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검색
상세검색

격차 전체검색 결과

  • 게시판 1개
  • 게시물 4개
  • 1/1 페이지 열람 중

지역정책연구 게시판 내 결과

더보기
  • [초록]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YP2007) 1∼13차 직업력 자료와 전체자료 연결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의 지역별 취업특성 및 일자리의 질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 임금격차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며, 호남권 여성취업자의 일자리 지속기간이 가장 짧고, 중부권 남성의 일자리 지속기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남성, 고학력자, 대기업 종사자 등이 양질의 일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저학력, 여성, 임시/일용직 등 고용 취약계층의 일자리는 불안정하거나 열악한 …

    2021-12-29 14:02:01
  • [요약]최근까지 주택가격 상승에 따른 주택시장 불안이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도 불구하고 주택시장 불안은 개선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불균형 이론에 근거하여 주택시장 불안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1월 이후 수도권과 광역시 내 주택매매시장을 중심으로 관련 통계, 정부 보고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주택시장 불안 원인은 ① 주택의 총량적 부족, ② 주택 인허가 감소에 따른 향후 주택 부족, ③ 지역별 주택공급 격차, ④ 주…

    2021-09-01 17:15:45
  • 이양수 / 발전국가모델 한국, 일본, 대만의 경제발전 경험이 국제개발협력에 주는 시사점 ···· 1기정훈 / 지방 인구구조의 변화와 지역 사회복지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23 라휘문 / 정부 간 행정관계와 차이의 정치 ······································································· 47 Jeong, Moon-GiㆍHur, SeungUk / Small-and Medium-size Communities and Economi…

    2021-01-06 14:25:26
  • 본 연구는 충북의 시·군 간 지역격차의 시계열적 변화 분석과 지역격차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공간지니계수 분석 결과 시·군 간 격차는 2000년대 중반 이후 2009년까지는 감소하다가 그 이후 미약한 증가 추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분타일지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는 충북의 시·군 간 지역격차가 충북의 4개 권역 내의 시·군 보다는 권역 간 격차에 더 크게 기인함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통합집단평균/자기상관분포시차(PMG/ARDL)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시·군 간 지역격차에 대한 영향요인을…

    2021-01-06 14: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