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57개
  • 3/6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제1장 충북민속학 총론 /이창식 제2장 충북인의 일생의례 /최명환제3장 충북의 세풍속 /안상경제4장 충북의 구전민요 /이창식제5장 충북의 무가.무경 /안상경제6장 충북의 민속놀이 /안상경제7장 충북의 구비전승-충북의 설화와 이야기꾼 /이상희제8장 충북인의 민속신앙 /최명환제9장 충북의 향토음식문화 /김운주.이규진제10장 충북 민속문화콘텐츠산업과 스토리텔링 /이창식

    2012-09-19 00:00:00
  • 1. 우리 술 이야기1) 술의 기원과 역사2) 전통주의 종류2. 전통술과 민속문화1) 일생을 함꼐하는 술2) 술과 함꼐 하는 한 해3) 이야기로 풀어낸 술- 충북전통술- 충북 청주와 약주- 충북 막걸리

    2012-01-11 00:00:00
  • 총론 : 마음으로 읽는 중원인의 옛 얼굴 대의 자화상불상 든든한 마을 지킴이장승 수백 년 죽은 이를 지켜온 돌사람들문인석 유리창 너머의 세상으로박물관

    2010-01-29 00:00:00
  • 발 간 사제1편 옥천?청산지역의 사회경제상 1- 제1장 연혁 3- 제2장 지리 4 1. 산악 4 2. 하천 4- 제3장 관할구역 5 1. 관찰도 5 2. 군?면?동리 5 3. 경찰서 5 4. 이사청 6 5. 재무서 7 6. 우편관서 7 7. 재판소 및 감옥 8 8. 수비대 9 9. 헌병분견소 10 10. 도?군직원 11- 제4장 민적 12 1. 호구수 12 2. 직업별 가구수 및 인구수 12 3. 관신유생 13 4. 일본인 14- 제5장 교통 15 1. 도로 15 2. 교량 16 3. 선수 16 4. 운수 및 운임 17 5. 도진 …

    2009-06-18 00:00:00
  • * 충북학 연구총서 : 6* 저자 : 정삼철(본원산업경제/문화관광실장), 전호수(충북대 강사)발간사제1장 조선대 공물 진상제도와 토산물의 분류제2장 조선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3장 조선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4장 조산후기 충청북도 토산명품부록 : 토산물, 특산물의 품목별 해설

    2009-03-18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테미기행 리즈 8집으로 - 중원문화의 꽃 - “충북의 국보와 보물을 찾아서”를 발간하였습니다. 국토의 중심부에 위치한 충청북도는 내륙을 관통하는 남한강과 금강 그리고 태백산에서부터 이어지는 백두대간 민족생태공원의 중심축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더욱이 지질학적으로는 석회암지대가 널리 발달한 관계로 동굴과 바위그늘을 중심으로 구석기대의 생활유적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데, 제천 점말동굴, 청원 두루봉동굴, 단양 금굴 등 동굴유적과 제천 명오리, 창내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청원 샘골 유적 등 한데유적이 대…

    2009-03-16 00:00:00
  • ◈ <1909년 한일합방 직전, 충북 음성군의 사회경제 생활실상 파악 가능> - 본 책자는 지금으로부터 약 100년전 한일합방 직전 기인 1909년에 충청북도관찰도(忠淸北道觀察道)에서 발간한 '韓國忠淸北道一班'(隆熙 3年)이라는 자료를 번역 발간한 것이다. - "한국충청북도일반"이라는 원전자료는 원래 전편 도황(道況)과 후편 군황(郡況)으로 구성된 약 716쪽(목차포함)에 달하는 구한말 충북지역의 생활실상을 살펴볼 수 있는 방대한 자료가 수록되어 있는 귀중한 향토자료이다. -금번에 발간된 '1…

    2009-03-16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2003년 테마기행서 『산비이속 국립공원 속리산』을 발간한 이후 4년먼에 비로소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안내 및 기행서를 펴내게 되었다. 이번 신라천년의 마지막 꿈『국립공원 월악산』에서는 송계지구 1/2, 덕산지구, 단양지구로 나누어 월악산에 숨겨진 문화유산과 역사,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사진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우리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를 동에 수록하고 있다.

    2009-03-16 00:00:00
  • ◈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 제5집은 충북의 구곡과 구곡를 다루었다. 저자인 이상주 박사는 학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구곡과 구곡를 발굴 소개하여 충북지역의 구곡문화를 새롭게 정립하였다. 특히, 충북에는 한국(남한의 중심)에서 구곡이 가장 많이 설정되어 있다고 한다. 구곡과 구곡는 문화의 세기에 충북은 물론 국내에서주목해야 할 문화자산으로, 이는 향후 구곡과 그 주변문화유적과 연계해서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충북의 경제활성화에도 기여할 수잇을것으로 전망하였다.한편, 이상주 박사는 청주신흥고 교사를 거쳐, 현재 극동대 외래교수…

    2009-03-16 00:00:00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1~2)◈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의 역사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꾸준히 ‘충북학연구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는 충북의 선사문화를 다루고 있다. 특히, 중원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발간된 충북의 선사문화는 충북지역 역사의 원을 밝히고 중원문화권의 한 특징을 학술적으로 명백히 규명하고 있어 발간 의의가 더 크다. 또한 충북지역에서 발달된 선사문화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과…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