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55개
  • 4/6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 지난 2000년부터 일제시대 충북의 사회상을 담고 있는 『100년 전 충북의 옛 모습』시리즈를 발간해오고 있으며, 금년엔 보은군편을 발간하였다. 본 사료편찬을 통해 보은지역의 역사적 사실과 정체성을 확인할 있는 계기와 더불어 올바른 지역사관의 정립에 도움을 줄 것이다.

    2009-03-16 00:00:00
  • ◈ 본 자료집에 록한 자료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료대한민국사"에서 충북 관련 자료를 뽑아 정리하였으며, 한국전쟁기충북관련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다.

    2009-03-16 00:00:00
  • ◈ 100년전 충북의 옛 시리즈는 지난 2000년부터일제시대 충북지역의 사회경제상을 담고 있다 . 이번 청주, 청원 편은 광복 60주년을 맞아 1909년 이들 지역에 대한 역사를 살펴볼 있는 사료를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2009-03-16 00:00:00
  • ◈『충북 100년 연표』는 충청북도가 시작된 1896년 8월 4일 부터 민선3기 도지사가 취임한 2002년 7월 1일까지 충북지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주요 사항을 실어 충청북도의 변화 모습을 종합적으로살펴 볼 있게 하였다.

    2009-03-16 00:00:00
  • ◈ 이번에 ‘충북학 자료총서’ 제3집으로 발간된 자료집은 충북 영동 출신인 애국지사 이건석 (1852-1906)의 국권호를 위해 주로 활동한 시기인 1895년에서 1905년까지 10여 년의 활동내역을 담고 있다. 이 자료집에는 각종 상소문의 초고와 소청의 운영과 관련된 자료, 소청에 참여한 인물들의 명단과 생년, 아호, 거주지, 등이 자세하게 록된 到記, 제문, 만장, 간찰 등이 포함되어 있다. 본 자료집의 출간을 계기로 19세기말 20세기초 국가적 위난의 시기에 국권호를 위해 활동한 분들에 대한 재조명의 기회가 될 것이다.

    2009-03-16 00:00:00
  • ◈ 올바른 지역사관의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지난 2000년부터 일제시대 충북지역의 사회, 경제상을 담고 있는 『100년 전 충북의 옛 모습』시리즈로 충주시, 제천시, 괴산군에 이어 “진천군편”이 발간되었다. “진천군편”에서는 한일합방직전 진천군의 역사를 살펴 볼 있는 1909년도의 사료를 한글로 국역한 것으로 당시 구한말 사회상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제1편에서는 진천군의 사회 경제상으로 연혁, 지리, 관할구역, 민적, 교통, 농상업, 공업, 임광업, 목축, 재정, 재산, 금융, 교육, 종교, 우체국, 경찰, 위생, 재판, 감…

    2009-03-16 00:00:00
  • ◈ 이 책은 1896년부터 1910년까지 충북 관련 신문기사를 집대성한 "충북100년신문기사집성" 제1권의 후속편이다. 이 책에 록된 신문기사는 1911년부터 1919년까지 발행된 <매일신보>에서 충북 관련 기사만 발췌하였다.

    2009-03-16 00:00:00
  • ◈ 본원 부설 충북학에서는 2000년부터 매년 1편씩 충북학연구총서 시리즈를 통해 충북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전문연구서를 발간하고 있다. 제1권 ‘충북의 석조미술’, 제2권 ‘충북의 민속문화’에 이어 제3권 ‘충북의 고대사회’를 기획 발간하였다. 충북지역의 고대사 연구는 지방사의 입장에서 충북 고대의 역사와 문화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1장‘충북의 자연과 지역별 역사’, 2장 ‘전쟁’, 3장 ‘도시-중원경, 서원경’, 4장 ‘교통로와 산성’, 5장 ‘생산자와 취’, 6장 ‘불교문화’로 구성 록되어 있다.

    2009-03-16 00:00:00
  • ◈충북테마기행 4호로 발간된 ‘ 충북의 유교문화를 찾아서’는 호서사림의 본향인 충북의 풍부한 유교적 자산을 바탕으로 기행서 형태를 빌어 충북지역 시군별로 각 지역 유교문화의 독창성과 위상을 알리고 , 유교문화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의 폭을 넓힐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2009-03-16 00:00:00
  • ◈ 충북학 자료총서 두 번째 시리즈로 발간된 ‘충북의 무가무경’이 발간되었다. ‘충북의 무가무경‘은 현지조사를 바탕으로 충북 전역의 제의 현장을 누비며 방대한 자료를 채록하고, 난해하기 이를 데 없는 전서 및 주석작업을 꼼꼼히 마무리하였다. 주요 내용으로는 제1장 축사경문 ,제2장 축원문, 제3장 가신경문, 제4장 가신풀이, 제5장 해원풀이 등이 록되어 있다. 이외에 새로이 소개하는 10여편의 자료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충북지역 현장에서 직접 채록 내지 집한 자료들을 담고 있다.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