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2017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39개
  • 게시물 767개
  • 36/77 페이지 열람 중

충북경제동향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17년 6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5.0(2010=100)으로 전월대비 0.5p 하락 ○ 동행종합지수는 연중 등락세가 반복되고 있는 가운데 금월 하락 전환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8.7로 전월대비 0.8p 하락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금월 하락 전환되며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광공업생산지수, 비농가취업자수, 전력판매량,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등이 하락·감소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하락을 견인 # 첨부 1 : 2017년 …

    2017-08-17 10:47:35
  • 2017년 5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5.5(2010=100)로 전월대비 0.7p 상승 ○ 동행종합지수는 연중 등락을 반복하다 금월 상승 전환되는 모습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3으로 전월대비 0.3p 상승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상승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수입액, 비농가취업자수 등이 상승·증가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상승을 견인 # 첨부 1 : 2017년 5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2017-07-12 16:28:09
  • 2017년 4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4.8(2010=100)로 전월대비 0.4p 하락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금월 하락 전환되며 연중 등락을 반복되는 모습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8.9로 전월대비 0.7p 하락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하락세를 지속하며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광공업생산지수,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수입액 등이 하락·감소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하락을 견인 # 첨부 1 : 2017년 4월 충북경기동…

    2017-06-15 10:14:54
  • 2017년 3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5.1(2010=100)로 전월대비 0.3p 상승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전월 하락에서 금월 상승 전환되는 모습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4로 전월대비 0.1p 하락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하락하며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광공업생산지수, 비농가취업자수, 전력판매량,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수입액 등 모든 지표에서 상승·증가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상승을 견인 # 첨부 1 …

    2017-05-18 15:52:03
  • 2017년 2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4.9(2010=100)로 전월대비 0.2p 하락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2016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다 금월 들어 하락 전환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5로 전월대비 0.5p 하락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5p 하락하며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대형소매점판매액지수, 광공업생산지수, 수입액 등이 하락·감소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하락을 견인 # 첨부 1 : 2017년…

    2017-04-12 16:30:50
  • 2017년 1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125.1(2010=100)로 전월대비 0.4p 상승 ○ 경기동행종합지수는 전월대비 상승하며 2016년 하반기 이후 상승세가 지속되는 모습 □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99.9로 전월대비 0.1p 하락 ○ 경기국면을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하락하며 기준치 100을 하회 □ 구성지표 중 전력판매량, 수입액 등이 감소세를 나타내며 경기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하락을 견인 # 첨부 1 : 2017년 1월 충북경기동행종합지수 작성 결과…

    2017-03-15 18:01:22

CRI 오피니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23. 02. 12. 발간][충북일보 - 오피니언 - 기고]자치분권위원회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통합을 위한 근거법이 조만간 국회에서 통과될 것으로 예상하고, 조정이 필요한 각론에 대한 조율이 한창이다. 특히, 현재 추진되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지방시대위원회로의 전환 작업을 필두로 5차 국가균형발전계획과 17개 시도에서 하위계획으로 수립 중인 지역발전계획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방 입장에서는 법과 계획에 담길 기회발전특구와 도심융합특구 등 새로 도입될 특구에 관한 관심이 큰 것으로 과열 양상을 띨 정도로 준…

    2023-02-13 15:38:56
  • [2022. 06. 19. 발간][충북일보 - 오피니언 - 기고]성장거점전략, 광역발전전략, 균형발전전략이 추진된 2000년대 이전 시기를 균형발전 1.0의 시대라 칭한다. 균형발전 1.0 시대는 빈곤 탈출과 자립경제기반 구축, 수도권 과밀 집중억제와 낙후지역 지원이 국가정책의 현안 과제로 인식되었고, 정책목표의 핵심가치 또한 성장과 개발이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중앙정부 주도로 이루어진 시기였다. 균형발전 2.0 시대는 정부에 따라 분절화되어 추진된 시기로 2004~2008년 국가균형발전전략, 2009~2013년 광역경제권전략…

    2022-06-21 20:33:37
  • [2022. 04. 10. 발간][국토연구원 - 월간 국토 - 2022년 4월 (통권486호) - 창조적 도시재생 시리즈15]2014년부터 시작된 도시재생사업은 2017년 도시재생뉴딜사업을 통해 더욱 확대되어 현재 전국적으로 많은 도시재생사업이 진행 중이다. 도시재생 선도사업이 시작된 이후 벌써 8년이 지나 초기의 도시재생사업은 종료되었고, 뉴딜사업도 하나둘씩 종료되고 있다. 국비 사업이 종료되면서 주민들을 비롯하여 관계자들은 여러 가지 걱정이 앞선다. 이제 관리는 어떻게 하나? 그동안 중앙정부, 지방정부 그리고 현장지원센터가 주민…

    2022-05-10 15:36:51
  • [2022. 04. 19. 발간][중부매일 - 오피니언 - 외부칼럼 - 중부시론]코로나19 펜데믹 상황의 장기화로 우리의 일상생활 환경과 사회ㆍ경제적 패러다임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삶에 대한 태도와 가치변화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 중의 하나가 바로 일ㆍ생활 균형지수인데, 일명 워라밸 지수(work-life-balance Index)라고도 한다.고용노동부는 전문기관에 위탁하여 지난 2017년부터 매년 지역별로 일과 생활의 균형 정도를 보여주는 지역별 워라밸 지수를 발표해 오고 있다. 이는 일, 생활, 제도…

    2022-04-29 16:4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