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이름}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내용, 첨부파일 정보 제공
세종시~세종관문공항(청주공항) 진입도로 건설사업 논리개발(2018년 정책과제) 새글핫이슈
연구진 : 충북공공투자분석센터 발주처 : 조회수 : 3,933
세종시~세종관문공항(청주공항) 진입도로 건설사업 논리개발(2018년 정책과제)




○ 과업성격 : 세종특별자치시(이하 세종시)는 현재 추진중인 ‘제3차 광역교통개선대책’에 세종시와 청주국제공항을 연결하는 BRT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승용차 대중화시대에 경쟁력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고속화도로 사업의 필요성 논리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임



○ 과업내용


- BRT의 특성, 선행연구, 사례 등을 조사한 결과 다음의 비선호 논리가 도출됨

1) BRT 노선은 운영수익을 보장하기 어려움

우리나라 예비타당성 조사에 의하면, 그동안 BRT 운영과 관련하여 수도권은 경제성을 확보한 반면, 지방도시는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음

∙ 기통과된 ‘세종시~조치원 도로 확장사업’에 버스전용차로를 추가한 계획으로 재조사를 받은 결과,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음

2) 청주공항의 세종시 이용자가 적어 BRT 운영은 비효율적임
∙ 세종시~청주권의 평일 하루 공항이용자는 47명에 불과하여 BRT운행은 도로의 이용효율상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됨

3) 공항직결 BRT는 희귀함
∙ 공항으로 직결하는 BRT 노선을 가진 공항은 리우 데 자네이로 공항이 유일하나 비효율적인 노선을 운영중임



- 고속화도로 선호논리는 다음과 같음

1) 공항이용자는 승용차를 선호함

∙ 국토교통부, 한국교통연구원(2016)의 조사에 의하면 공항 이용자 중 67.7%가 승용차를 이용한 것으로 조사됨

∙ 2016년 기준, 전국 OD에서 청주국제공항이 속한 존(대전충청권 존 #129)으로 들어가는 모든 O-D를 조사한 결과, 승용차 이용자가 약 47.3%를 차지함

2) 고속화도로가 세종시 최단경로가 될 수 있음

∙ 고속화도로가 완성되면 세종시~수도권 동부 및 강원권의 최단경로를 제공하게 되어 도로이용자의 편익을 제고시킬 수 있음

3) 고속화도로의 경제적 편익이 높을 것으로 예상됨

∙ 다른 도로의 교통혼잡을 완화시켜 전반적인 통행 편익이 증가 될 수 있음

∙ 청주국제공항의 노선 증설시 세종특별시 뿐만 아니라 대전권, 충북권의 항공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만큼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와 연계되는 본 고속화도로는 청주국제공항의 접근성을 향상시켜 항공여객의 이용증대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