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김선덕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93
- 이메일 :queen@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도시 및 지역계획, 지역재생 |
---|---|
주요경력 | 공학박사(도시계획 전공)
(현)충북연구원 지역공간연구부 연구위원 (현)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회 권한이양특례전문위원회 전문위원 (현)충청북도 광역계획지원단 자문위원 (현)충청북도 농촌공간정책심의회 심의위원 (현)청주시 100인 정책자문단 자문위원 (현)충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위원 (현)제천시 기초농촌공간정책심의회 심의위원 (전)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선임연구원 (전)충청북도 도시재생지원센터 전문위원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지속가능한 충청북도 도시재생 발전방안 연구(2023) ‐ 충청북도 도시재생사업 성과에 따른 지역주민 인식평가 항목 도출(2023) ‐ 충청북도 시군 중간지원조직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2023) ‐ 사이언스 아카데미 빌리지 조성사업 연구용역(2020) ‐ 충청북도 빈집 현황진단 및 정책적 대응방안(2019) ‐ 비정형 덱스트 데이터 기반 Weak Signal 탐색 방법론 개발 및 탐색 사례 연구(2019) 외 다수 [논문] ‐ Fuzzy_ANP를 활용한 빈집 정비대상 선정 기준 연구(부동산정책학회, 제 24권 제 1호) ‐ 빈집 공간분포 특성 및 접근성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 옥천군 빈집을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 제 21권 제 12호) ‐ ANP를 활용한 빈집 발생원인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주거환경, 제 16권, 제 2호) ‐ Fuzzy-ANP분석을 통한 아파트 가격형성요인 우선순위 분석: 충청북도 청주시를 중심으로(한국도시행정학회, 제 30집 제 2호)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 학회지 공저자 네트워크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제 17권 제 3호) ‐ 시스템사고에 기반한 상수도 효율성 개선에 관한 연구: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제 17권 제 2호) ‐ 사회 연결망 이론에 근거한 아시안컵 축구 결승전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지표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 제 16권 제 5호) ‐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상수도사업 효율성 분석: 충청북도를 중심으로(한국도시행정학회, 제 28집 제 4호) ‐ 세종특별자치시 출범이 인접지역 인구이동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 충청권 인구이동을 중심으로(한국지역개발학회, 제 27권 제 5호) ‐ 인구이동에 기반한 네트워크 특성 연구: 세종시와 연계한 충청권을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제 28집 제 2호) ‐ 충청북도 300대 기업 네트워크 특성 분석: 판매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제 14권 제 9호) [학회/세미나 발표] ‐ 농촌 빈집 현황진단 및 정책적 대응방안(한국주거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 2020.) ‐ Risk Classification of Urban District against the Urban Flood Damage: Changwon Case, Asian Planning Schools Association, 2017.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변혜선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수석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25
- 이메일 :ima7star@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경관계획 및 도시설계 |
---|---|
주요경력 | [학력]
- 2004 일본 九州대학대학원 인간환경학부 도시공생디자인전공 졸업(공학박사) [경력] - 1996.01~2001.04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부 - 2004.02~2008.05 (주)디에이그룹 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현재 청주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등 [자격] 도시계획기술사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자연특별시 괴산 3대 혁신 프로젝트, 2024 - 젊은 여성들은 왜 충북을 떠나는가, 2023 -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에 대한 고찰, 2023 - 공공청사 개방의 의미와 추진 방향에 관한 연구, 2023 - 청주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충북도청과 원도심 연계 방안, 2023 - 영동~진천 고속도로 연계 지역개발 기본구상 연구, 2022 - 원도심 경관관리와 높이 규제에 대한 고찰, 2022 - 원도심 유휴공간 민간 활용 지원 방안, 2022 - 사이언스 아카데미 빌리지 조성사업 연구, 2020 - 충북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운영실태 조사연구, 2020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마을관리협동조합 운영방안 연구, 2020 - 부드러운 충북을 꿈꾸다, 2020 - 충청북도 내 도시재생전략계획 분석 및 개선방안 모색, 2019 - 2030 단양 종합발전계획 수립, 2019 - 제천 중심지역 경제활성화 방안, 2019 - 사람에 중심을 두는 마을만들기 추진전략, 2018 - 도시재생의 군지역 참여 활성화방안, 2018 - 도시재생뉴딜 실천과제 발굴 연구용역, 2018 - 충북 장소의 영혼 100년, 2018 - 괴산 서울농장 조성 기본구상, 2018 - 진천군 중간지원조직 구성 및 운영타당성 조사 용역, 2017 - 1인 가구를 위한 주택정책 연구, 2017 - 미래도시 오송 플랜, 2017 - 충청북도 귀농귀촌 현황을 고려한 정책 제안, 2016 - 충청북도 건축관련기본계획, 2016 - 농촌재생 관련 정책, 법규 보완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2015 - 희망청주마스터플랜(생명문화도시 청주), 2015 - 오송전시관 건립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연구, 2015 [저서] - 공감을 디자인하다, 2018, 한국학술정보 - 관계를 디자인하다, 2017, 한국학술정보 - 디자인의 두얼굴, 2016, 한국학술정보 - 디자인 사람을 만나다, 2015, 한국학술정보 - 디자이너 11인 디자인이 가치를 말하다, 2014, 한국학술정보 |
비고 | 충북도시재생지원센터장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오상진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지역공간연구부장 / 수석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26
- 이메일 :ohsang@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blog.daum.net/osangjin
주요 연구(업무)분야 | 교통계획, 물류계획 |
---|---|
주요경력 | - (현) 충북 물류단지 실수요검증위원회 위원
- (현) 충북 여객자동차운수사업 지원 심의위원회 위원 - (현) 청주시 교통영향평가 심의위원회 위원 - (현) 청주시 건축위원회 위원 - 충북도청 교통물류과 교통전문직(2003.5~2008.12) -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도로공항부(2001.5~2003.5) - 대전광역시 우송공업대학 토목과 강사(1999.3~2000.12)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제1차 충청북도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 2009.6 - 제천물류터미널 및 공차서비스센터 시설을 위한 타당성 조사, 2009.12 - 진천군 장기종합발전계획(새오름Ⅲ) 수립용역, 2011.2 - 제2차 충청북도 교통안전기본계획 수립, 2012.1 - 제천~평창간 고속화도로 건설 타당성 논리개발 연구, 2012.4 - 청주 북부터미널 필요성 및 주민불편 해소방안 연구, 2012.6 - 제2차 청주시 교통안전기본계획, 2012.12 - 제2차 충주시 교통안전기본계획, 2012.10 - TBN 충북교통방송국 설립 타당성 연구, 2013.2 - 충청북도 물류기본계획, 2013.2 - 통합시 여객터미널 입지선정을 위한 군지역 북부․남부터미널 신설 연구, 2013.10 - 단양․매포 주차수급분석 및 주차장 확보방안 수립용역, 2014.4 - 천안~청주공항간 복선전철 효율적 추진방안, 2014.12 - 내륙철도 종합추진방향 설정 연구, 2014.12 - 제천 대단위 물류단지 신설을 위한 사업 타당성조사, 2016.4 - 충북선 철도 고속화와 연계한 국가 X축 철도망 구상, 2016.2 - 충청권 광역순환 대중교통망 확충방안, 2015.12 - 충청권 광역교통행정기구 설립, 2016.10 - 청주 메가플레이스 공동집배송센터 타당성 검토, 2016.11 - 청주시 철도이용환경 개선 기본계획, 2018.5 - 충청북도 물류기본계획, 2018.5 - 충북혁신도시 택시사업구역 조정 타당성, 2017.12 - 화물운송역 도입을 위한 타당성 검토, 2019. 12 - 2040 보은군 종합계획, 2021. 4 [논문] - 오상진, 기종점 통행표 산출모형의 적용성 평가, 석사학위논문, 충북대, 1999. 2 - 오상진·박병호, 기종점 통행표 산출모형의 적용성 평가, 대한교통학회지 1999. 12 - 오상진, 신호교차로 지체특성을 고려한 통행시간함수 개발 및 적용, 박사학위논문, 충북대, 2008.8 - 오상진·박상혁·박병호, 교차로 지체를 고려한 통행시간함수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2008.8 - 오상진·김태영·박병호, 신호교차로의 회전제약함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대한교통학회지, 2009.2 [학회/세미나 발표] ‐ 교차로 지체특성을 고려한 도시교통 수요예측기법 연구(2009.5) 대한교통학회 충청지회 ‐ KTX오송역 국가기간 복합환승센터 구축방안(2011.5), KTX경제권포럼 ‐ 고속교통망 확충에 따른 충주시 발전 전략(2011.5), 건국대학교 교책연구원 ‐ 호남고속철도 개통에 따른 KTX 오송분기역 탄생과 과제(2015.2), 한국철도학회 철도저널 ‐ 지역 대중교통 인프라의 현황 및 과제: 충청북도 사례(2018.3), 국토연구원 국토 ‐ 충청북도 대중교통 정책 수립 방향 및 현안(2019.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중부내륙철도(감곡-혁신도시-청주공항) 연계 확충방안(2019.10), 한국지역경제학회 [저작, 번역] ‐ 「충북교통물류론」, 충북발전연구원 총서, 2011.12, 원광희·윤영한·오상진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한승석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12
- 이메일 :ssh@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농촌지역개발, 농촌공간정책 |
---|---|
주요경력 | [학력]
- 공주대학교 지리학과 지역개발전공 졸업(이학박사) [경력] - 2024.03 ~ 충북연구원 연구위원 - 2022.05 ~ 2024.02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 - 2018.08 ~ 2022.04 충남연구원 연구원 - 현) 충북 농촌공간정책심의회 위원 - 현) 충북 광역계획지원단 위원 등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농촌협약제도 성과분석 및 개편방안(농식품부, 2024) - 충북 농촌공간 재구조화 및 재생 관리체계 구축(충북농촌공간광역지원기관, 2024) - 충북 지방소멸대응기금 활용 방안(충북연구원, 2024) - 어촌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빈집 수요조사 및 활용방안 연구(해수부, 2023) - 지방소멸대응기금 운영현황 분석 및 공사 대응방안 연구(농어촌연구원, 2023) - 농촌생활서비스 설정 및 생활서비스 수준 분석(농식품부, 2022) - 농촌마을 재편 사례분석 및 사업모델 개발(농어촌연구원, 2022) [논문] -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제정에 따른 추진체계 운영방안 연구(한국지리학회, 2024) - Analyzing the Factors of Vacant Home Occurrence for Urban Sustainability: A Case Study of Medium-Sized Cities Focusing on Asan City, Chungcheongnam-do(Sustainablity, 2024) -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지역정체성 활성화 방안 연구(인문콘텐츠학회, 2023) - 정주계층별 농촌생활서비스 기능정립 및 취약지역 기준에 관한 연구(한국농촌계획학회, 2023) - 농어촌 지역의 중심지 설정방법 개발(한국지역지리학회, 2023) - 농촌 낙후마을 지수 개발 방법론(한국지역지리학회, 2022) - 농촌기본소득제 도입에 관한 탐색적 연구(한국농촌지도학회, 2021) - 농촌생활서비스 충죽도 분석 연구(한국도시지리학회, 2021) - 인구감소시대에 대응한 마을 모니터링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충남연구원, 2020) - 농촌생활서비스 기능 및 서비스권역 분석(한국도시지리학회, 2020) |
비고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홍성호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선임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35
- 이메일 :hongsh@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국토 및 지역계획, 혁신 클러스터, 스마트 도시 |
---|---|
주요경력 |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겸임교수 (현)
-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이사 (현) -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 겸임교수 (전) - 미시간 주립대학교(MSU) 객원연구원 (전)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행정수도 완성 추진에 따른 충북도 대응전략 마련 연구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21년 2월 ~ 2021년 12월 시험인증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21년 1월 ~ 2021년 12월 (가칭)오창밸리 조성 전략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20년 10월 ~ 2021년 6월 2021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타당성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20년 6월 ~ 2020년 11월 충북혁신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9년 12월 ~ 2020년 3월 충북혁신도시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MP수립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8년 11월 ~ 2019년 7월 충북혁신도시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8년 2월 ~ 2018년 10월 강호축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8년 4월 ~ 2018년 12월 충주메가폴리스 외국인투자지역(단지형) 지정 타당성 검토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6년 4월 ~ 2016년 6월 국립철도박물관 청주 유치전략 수립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청주시 기간 : 2016년 6월 ~ 2016년 12월 충북혁신도시 이전공공기관 연계 지역발전 기본계획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 지역발전위원회 기간 : 2016년 7월 ~ 2016년 12월 오송역중심 철도시설 유치방안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북테크노파크 기간 : 2015년 12월 ~ 2016년 4월 세종시 이전기관과 연계한 신사업 발굴 구상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북대학교 기간 : 2015년 4월 ~ 2015년 7월 기계․철도산업 종합지원센터 구축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5년 5월 ~ 2015년 11월 충북 혁신도시 공공기관 이전과 연계한 지역발전 기본구상 마련 연구 (연구책임) 지원기관 : 지역발전위원회 기간 : 2015년 10월 ~ 2015년 11월 충주 기업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주)충주기업도시 기간 : 2014년 7월 ~ 2015년 12월 충북혁신도시 도시첨단산업단지 개발계획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4년 8월 ~ 2015년 2월 충북혁신도시 2014 이전 공공기관과의 합동 토론회 개최 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4년 11월 ~ 2014년 12월 혁신도시 산.학.연 유치지원센터 확대건립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4년 3월 ~ 2014년 6월 혁신도시 산학연 클러스터 구축계획 수정보완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3년 12우러 ~ 2014년 2월 혁신도시 산학연 유치지원센터 운영방안 연구용역 (연구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3년 08월 ~ 2013년 12월 미래철도·신교통 클러스터 조성 기본계획 수립연구 (실무책임)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2년 8월 ~ 2013년 1월 충북 경제자유구역 개발계획 (공동연구)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2년 8월 ~ 2013년 1월 과학벨트 기능지구 마스터플랜 연구 (공동연구) 지원기관 : 충청북도 기간 : 2011년 ~ 2012년 1월 강원도 그린빌딩 산업 육성과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사례연구 (공동연구) 지원기관 : 강원발전연구원 기간 : 2011년 8월 ~ 2011년 12월 충남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식 네트워크와 구조 (실무책임) 지원기관: 충남발전연구원 기간: 2009년 6월 - 2009년 11월 청주 도시성장관리 정책대안개발 (실무책임) 지원기관: 청주시 기간: 2009년 4월 - 2010년 1월 광역경제권 산업인프라 연계효율화 방안: 충청권 산업지원 네트워크 현황 진단 (실무책임) 지원기관: 충청북도 테크노파크 기간: 2008년 6월 - 2008년 12월 광역경제권 산업인프라 연계효율화 방안: 광역경제권 구축 전략 계획 (공동연구) 지원기관: 충청북도 테크노파크 기간: 2008년 6월 - 2008년 12월 평택항 배후단지 개발계획 (공동연구) 지원기관: 다리엔 후아싱 기간: 2007년 7월 - 2008년 6월 유비쿼터스 도시 실현을 위한 전략연구 (공동연구) 지원기관: 건원 기간: 2005년 12월 - 2007년 2월 지능기반국가 조기 진입을 위한 u-City 구현 로드맵 설계 (공동연구) 지원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간: 2005년 6월 - 2005년 11월 직지문화산업특구 조성사업 학술용역 (공동연구) 지원기관: 청주시 기간: 2004년 12월 - 2005년 12월 대농부지 최유효 이용방안 및 컨셉도출 학술용역 (공동연구) 지원기관: (주)신영 기간: 2004년 11월 - 2005년 1월 구룡지구 도시개발사업 타당성 검토 학술용역 (공동연구) 지원기관: 청주시 기간: 2004년 10월 - 2005년 1월 원전 및 원전 수거물 주변지역 적정지원 방안 (공동연구) 지원기관: 산업연구원 기간: 2004년 3월 - 2004년 10월 대청댐 주변지역 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공동연구) 지원기관: 한국수자원공사 기간: 2003년 8월 - 2004년 6월 월오지역 종합개발 기본계획 (공동연구) 지원기관: 청주시 기간: 2003년 7월 - 2004년 1월 청주 가로수길 특화개발 연구 (공동연구) 지원기관: 청주시 기간: 2002년 3월 - 2003년 1월 [저서] 홍성호 외 6인, 역, 2018, 스마트 시티 : 더 나은 도시를 말한다, MID : 서울. (Townsend, A., 2013, Smart Cities : Big Data, Civic Hackers, and the Quest for a New Utopia, Norton&Company : New York) [논문] - Hong, Sung-Ho et al, 2020, “Determinants of the intention to recommend overseas migration to a city”, The Social Science Journal, Published online: 10 Mar 2020 - 홍성호, “기업가적 스마트시티 모델 비판 : IBM 스마터 시티 청주․제주 보고서 분석을 중심으로,”한국공간환경학회(공간과 사회), 2017. 3. - 홍성호 외, “근접성 없는 공동체의 사례연구 : 탑골만화방을 사례로,”한국지역지리학회(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6. 9. - 홍성호 외, “도계지역의 지역적 네트워크 특성 : 충북 옥천을 대상으로,”한국지역지리학회(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5. 11. - 홍성호 외, “거주민 보행행태에 근거한 장소성의 일상성,”국토지리학회(국토지리학회지), 2015. 3. - 홍성호 외, “도시 네트워크 관점에 근거한 국토 공간구조의 재해석: 대기업 연결망을 중심으로,”한국지역개발학회(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15. 3 - 홍성호, “충북 시군 공간구조의 형태 분석 : 시외·고속버스 노선 및 빈도를 중심으로,” 충북발전연구원(지역정책연구), 2014. 12, 제25권 제2호, pp. 143-159. - 홍성호 외, “충청북도 300대 기업 네트워크 특성 분석: 판매관계를 중심으로,”한국콘텐츠학회(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4, 제14권 제9호, pp. 437-449. - 홍성호 외, “충북 시군 통근통학 네트워크의 동태적 특성 분석,”충북발전연구원(지역정책연구), 2014. 6, 제25권 제1호, pp. 141-162. - 홍성호 외, “충북에 소재한 대학이 수행한 공동연구 프로젝트의 네트워크 분석 및 클러스터 정책에 관한 시사점,”한국지역학회(지역연구), 2013, 제29권 제2호, pp. 105-124. - 홍성호, 이만형, “산학 공동연구 R&D 네트워크의 복잡계 특성과 지배적 피드백루프 : 거듭제곱법칙과 양의 피드백 루프를 중심으로,”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12. 4, 제13권 제1호, pp. 113-132. - 조병설, 홍성호, “충북전략산업육성사업의 기능적 네트워크 효과 분석,” 지역정책연구(충북발전연구원), 2012. 12, 제23권 제2호, pp. 103-130. - 홍성호, 안유정, 송미경, 이만형, “하이테크산업 지식네트워크의 구조적·공간적 특성: 의약바이오산업 공동 연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한국비교정부학회), 2011. 4, 제15권, 제1호, pp.185-208. - 홍성호, “사이버-스페이스 접근법에 근거한 도시 간 네트워크 분석 : 충북을 대상으로,” 지역정책연구(충북발전연구원), 2010. 12, 제21권 제2호, pp. 111-130. - 홍성호, 2010, 사회 네트워크 분석 (SNA) 기법에 근거한 지식 네트워크 구조와 창발형태 분석 : 충청권 지역전략산업을 대상으로,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성호, 이진희, 채성주, 이만형, “충청권과 비충청권 사이 인구이동의 특성 분석: 기초자치단체 간 이동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한국비교정부학회), 2010. 12, 제14권, 제2호, pp.131-159. - 박주혜, 홍성호, 안유정, 이만형, “중앙성 지표에 따른 충청북도 인구이동 특성: 2001년과 2008년 사례 비교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10. 8, 제16권, 제4호, pp.369-386. - 홍성호, 김경미, 백운성, 이만형, “사회 네트워크 방법론에 근거한 충남 자동차 부품산업의 지식 네트워크킹,” 국토계획(대한국토ㆍ도시계획학회지), 2010. 8, 제45권, 제4호, pp.183-196. - Hong, Sung-Ho, Young-Chool Choi, and Man-Hyung Lee, “The Impact of the Daejeon City Knowledge Network: The Application of Castell\\\\\\\\\\\\\\\\\\\\\\\\\\\\\\\\\\\\\\\\\\\\\\\\\\\\\\\\\\\\\\\\\\\\\\\\\\\\\\\\\\\\\\\\\\\\\\\\\\\\\\\\\\\\\\\\\\\\\\\\\\\\\\\\\\\\\\\\\\\\\\\\\\\\\\\\\\\\\\\\\\\\\\\\\\\\\\\\\\\\\\\\\\\\\\\\\\\\\\\\\\\\\\\\\\\\\\\\\\\\\\\\\\\\\\\\\\\\\\\\\\\\\\\\\\\\\\\'s and Hall\\\\\\\\\\\\\\\\\\\\\\\\\\\\\\\\\\\\\\\\\\\\\\\\\\\\\\\\\\\\\\\\\\\\\\\\\\\\\\\\\\\\\\\\\\\\\\\\\\\\\\\\\\\\\\\\\\\\\\\\\\\\\\\\\\\\\\\\\\\\\\\\\\\\\\\\\\\\\\\\\\\\\\\\\\\\\\\\\\\\\\\\\\\\\\\\\\\\\\\\\\\\\\\\\\\\\\\\\\\\\\\\\\\\\\\\\\\\\\\\\\\\\\\\\\\\\\\'s Hypothesis to the Daeduk Technopol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tudies, 2010. 4, Vol. 14, No. 1, pp.33-59. - 홍성호, 이만형, “충북 바이오 부문 지식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진화 기제,” 지역정책연구, 2009. 12, 제20권 제2호, pp.51-72. - 홍성호, 이진희, 이만형, “충남 소재 대학에서의 산학협력프로젝트를 통한 IT산업 지식 네트워크 구조와 진화과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09. 12, 제21권, 제4호, pp.227-248. - 홍성호, 박주혜, 이만형, “충북 IT산업 지식 네트워크의 구조적ㆍ공간적 특성과 함의: 대학의 공동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09. 12, 제12권, 제3호, pp.139-149. - Kim, Yeon-Sik, Sung-Ho Hong, Tae-Young Seong, and Man-Hyung Lee,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Works between Cheongju and Cheongwon,”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9. 10, 제10권, 제3호, pp.81-104. - 홍성호, 김경미, 이만형, “대학 공동연구 프로젝트 관계 자료를 활용한 지식네트워크 분석: 대전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10, 제11권, 제5호, pp.2721-2733. - 홍성호, 배정환, 이만형, “충청권 지역혁신사업의 구조적·공간적 사회 네트워크: 시·도 단위 네트워크의 광역권 단위 분석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한국도시행정학회지), 2009, 제22권, 제2호, pp.185-210. - 이미라, 홍성호, 박주혜, 이만형, “SNA와 SD 방법론을 활용한 충북 지역혁신사업의 네트워크 연결구조와 함의,”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9. 7, 제10권, 제2호, pp.103-120. - 홍성호, 이만형, “연결망 이론을 활용한 충남 바이오산업의 지식 네트워크 분석,” 충청지역연구, 2009. 6, 제2권 제1호, pp.31-59. - 홍성호, 이명범, 이만형, “충청권 시군구 지역간 네트워크의 동태성 분석,” 한국비교정부학보(한국비교정부학회), 2009. 7, 제13권, 제1호, pp.157-176. - 이만형, 김동찬, 홍성호, 박주혜, “전략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평택항 배후도시 개발전략과 응용,”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8. 11, 제9권, 제2호, pp.77-103. - Lee, Man-Hyung, Tae-Yong Kim, Dong-Chan Kim, and Sung-Ho Hong, “Resource Cyclical Dynamics Focused on the Waste of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폐가전제품에 관한 자원순환형 다이내믹스),”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8. 11, 제9권, 제2호, pp.129-154. - 홍성호, 김연식, 이만형, “도ㆍ농통합 효과에 근거한 청주ㆍ청원 통합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8. 5, 제9권, 제1호, pp.5-31. - 이만형, 김연식, 김미성, 홍성호, “혁신도시 건설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지), 2007. 11, 제8권, 제2호, pp.141-173. - 이만형, 홍성호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에 근거한 복합용도개발의 타당성 분석,” 건설기술연구논문집, 제26권, 제1호, 2007. 6, pp.1-16. - 홍성호, 2005, 프로젝트 파이낸싱 기법에 근거한 복합용도개발의 타당성 분석,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성호, 김연식, 이만형, “청주 부동산 컨설팅산업의 구조와 정책 과제,” 건설기술연구논문집, 제23권, 제2호, 2004. 11, pp.13-26. [학술발표(국제)] - Hong, Sung-Ho, Young-Chool Choi, Tae-Young Seong, and Man-Hyung Lee, “The Impact of the Daejeon City Knowledge Network: The Application of Castell\\\\\\\\\\\\\\\\\\\\\\\\\\\\\\\\\\\\\\\\\\\\\\\\\\\\\\\\\\\\\\\\\\\\\\\\\\\\\\\\\\\\\\\\\\\\\\\\\\\\\\\\\\\\\\\\\\\\\\\\\\\\\\\\\\\\\\\\\\\\\\\\\\\\\\\\\\\\\\\\\\\\\\\\\\\\\\\\\\\\\\\\\\\\\\\\\\\\\\\\\\\\\\\\\\\\\\\\\\\\\\\\\\\\\\\\\\\\\\\\\\\\\\\\\\\\\\\'s and Hall\\\\\\\\\\\\\\\\\\\\\\\\\\\\\\\\\\\\\\\\\\\\\\\\\\\\\\\\\\\\\\\\\\\\\\\\\\\\\\\\\\\\\\\\\\\\\\\\\\\\\\\\\\\\\\\\\\\\\\\\\\\\\\\\\\\\\\\\\\\\\\\\\\\\\\\\\\\\\\\\\\\\\\\\\\\\\\\\\\\\\\\\\\\\\\\\\\\\\\\\\\\\\\\\\\\\\\\\\\\\\\\\\\\\\\\\\\\\\\\\\\\\\\\\\\\\\\\'s Hypothesis to the Daeduk Technopole,” The 10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ian Planning Schools Association, Ahmedabad, India, November 24-26, 2009. - Lee, Man-Hyung, Yeon-Sik Kim, Sung-Ho Hong, and Kyung-Mi Kim, “Dynamic Interrelationship between Administrative Consolidation and Segregation: Korean Example,” The 2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ystem Dynamics Society, Albuquerque, USA, July 26-July 30, 2009. - Lee, Man-Hyung, Nam-Hee Choi, Dong-Chan Kim, and Sung-Ho Hong, “NIMBY Dynamics: Location Policy of Crematory Facilities in Korea,” The 2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f System Dynamics Society, Boston, United States, July 29-August 2, 2007. |
비고 | 지역발전연구센터장 |
CRI 기본정보
팝업닫기

- 성명 : 정용일
- 부서 : 지역공간연구부
- 직위/직급 : 책임연구위원
- 연락처 : 043-220-1115
- 이메일 :yijung@cri.re.kr
- 홈페이지(블로그) :
주요 연구(업무)분야 | 스마트모빌리티, 광역교통, 교통안전, 교통운영, SOC |
---|---|
주요경력 | - (2018. 8. ~ 현재) 충북연구원 공간창조연구부/연구위원
- (2021. 1. ~ 현재) 충북정책개발센터/센터장(겸임) - (2006. 4. ~ 2018. 7.) 도로교통공단 충북지부/안전시설검사부 안전시설팀장 - (2016. 3. ~ 2018. 7.) 충북대학교 도시공학과/겸임 부교수 - (2004. 4. ~ 2006. 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첨단도로연구센터 |
주요 연구실적 |
[보고서]
- (2021) 포스트코로나 시대 충북도정 대전환 전략과 과제, 충청북도(책임) - (2021) 2020년 청주시 지능형교통체계 확대구축사업 사업관리, 청주시(책임) - (2021) 행정중심복합도시권 광역도시계획, 행복청 등(공동) - (2021) 제4차 충청북도 종합계획, 충청북도(공동) - (2021) 청주시 대중교통 서비스 접근성 분석, 충북연구원(책임) - (2021) 대도시와 배후도시간 교통여건 개선이 배후도시에 미치는 영향, 충북연구원(공동) - (2020) 충북혁신도시 수요응답형 등 신교통 수단 도입 검토 연구, 국토교통부(책임) - (2020) 넥스트 노멀 시대, 충북의 대응전략, 충북연구원(책임) - (2020) 도농지역 교통사고 심각도 비교분석 및 시사점, 충북연구원(책임) - (2019)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 충북의 대응전략 구상, 충북연구원(책임) - (2019) 충북혁신도시 스마트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마스터플랜, 충청북도(공동) - (2019)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 기회와 과제, 충북연구원(책임) - (2018) 옥산하이패스IC 활성화를 위한 전략개발, 청주시(책임) - (2017) 대중교통우선 차로제 도입에 따른 교통신호체계 구축연구, 제주특별자치도(공동) - (2017) 안전한 지역사회 만들기 도로교통분야 기본계획, 증평군(책임) - (2016) 지능형교통시스템 (ITS) 고도화사업 사업관리, 청주시(책임) - (2016) 안전충북 실현을 위한 재난 안전 정책‧사업 발굴, 충북재난안전연구센터(공동) - (2016) 보행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시설 설치 가이드북, 경찰청·도로교통공단(공동) - (2015) 어린이‧노인‧장애인 보호구역 통합지침, 국민안전처·도로교통공단(공동) - (2015) 청주 도심내 일방통행 확대 타당성 연구, 청주시(책임) - (2014) 제1차 옥천군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 옥천군(책임) - (2014) 제1차 충주시 보행안전 및 편의증진 기본계획, 충주시(책임) 등 [논문] - (2014) 신호위반사고의 특성과 영향요인 분석, 대한교통학회지(제32권 제3호) - (2014) 도시가로 구간에서의 비보호/보호좌회전(PPLT) 운영성과 사례분석, 산업과학기술연구논문집(제28권 2호) - (2014) 고속도로 구간과속단속시스템 운영에 따른 교통사고 감소효과, 대한교통학회지(제32권 제2호) - (2013) BMS 자료를 활용한 청주시 시내버스 정시성 평가, 충북연구원 지역개발연구 - (2012)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교통섬 설계기준 연구, 대한교통학회지(제30권 제4호) - (2012) 전적샌신호시간 운영에 따른 사고감소효과, 대한교통학회지(제30권 제2호) 등 [학회/세미나 발표] - (2021) 코로나 시대 사회변화 전망과 충북의 대응전략, 충북연구원-야마나시종합연구소 제13회 국제교류심포지엄 - (2021) 넥스트 노멀 시대 충북도정 대전환 전략과 과제, 전국시도연구원협의회·한국지방행정연구원 공동주관 정책 토론회 - (2019) 충청북도 광역교통 현황과 과제,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교통정책 세미나, 대한교통학회 - (2014) 사고유형별 고속도로 교통사고 취약구간 선정 연구,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 (2012) 구간단속시스템 운영에 따른 교통사고감소효과, 대한교통학회 제66회 학술발표회 - (2011) 보행자 서비스 수준을 고려한 교통섬 설계기준 연구, 대한교통학회 제65회 학술발표회 - (2010) 전적색신호시간 운영에 따른 사고감소효과, 대한교통학회 제63회 학술발표회 - (2010) 도시가로망 회전교차로 도입에 따른 영향평가 및 운영전략 수립에 대한 기초연구, 대한교통학회 제62회 학술발표회 등 |
비고 | 충북정책개발센터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