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황윤성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전문연구원
- 연락처 : 043-220-1152
- 이메일 :hys@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정책동향분석 |
---|---|
주요경력 | |
주요 연구실적 |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류관영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전문연구원
- 연락처 : 043-220-1164
- 이메일 :rhy@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경제동향분석 |
---|---|
주요경력 | |
주요 연구실적 |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박민정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전문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21
- 이메일 :minmin@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아동, 청소년, 청년, 여성, 가족친화 |
---|---|
주요경력 | * 소비자학(가정관리) 박사
- 충북여성재단 정책연구팀 연구위원 - 울산여성가족개발원 정책연구팀장 / 울산성별영향평가 센터장 - 서울시여성가족재단 가족팀 일ㆍ생활균형지원센터 차장 - 한국건강가정진흥원 가족사업기획팀 대외업무담당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충청북도 중ㆍ고령 여성경제활동 실태와 활성화 방안.(2024). 충북여성재단. 박민정(단독) ‐ 증평군 성인지 통계 연구(2024). 증평군. 박민정(공동) ‐ 괴산군 성인지 통계 용역(2024). 괴산군. 박민정(공동) ‐ 여성친화도시 시행계획 수립을 위한 음성군 성인지 통계 연구(2024). 음성군. 박민정(공동) ‐ 아동중심 충북을 위한 공공놀이자원의 현황과 과제.(2024). 충북여성재단. 박민정(공동) ‐ 청주시 경력단절여성등의 실태조사 연구용역.(2024). 청주시청. 박민정(공동) ‐ 충북 경력단절[보유]여성 실태조사.(2023). 충북여성재단. 박민정(공동) ‐ 2023 충북 시․군별 성인지 통계.(2023). 충북여성재단. 박민정(공동) ‐ 충북 여성 자살 예방대책 현황조사. (2023). 충북여성재단. 박민정(공동) ‐ 충북 여성인턴제 사업의 성과와 과제. (2022). 충북여성재단. 박민정(공동) ‐ 코로나19 이후 충북 여성노동 현황과 정책과제. (2022). 충북여성재단. 박민정(단독) ‐ 충북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와 인권증진 방안 연구. (2022). 충북여성재단. 박민정(단독) ‐ 음성군 여성친화도시 2단계 조성 발전계획 수립 연구. (2022). 충북여성재단. 박민정(단독) ‐ 울산지역 중장기 고용전략. (2021). 울산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 박민정(공동) ‐ 울산지역 청년여성의 경제활동 실태조사 및 지원방안. (2021). 울산여성가족개발원.박민정(단독) ‐ 울산형 일ㆍ생활균형 지원 모델 개발. (2021). 울산여성가족개발원. 박민정(공동) ‐ 포스트 코로나시대의 울산지역 여성고용 특성과 정책과제. (2021). 울산여성가족개발원. 박민정(단독) ‐ 울산광역시 다문화청소년 역량강화 방안. (2020). 울산여성가족개발원. 박민정(단독) ‐ 여성폭력 실태 및 지원체계 강화 방안 연구. (2020). 울산여성가족개발원.박민정(공동) ‐ 울산광역시 학교 밖 청소년 지원방안 연구. (2020). 울산여성가족개발원.박민정(단독) ‐ 울산광역시 여성새로일하기센터 발전방안. (2020). 울산여성가족개발원.박민정(단독) ‐ 양성평등정책 기본계획(2018~2022)시행에 따른 울산의 정책 과제연구. (2020). 울산여성가족개발원. 박민정(단독) ‐ 2019 서울시 일ㆍ생활균형 컨설팅 매뉴얼. (2019).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민정(단독) ‐ 2018 서울시 일ㆍ가족양립 직장문화 조성 컨설팅 사례집. (201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민정(단독) ‐ 2018 서울시 일ㆍ생활균형 컨설팅 매뉴얼. (2018).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민정(단독) ‐ 세종시 성평등 확산과 성별영향분석평가의 효율적 추진방안. (2017). 대전세종연구원. 박민정(공동) ‐ 세종지역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및 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2017). 대전세종연구원. 박민정(공동) ‐ 안전분야 사업 성별영향분석평가. (2016). 대전세종연구원. 박민정(공동) [논문] ‐ 여성인턴제의 재취업 효과 분석: 헤크만 모형과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3). 지방정부연구, 27(1), 111-139. ‐ 학교밖 청소년의 부모 지지 및 방임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또래애착과 핵심자기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3), 471-485. ‐ 울산광역시 다문화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가 지적 호기심과 도전 정신을 매개로 하여 내재적 직업가치관에 미치는 영향.(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 548-560. ‐ 취업모의 일의 의미와 자녀수반자기가치가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 상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20).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4(4), 39-57. ‐ 일·가정양립이 취업모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돌봄서비스만족, 가사분담, 양성평등의식,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2019).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9), 66-81. ‐ 1인 가구의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간의 구조적 관계. (2019). 디지털융복합연구, 17(7), 15-26.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김덕준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수석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37
- 이메일 :kdj70@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지방재정 |
---|---|
주요경력 | - 충북연구원 연구위원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지방교부세제도 개편과 충청북도 대응방안 - 한일 비교를 중심으로, 충북개발연구원, 2009. - 농업 농촌 웰빙테마장터 조성 기본계획, 진천군, 2010. - 충청북도 지방재정 지출 결정요인분석, 충북개발연구원, 2010. - 진천군 전통시장 및 인근상점가 활성화 방안, 진천군, 2012. - 2012년 충북 교통사업자 경영 및 서비스평가, 충청북도, 2012. - 재정건전성 강화를 위한 세출구조 개선방안, 충북발전연구원, 2012. - 지역간 균형발전을 위한 합리적인 재원배분체계 확립 방안, 충북발전연구원, 2012. - 지방의 재정위기 극복을 위한 지방세 확보방안, 충북발전연구원, 2012. - 2012년 진천군자체업무평가, 진천군, 2013. - 청주시시설관리공단 조직진단, 청주시, 2013. [논문] - 환경규제정책과 규제순응 :주민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5 - 지방정부 인사교류의 운영실태와 발전과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09. - 청년 인적자원의 해외취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011. - 북한이탈주민의 ‘삶의 질’이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011. [학회발표] - 지방행정혁신의 결정요인 분석, 지방행정혁신워크숍, 2006. - 지방소비세 및 소득세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세미나, 2009. - 충북태양광특구 발전전략, 지역경제학회 국제세미나, 2011. - 공공갈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
비고 | 기획경영실장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최용환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수석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33
- 이메일 :yhchoi@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지방행정, 정책분석 |
---|---|
주요경력 |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현)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부회장(현) 한국이민정책학회 부회장(현) 충청북도 자원봉사센터 운영위원 대한지방자치학회 이사 행정자치부, 지방행정혁신협의회위원 전국시도의회 의장단협의회 자문위원 충청북도 지방분권행정혁신협의회 위원 대통령소속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실무위원 충청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지역발전분과 자문위원 충청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지역발전분과위원장 UCLA Visiting Scholars(2013.1.1.∼12.31) |
주요 연구실적 |
1. 지방자치단체 민간위탁사업에 대한 평가: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2.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선호행태에 관한 분석 3. 국내 정보시스템 보호현황 분석과 정책적 함의 4.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인사권에 관한 연구 5.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개선방안 6.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에 관한 연구 최용환(2020). 「지역, 균형발전의 길을 찾다 Ⅰ」 :포스트 코로나 10 지방자치단체 간 관계. 대통령직속 국각균형발전위원회 최용환(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정책방향. 경기도의회 최용환(2022) 「대전환기 국가역할 재정립과 정부운영전략 탐색」 : 대전환기 중앙과 지방의 역할.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최용환(2022). 충청권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 정책연구 2022-20.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최용환(2024). 지방소멸 문제해결을 위한 지역대학의 지역인구 회복효과 시뮬레이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연구. 제25권 제4호. 최용환(2024) 지방정부의 기관구성 다양화 모델 설계. 「자치의정」 제27권 제1호 29-45. |
비고 | 북부분원장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최승호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수석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36
- 이메일 :csh8604@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사회(복지)정책 |
---|---|
주요경력 | * 학위(전공) : 사회(복지)정책
- (현) 충북연구원 수석연구위원 2006년 10월 ~ - 한신대 학술원 연구교수, 2005년 09월 ~ 2006년 08월 - 한신대 학술원 선임연구원, 2002년 12월 ~ 2004년 11월 - 고려대, 서울시립대, 충북대, 한신대 등 강의 - 독일 라이프찌히대 사회(복지)정책학 박사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충청북도 자활근로사업의 발전 방안, 2007 ‐ 충북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안, 2009 ‐ 충북 지역사회 서비스 투자사업의 전달체계 효율화 방안 - 공급자의 측면에서, 2012 ‐ 충북 지역 에너지 복지 실현 방안, 2012 ‐ 충북 장애인 자립생활을 위한 활동지원서비스 개선 방안, 2012 ‐ 일본 웰엔딩 붐이 충북에 주는 시사점, 2018 ‐ 충북 코로나19 정신건강 대책, 2021 ‐ 위드코로나 시대 충북의 생명안전 – 생명관리정치의 관점에서, 2022 ‐ 충북 기본소득 관련 도민 인식 조사 및 방향성 탐색, 2022 ‐ 용역 보고서: 충청북도 장사시설 중·장기 수급계획(2014~2018) ‐ 용역 보고서: 충청북도 인권증진기본계획, 2016 ‐ 용역 보고서: 충청북도 인권실태조사, 2019 ‐ 용역 보고서: 독일의 기본소득보장 논의와 전개, 2022 [논문] ‐ 경제적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사회복지정책 간의 발전적인 관계, 2004 ‐ 요양 인력 인프라의 체계적 구축 - 독일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2008 ‐ 지역 마을 공동체 만들기 운동의 발전방안 모색, 2009 ‐ 재생가능 에너지 분야 일자리 창출 전략의 문제점 - 독일 사례가 한국에 주는 함의, 2010 ‐ 북한 새터민의 사회통합 방안, 2010 ‐ 통독 20년 구동독 지역 노동시장정책의 성과와 교훈, 2011 ‐ 독일의 기본소득보장(Garantiertes Grundeinkommen) 모델 연구 - 근로의욕 고취인가, 보장성 강화인가?, 2013 ‐ 노인 고독사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 자기 결정론적 관점에서, 2017 ‐ 포스트 근대 사회의 장법(葬法)문화 고찰: 독일 사례를 중심으로, 2017 ‐ 기본소득보장의 개념, 적용사례, 쟁점 in 복지국가 쟁점 I, 한울아카데미, 2019 ‐ 초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영상 스토리텔링 연구, 2019 ‐ 생명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독일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실태, 2020 ‐ 전문성 제고의 관점에서 독일 장례지도사 양성교육제도 고찰: 한국에 주는 시사점, 2020 ‐ 독일의 코로나블루 대응 고찰 – 생명관리정치의 관점에서, 2022 ‐ 국내 농촌지역 공공보건의료의 ‘민주적 공공성; 확보 방 안, 2023 ‐ 독일의 에너지전환 정책 고찰, 2024 ‐ 독일의 에너지 전환 과정에서 이익공유 고찰, 2024 [학회/세미나 발표] 다수 [저작, 번역] ‐ Arbeitslosigkeit und soziale Sicherung in S?dkorea im Kontext der Globalisierung, 독일 Biblion Verlag, 2003 ‐ 유럽의 역동성, 역서, 한국학술정보, 2011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남윤명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사회정책연구부장 / 책임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10
- 이메일 :namym@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기업지원정책, 일자리정책, 기업재무분석 |
---|---|
주요경력 | *경영학박사
- (현) 충북경제교육센터장 - (현) 충청북도여성고용대책위원회 위원 - (전) 충북평생교육진흥원 사무처장 - (전)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 평가자문단위원 - (전) 충북대학교, 서원대학교 강사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제목 (년도), 기관, 기타-연구진 등 ‐ 충청북도 민선8기 일자리 종합계획(2023) ‐ ESG경영 확산에 따른 충북의 대응방안(2022) ‐ 혁신기술 제조창업 공유공장 기본계획 연구용역(2022) ‐ 국가 인적자원 균형발전 연구용역(2021) ‐ 충북 연합기술지주회사 설립 연구용역(2021) ‐ 충북지역 기술창업 여건분석 및 활성화 방안(2021) ‐ 충북지역 기업의 혁신경영을 위한 기초연구(2021) ‐ 충북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용역(2020) ‐ 포용적 노동시장 구축을 위한 충북지역 특성분석(2020) ‐ 충북지역 기업의 내·외부적 여건변화 및 경영성과 분석(2019) ‐ 괴산군 평생학습 중장기 발전종합계획(2019) ‐ 충청북도 민선7기 일자리종합계획(2018) ‐ 충북지역 지방공기업의 재무건전성에 관한 연구(2018) ‐ 소상공인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2018) ‐ 충청북도 지역고용실천전략(2017) 외 다수 [논 문] ‐ 제목 (년도), 기타-연구진 등 ‐ 스마트팩토리 도입기업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비교연구-충북지역 스마트팩토리 도입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술경영, 2021 ‐ 코스닥 상장기업의 특허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2019 ‐ 베이비붐 세대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2018 ‐ 지방 재정지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충청북도를 시·군을 중심으로, 상업교육연구, 2017 ‐ 평생교육으로서 경제교육의 효과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2016 ‐ 특허공시의 가격효과에 관한 연구, 경영연구, 2016 ‐ KOSPI시장에서 대용시장지수의 효율성 검증, 금융공학연구, 2015 ‐ 기업 내부의 회계공시전문인력과 타인자본비율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연구, 2015 ‐ Arditti-Levy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한 기업가치의 평가, 재무관리논총, 2014 ‐ 서비스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기업가치와의 관련성, 서비스경영학회지, 2014 ‐ 한국증권시장에서 CCAPM의 유용성에 대한 검증, 금융공학연구, 2014 ‐ 통합 청주시 경제성장의 구조적 특징, GRI연구논총, 2013 ‐ 충북지역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에 관한 연구, 지역정책연구, 2012 ‐ 차입이자율과 대출이자율이 같을 경우와 다를 경우에 평균-분산 프론티어의 유도와 자본시장 균형, 산업과 경영, 2012 ‐ 충북지역 기업의 연구개발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경제연구, 2011 ‐ 코스닥시장에서의 사전적 효율성 및 CAPM 검증, 금융공학연구, 2010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정용일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센터장 / 책임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15
- 이메일 :yijung@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충북정책개발센터 업무 총괄 |
---|---|
주요경력 | |
주요 연구실적 |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양서우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책임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888
- 이메일 :swyang0621@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노동시장 및 노동정책 |
---|---|
주요경력 | - (2014-2015) 서울기독대학교 경제학 강사
- (2015-2016) 한국노동연구원 RA - (2016-2020) 경인여자대학교 경제학 강사 - (2017-2020) ㈜피피에스컴퍼니 전문연구원 |
주요 연구실적 |
0. 정책 연구
- (2021) 충청북도 노동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 (2022) 충청북도 외국인노동자 실태조사 연구용역 - (2023) 충청북도 감정노동자 실태조사 연구용역 - (2022 ~) 충청북도 생활임금 산정 모델 개발 연구 1. 보고서 - (2016) 주요 제조업 고용 변동 심층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 (2017) 기후기술 국제협력의 온실가스 감축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피피에스컴퍼니 - (2019) 주요 제조업 고용 변동 요인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 논문 - (2008) 대입수학능력시험 성적이 개인 노동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석사 논문 - (2019) 한국 특허 데이터를 이용한 특허 권리 유지 및 발명자의 이직 결정요인, 박사 논문 - (2019) 무기체계 획득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위한 방법론 연구, 국방정책연구 3. 학회 발표 - (2008) 성적과 학력이 임금, 임금상승률, 고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논문 공모 |
비고 | 충북경제교육센터장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이민주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전문연구원
- 연락처 : 043-220-1160
- 이메일 :limin917@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정책동향분석 |
---|---|
주요경력 | |
주요 연구실적 |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허선영
- 부서 : 사회정책연구부
- 직위/직급 : 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30
- 이메일 :syheo@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사회복지실천(노인복지) |
---|---|
주요경력 | 현,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충북지회 배분분과실행위원
전, 서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선임연구원 전, 충남대, 인천대, 협성대 등 강사 전, 인천시립노인치매요양병원 의료사회복지사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인천시민의 정신건강·복지서비스 인지도에 대한 연구(2022). 인천학 연구. ‐ 초고령사회 대비 노인복지종사자 교육훈련체계 현황진단과 개선방안 연구(2021).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신노년세대를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개편방안 연구(2020). 한국노인인력개발원. ‐ 지역사회 통합돌봄 담당자 역량분석 및 표준교재 개발 연구(2020).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 사회복지사 경력관리체계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2020).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인천시민 정신건강 인식 및 정책 마련 기초연구(2020). 인천광역정신건강복지센터. [논문] ‐ 지역사회 통합돌봄 담당자의 직무인식과 협업체계 형성에 관한 연구(2022). 장기요양연구. ‐ 지역사회 통합돌봄 담당자의 직무수행 실태와 교육요구 분석(2021).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노년기 부부의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관계(2021). 한국노년학. ‐ 노인장기요양보험 인프라가 지역 노인자살률에 미치는 영향(2020). 한국노년학. ‐ 노년기 부부의 우울 전이: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2020). 노인복지연구. [학회/세미나 발표] ‐ 노년기 청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21).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 The Effect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frastructure on Local Elderly Suicide Rate in South Korea. Society for Social Work and Research. ‐ 노년기 부부 우울과 부부관계만족도의 종단적 관계(2020). 2020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문지영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전문위원
- 연락처 : 043-220-1165
- 이메일 :mjy@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충청북도 정책기획 및 정책개발 |
---|---|
주요경력 | 충남연구원 연구원(2008~2010)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전임연구원(2017~2021) |
주요 연구실적 |
1. 논문
-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 영향요인 규명: 분배적 환경정의를 중심으로(2021) - 도시 생활권공원의 서비스 공급수준 평가를 위한 지표개발 및 우선순위 결정(2018) - 사회·경제적 형평성을 고려한 도시 생활권공원 서비스 우선공급권역 선정(2017) - 도시 생활권공원 공급의 사회·경제적 격차 분석(2015) - 지능정보화 사회에 대응하는 도시공원 서비스 수준의 평가 및 공급모델 구축(2017~2021) -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분석(2017~2020) - 지속가능한 환경도시계획을 위한 space syntax 분석 확장 모델 개발(2015~2018)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강민제
- 부서 : 충북정책개발센터
- 직위/직급 : 전문연구원
- 연락처 : 043-220-1166
- 이메일 :kmj8620@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정책동향분석 |
---|---|
주요경력 | |
주요 연구실적 |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