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호수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4개
  • 게시물 22개
  • 2/3 페이지 열람 중

지역정책연구 테스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배성훈.박영원 / 나노 기술 경쟁력 지수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라휘문 / 지방재정의 자율성과 책임성 진단 및 정책방향 홍병곤 / 인과지도를 이용한 도시재생패턴 연구 윤태웅 / 정부위원회에 대한 지방참여 확대방안 연구 성보현 / 관광자원으로서 호수의 개발방향 수립을 위한 여건분석 지표개발 이행준/ 지방정부의 기관구성 다양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17-02-15 13:39:24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 충북학 연구총서 : 6* 저자 : 정삼철(본원산업경제/문화관광실장), 전호수(충북대 강사)발간사제1장 조선시대 공물 진상제도와 토산물의 분류제2장 조선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3장 조선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4장 조산후기 충청북도 토산명품부록 : 토산물, 특산물의 품목별 해설

    2009-03-18 00:00:00

지역발전연구센터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01_ 권두언• 바다가 없는 충북 757개 호수가 품은 新 균형발전전략 - 4김진덕 l 충청북도 정책보좌관·前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02_ 기획특집• 수변 도시재생의 대표주자, 물류창고에서 시작한 ‘클락키'처럼! - 7• 하천은 즐거운 곳! 파주, 친수환경 생태도시-11• 여가·문화공간으로 탈바꿈! '서울형 수변감성도시'-14• 다시 살아난 '울산의 젖줄' 태화강 국가정원-17• 친수공간 브랜딩, 충북이 나아가야 할 방향-1903_ 충북 지역균형발전사업 탐방스토리(XIV)• 3·4단계 사업 현장점검(2분기) 추진-2303_ 지역발전…

    2022-10-14 23:45:37

CRI 오피니언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2023. 11. 23. 발간][충청매일 - 오피니언 - 배명순의 the 생각해보기]그런데 유독 물(수자원) 관리에서는 이러한 자치 분권에 어려움을 겪어왔고, 아직도 갈 길이 멀다. 대표적 공공의 환경재이면서 인간의 기술로 어느 정도 통제가 가능한 자원이기 때문에 쉬운 듯 어려운 것이 물 관리 정책이다. 많은 논의 끝에 2018년 통합물관리가 시작됐고, 중앙정부 중심의 물관리 체제에서 유역과 지역 중심의 물관리로 전환할 수 있는 법도 제정됐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이 수립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4대강 유역별 물관리종합계획도 수립됐다.…

    2023-12-19 20:39:10

공지사항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충북개발연구원의 웹진"CRIzine" 2호 가 발간되었습니다. 이번호에서는 - 칼럼 : 첨단의료복합단지와 아전인수 / 김규원 연구위원 - 연구 Brief : *충북의 마을숲 분포와 활용방안 / 우장명 연구위원 * 지방정부의 개방형 임용제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최용환 연구위원 - CRI이슈 : 한강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의무제전환과 우리도의 대응방안 / 배명순 연구위원 -충북경제동향 : 2008년 12월 충북경기선행종합지수 / 경제분석팀 - 최신발간물 : 지역졍책연구 (제19권 제2호) 외 - 충북 NO…

    2009-03-03 00:00:00

보도자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조선 최고의 충북특산 전통명품 브랜드 정체성 확인 조선시대 "충북특산 진상명품 브랜드" 발간 - 충북의 산하(山河)에서 빗어낸 충북특산 진상명품을 한 눈에 - - 지역특산 진상품으로 통하는 "농업명품도 충북"의 바탕문화 확인 - 충북개발연구원(이 수 희 원장) 부설 충북학연구소는 충북학연구총서 발간사업을 추진하여 역사적으로 충북의 산하에서 생산되었던 지역전통 특산물과 충북에서 진상되었던 진상명품의 문화적 바탕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조선시대 충북특산 진상명품 브랜드](정삼철 ? 전호수 공저, …

    2009-03-17 00:00:00

포토갤러리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뉴스클리핑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충청북도는 26일 충북 대표도서관 건립 공청회를 충북연구원 대회의실에서 개최하였다.이날 공청회는 충북대표도서관 역할 및 나아 가야할 방향에 대해 전문가, 도서관 관계자, 도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마련됐다.공청회는 ▲곽승진 한국도서관협회장(충남대 문헌정보학과 교수)이 좌장을 맡아 진행했으며, ▲노영희 건국대교수와 이승모 수원과학대학교 교수가 충북 대표도서관 건립 운영부문과 건축부문에 대하여 각각 주제발표를 하였으며, 충북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운영전략을 제시하였다.토론에서는 ▲최용환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연지민 충청타임…

    2024-01-14 19:40:56
  • ◇성보현 충북연구원 문화산업연구부장=강원도에서는 부족하다고 하겠지만 타 지역민으로서는 부러운 자원이 많이 있다. 고성의 경우 바다와 달리 호수는 지역 주민과 분리돼 있다는 점, 양구는 생활 근거지로서 사회적 인프라를 어떻게 구축해야할지 고민하면 좋겠다.

    2023-06-14 10:29: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