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5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8개
  • 1/1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연구논문 ▪ 객사와 창고로 본 충주 읍성의 공간 분할과 기능 / 8 김희찬∣예성문화연구회 ▪ 을미사변 직후(1896년) 작성된 「음성통문(陰城通⽂)」에 대한 고찰 / 31 이상주∣전 중원대학교 교수 ▪ 의열단(義烈團) 창단과 「조선혁명선언(朝鮮⾰命宣⾔)」의 역사적 의의 / 48 박걸순∣충북대학교 교수 ▪ 박순행(朴洵⾏)의 <속리유기(俗離遊記)>에 대한 고찰 / 67 김용남∣충북대학교 강사 ▪ 정지용 시 새로 읽기: 윌리엄 블레이크 논문과 「유선애상」을 중심으로 / 86 윤정용∣고려대학교 글로벌학부 초빙교수 ▪ 문…

    2024-05-07 22:04:09
  • [화보][제1장] 서언[제2장] 연혁[제3장] 지리[제4장] 관공서 및 조합/은행/회사[제5장] 농업[제6장] 임업[제7장] 광업[제8장] 공업[제9장] 상업[제10장] 교통운수[제11장] 통신기관[제12장] 재정[제13장] 금융[제14장] 물가[제15장] 노은[제16장] 교육[제17장] 종교[제18장] 소방위생[제19장] 직업별[부록] 명소구적

    2021-06-28 09:50:05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2)□일러두기61. 1896∼1909년 신문 도정자료72. 1910년대 신문 도정자료1153. 1920년대 신문 도정자료1954. 1930년대 신문 도정자료3415. 1940년대 신문 도정자료517

    2015-01-19 16:58:11
  • ◈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 제5집은 충북의 구곡과 구곡시를 다루었다. 저자인 이상주 박사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구곡과 구곡시를 발굴 소개하여 충북지역의 구곡문화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특히, 충북에는 한국(남한의 중심)에서 구곡이 가장 많이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구곡과 구곡시는 문화의 세기에 충북은 물론 국내에서주목해야 할 문화자산으로, 이는 향후 구곡과 그 주변문화유적과 연계해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충북의 경제활성화에도 기여할 수잇을것으로 전망하였다.한편, 이상주 박사는 청주신흥고 교사를 거쳐, 현재 극동대 외래교수…

    2009-03-16 00:00:00
  • ◈ 100년전 충북의 옛 시리즈는 지난 2000년부터일제시대 충북지역의 사회경제상을 담고 있다 . 이번 청주, 청원 편은 광복 60주년을 맞아 1909년 이들 지역에 대한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사료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2009-03-16 00:00:00
  • ◈ 이 책은 크게 속리산국립공원 내에 있는 산들을 속리산 지역과 화양구곡, 그리고 쌍곡계곡 지역으로 나누어 해당 지역에 있는 산을 중심으로 주변지역의 역사 문화적 자취를 기행하는 사람의 시각으로 소개하고 있다.

    2009-03-16 00:00:00
  • 연구논문-「병자일기」에 나타난 17세기 충주 이안 지역의 농법 /조학연- 1894년 일본군 철로실측대 호위병과 충청도의 동학농님군 진압 /신영우- 우암의 한글 편지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배영환- 봉암 채지홍의 한시 세계 /조영임-「林巨正」의 저항의식과 봉건의식 /김진석- 충북 고구려 민속과 온달의 지역적 인식 /이창식연구논단- 백제의 독산성 고(考) /김현길- 오송 봉산리 옹기가마의 문화재적 가치 /염경화문화초점- 그릇의 메카 청주로 가는 첫 걸음 /연규민- 문화도시를 위한 문화예술인 거주지 조성 /2창수인물 탐구- 옥천 출신, …

    2014-01-06 11:30:29
  • [특집] 보은집회는 동학농민혁명의 전사였다.- 동학농민혁명과 충북, 그리고 그 정신 / 이이화- 1892-93년 동학농민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 우윤- 1893년 보은 장내리의 동학집회와 그 성격 / 신영우- 보은 동학농민혁명 기념공원 조성사업의 문제점 / 신순철[연구논문]- 성석 이건석의 생애와 국권 수호운동 / 김대길- 1910-1945년에 조영된 충북지역 전통한옥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정현석- 조선후기 충청도 관아건축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김기덕- 충청북도의 기록물관리 현황과 발전방안 / 장영미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