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매일] 충북의 근대교육과 미술 | |
[2025. 07. 09. 발간] [충청매일 - 오피니언 - 칼럼 - 지역사읽기] ※ 오피니언 139번 게시글 내용과 이어집니다. 근대미술은 낯선 양식이었던 만큼 ‘배움’의 과정이 필요했고, ‘교육’과는 불가분 관계에 있었다. 우리 지역에서도 소학교령이 발표된 1895년을 경계로 충주와 청주를 중심으로 근대적 공교육이 시작된다. 근대교육에 대한 열망은 비단 공립학교뿐 아니라 지역 선각자들이 주동이 된 사립학교 설립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특히 1905년 을사늑약을 전후한 시기, 기울어가는 국운을 되돌리기 위해서 ‘교육’이 급선무라고 판단한 것이다. 물론, 이 사립학교 설립은 일제의 통감부 설치 후 學部에서 ‘보통학교령’(1906)을 발표하고, 이 칙령에 따라 각 지역 공립학교가 확대한 데도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립학교가 ‘보호정치’ 하에서 공립이 소홀히 한 민족 교육, 교육 구국 운동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이다. 지역에서도 공립교육이 시작된 충주와 청주는 물론이고, 도내 전 지역에서 이 시기를 전후하여 사립학교들이 문을 연다. ↓ 원문보기 클릭 |
|
기사원문 출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