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24개
  • 1/3 페이지 열람 중

충북학연구소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연구논문 ▪ 객사와 창고로 충주 읍성의 공간 분할과 기능 / 8 김희찬∣예성문화연구회 ▪ 을미사변 직후(1896년) 작성된 「음성통문(陰城通⽂)」에 대한 고찰 / 31 이상주∣전 중원대학교 교수 ▪ 의열단(義烈團) 창단과 「조선혁명선언(朝鮮⾰命宣⾔)」의 역사적 의의 / 48 박걸순∣충북대학교 교수 ▪ 박순행(朴洵⾏)의 <속리유기(俗離遊記)>에 대한 고찰 / 67 김용남∣충북대학교 강사 ▪ 정지용 시 새로 읽기: 윌리엄 블레이크 논문과 「유선애상」을 중심으로 / 86 윤정용∣고려대학교 글로벌학부 초빙교수 ▪ 문…

    2024-05-07 22:04:09
  • [책을펴내며]1. 서론 - 232. 고문헌을 통해서 미호강의 명칭 - 293. 미호강 명칭에 관한 역사언어학적 연구 - 734. 결론 - 115[부록] - 119

    2024-05-07 22:04:09
  • 관내도 · 6화보 · 7서문 · 19저자의 서문 · 20제1장 충청북도■ 개설 · 23■ 역사 · 23■ 기후, 산천 및 토지 · 24■ 산천(山川) · 25■ 토지 · 26■ 호구(戶口)와 직업 · 27제2장 행정■ 도의 조직 · 28■ 군(郡)의 조직 및 행정구획 · 29■ 면의 조직 · 30■ 국비세출경상부 · 31■ 세입 경상부 · 31■ 세입 임시부 · 32■ 세출 경상부 · 32■ 세출 임시부 · 33■ 면의 재정 · 34제3장 금융 및 교육■ 일인 교육 · 37■ 충청북도 학교 총람표 · 38■ 조선인 교육 · 38제…

    2021-06-28 09:50:05
  • 특집: 충북의 독립운동가 우당 권동진 선생의 생애와 독립사상▪우당 권동진의 생애와 민족독립운동 ······································································ 8이용창∣민족문제연구소▪권동진의 3・1운동 초기단계 주도와 독립사상의 피력 ······································· 42박걸순∣충북대학교▪충북 괴산출생 권동진의 친필시문과 유허지 ······················································ 63김근…

    2021-06-28 09:50:05
  • ◎ 조선의 구황식물(현대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회고(會告)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3◎서언(緖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주의사항(要項) . . .…

    2020-05-13 23:36:35
  • 근대 문화계의 별 김복진머리말생애근대조각가 김복진1. 불교조각2. 인물조각3. 카프의 미술인맺음말느린 고장 스피드 챔피언 장현진 형제들어가는 말1. 차에 미친형제2. 심지어 이런 석도 가르쳐 줘?3. 달려라 썬더보이의 생애4. 아마추어라도 괜찮아5. 격 프로의 세계로맺음말

    2017-06-16 10:40:05
  • ◈ 충북인물선양사업이 계기가 되어, 지난해에 이어 원 부설 충북학연구소와 충청북도가 공동으로 작업한 “2008 충북의 역사문화인물”이 발간되었다. 이번에 발간된 “2008 충북의 역사문화인물”에는 독립운동가 정순만, 유학자 박문호와 정호, 음악가 박연, 효자 김덕숭, 정치가이며 사상가인 정도전 등 6명이 선정, 이들 선정된 인물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이러한 발간사업을 통해 지역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조명사업이 좀 더 활발하게 진행되어 충북인의 애향심과 고양심 고취를 통해 “문화선진도”로서의 기틀을 다지는 지역인물의 소개서로 …

    2009-03-16 00:00:00
  • 우리 물길, 왜 미호천인가? _ 9물길의 발원(發源)은 만물의 발원(發願)으로 말미암아 _ 15마이산, 중부지방 생태계의 보고(寶庫) _ 29산 아래 첫 물길, 도랑 _ 34생태농법의 첨병, 둠벙을 되살리자 _ 43모래내, 모래장터 이야기 _ 50미호천유래 ‘미곶’의 아름다운 풍광 _ 57물길의 자유 막는 물길 직선화 공사 _ 64빛을 차지하기 위한 전쟁… 승자가 된 덩굴식물들 _ 72물 가두는 콘크리트 보, 하천 오염의 주범 _ 80황새의 전설 깃든 물푸레나무 _ 86토종민물고기, 하천 생태계가 준 선물 _ 95논우렁이, 생명의 …

    2018-02-09 16:27:16
  • 발 간 사제1편 옥천?청산지역의 사회경제상 1- 제1장 연혁 3- 제2장 지리 4 1. 산악 4 2. 하천 4- 제3장 관할구역 5 1. 관찰도 5 2. 군?면?동리 5 3. 경찰서 5 4. 이사청 6 5. 재무서 7 6. 우편관서 7 7. 재판소 및 감옥 8 8. 수비대 9 9. 헌병분견소 10 10. 도?군직원 11- 제4장 민적 12 1. 호구수 12 2. 직업별 가구수 및 인구수 12 3. 관신유생 13 4. 일인 14- 제5장 교통 15 1. 도로 15 2. 교량 16 3. 선수 16 4. 운수 및 운임 17 5. 도진 …

    2009-06-18 00:00:00
  • * 충북학 연구총서 : 6* 저자 : 정삼철(원산업경제/문화관광실장), 전호수(충북대 강사)발간사제1장 조선시대 공물 진상제도와 토산물의 분류제2장 조선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3장 조선후기 충북지역 토산물제4장 조산후기 충청북도 토산명품부록 : 토산물, 특산물의 품목별 해설

    2009-03-18 00: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