 연구- 충북 구인사 삼회향놀이의 전승과 보존- 충추지역의 상호에 나타난 특징과 현상 고찰- 충주 화전지역 7월 동제의 특성과 변화3. 연구논단- 청주 신봉동 고분군의 특징과 조영주체- 우륵의 탄생지 성열현과 사열이현4. 문화초점- 충북문화재단 출범 1년, 문화재단의 역할과 과제- 수암골 보전과 개발 딜레마 벗어나기5. 인물 탐구- 예성을 터 삼아 살아온 충주 유씨- 어당 이상수- …

    2013-01-24 00:00:00
  • - 2012 충북민속문화의 해에 바란다(이해준) 2012 충북 민속문화의 해 기념- 남한강, 북한강 민속자원의 비교와 가치창조(이창식)- 충청북도 제천시 오티마을 동제의 구조와 변화양상(최명환)- 충북지역 영등신앙의 전승양상과 특징(강성복)- 무속신앙 공간의 형성과 운영: 충북 청주시 우암산과 주변지역을 중심으로(오문선)- 청주읍성 성벽구간 및 성안지역 발굴조사 성과 및 의의 (노병식)- 하늘재, 새로운 길을 열다 (어경선)- 청주국제공예비엔날레의 새로운 지향점을 위하여(김민경)- 새로 보는 지명 이야기: 잘못 전하여지는 옥녀봉과 …

    2012-01-10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