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역사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32개
  • 2/4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청주 출신 여성지식인 사주당 이씨훈장으로 평생을 바친 어당 이상수동학농민혁명의 숨은 기획자 서장옥이토 히로부미 포살 또 한 명의 주역 우덕순관선정을 세워 한학의 전통을 이은 남헌 선정훈눈 덮인 설산을 홀로 걸어간 화가 심향 박승무

    2014-01-06 10:52:56
  • 1장 박춘무 / 이석린2장 해동서성 김생 / 연규상3장 어의 이공기 / 구완희4장 약천 남구만 / 성당제5장 일완 김유신 / 조익현6장 백곡 김홍도 / 정연정

    2011-12-21 00:00:00
  • 1장 우륵 / 이창신2장 수암 권상하 / 정연승3장 단재 신채호 / 정연정4장 표암 강세황 / 정세근5장 일완 홍범식 / 박걸순6장 백곡 김득신 / 김양식7장 신미대사 / 류정환8장 정지용 / 이석우9장 만오 홍진 / 한신준

    2011-04-28 00:00:00
  • 제1장 예관·觀 신규식申圭植 | 신범수1. 예관 신규식, 그는 어떤 사림인가? 162. 애국청년 신규식 233. 무관 신규식에서 세상을 흘겨보는 불령선인(不逞鮮人) 신정(申精)으로 244. 신규식은 왜 상해로 갔을까? 325. 한국인 최초로 신해혁명에 참가하다 356. 동제사(同濟社), 신아동제사(新亞同濟社)를 결성하다 387. 제1차 세계대전과 대동단결선언 428.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출범 489. 피와 눈물로 엮은 민족운동의 지침서 『한국혼(韓國魂)』61제2장 의암義菴 손병희孫秉熙 | 신범수1. 서자의 멸시와 차별 속에서 방황한…

    2009-07-02 00:00:00
  • □책을 펴내며□일러두기ⅵ제1편 환경1 제1장 지세3 제2장 기후3 제3장 산천4 제4장 토지6 제5장 역사6 제6장 호구 및 직업8 제7장 행정9 제8장 재정17 제9장 금융26제10장 교육30제11장 종교40제12장 위생43제13장 교통운수47제14장 통신53제15장 사법․경찰․군사55제16장 기타58제2편 산업61 제1장 농업63 제2장 수리80 제3장 토지의 개량82 제4장 잠업82 제5장 목축87 제6장 임업90 제7장 상업99 제8장 공업106 제9장 광업111제10장 광천114제3편 사업과 인물117제4편 저명한 도시16…

    2020-05-13 23:28:13
  • 충북바로알기제1부 충청북도 현황 제1장 충청북도의 자연환경 제2장 충청북도의 일반현황제2부 충청북도 역사 제1장 선사시대의 충북 제2장 고대의 충북 제3장 고려시대의 충북제4장 조선시대의 충북제5장 근대·일제강점기의 충북 제6장 광복과 한국전쟁제3부 충청북도의 문화 제1장 충청북도의 문화유산 제2장 충청북도의 민속문화 제3장 충청북도를 빛낸 인물

    2016-02-19 15:01:00
  • 책을 펴내며새야새야 파랑새야혁명전야혁명의 깃발은 올라가고노비문서를 불사르라피로 물드는 충북의 산하동학농민전쟁, 꺼지지 않는 역사의 등불

    2015-09-10 16:47:52
  • 1. 우리 술 이야기1) 술의 기원과 역사2) 전통주의 종류2. 전통술과 민속문화1) 일생을 함꼐하는 술2) 술과 함꼐 하는 한 해3) 이야기로 풀어낸 술- 충북전통술- 충북 청주와 약주- 충북 막걸리

    2012-01-11 00:00:00
  • ◈ 충북학연구소에서는 2003년 테마기행서 『산비이속 국립공원 속리산』을 발간한 이후 4년먼에 비로소 월악산국립공원에 대한 안내 및 기행서를 펴내게 되었다. 이번 신라천년의 마지막 꿈『국립공원 월악산』에서는 송계지구 1/2, 덕산지구, 단양지구로 나누어 월악산에 숨겨진 문화유산과 역사, 그리고 그 속에 담긴 이야기들을 사진과 함께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으며, 우리 지역과 관련된 다양한 읽을거리를 동시에 수록하고 있다.

    2009-03-16 00:00:00
  • ※ 해당 자료는 충북학 연구소에 문의 바랍니다. (043-220-1161~2)◈ 본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에서는 충북의 역사적 토대와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꾸준히 ‘충북학연구총서’를 간행하고 있다. 이번에 발간된 연구총서는 충북의 선사문화를 다루고 있다. 특히, 중원문화권에 대한 올바른 개념정립을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번에 발간된 충북의 선사문화는 충북지역 역사의 시원을 밝히고 중원문화권의 한 특징을 학술적으로 명백히 규명하고 있어 발간 의의가 더 크다. 또한 충북지역에서 발달된 선사문화는 다른 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문화적인 특징과…

    2009-03-16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