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이름} 상세보기 - 제목, 연구진/발행처, 발행인, 보고서번호, 조회수, 내용, 첨부파일 정보 제공
[36-2] 05_ 충북 근현대 문화유산 정책의 전개방향과 지속가능성 새글핫이슈
연구진/발행처 : 안대환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5.08.31. 보고서번호 : 36-02-05 조회수 : 1


 [초록]


  국가유산청에서는 2024년 ‘국가유산 기본법’이 시행되었으며 그에 따라 ‘근현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이 시행되었다. 충청북도에서는 문화유산과가 신설되고 근현대문화유산에 대한 정책에 대한 방향성을 찾고 있다. 이 연구는 ‘근현대문화유산법’에 따른 근현대 문화유산의 특징을 찾고 관련 정책의 흐름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충청북도 근현대 문화유산 정책의 향후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근현대문화유산은 첫째, 개항기에서 현재까지의 문화유산으로서 동시대의 유산으로서 독특한 시대구분의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둘째, 전통성, 지역성, 시대성 등을 보여주는 다양한 유형을 가지고 있다. 셋째로는 현재를 사는 사람들에게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고 그러므로 가치판단의 어려움을 주는 대상으로서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는 각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 충청북도에서 관련 정책을 펼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로 포용성 있고 수정가능한 정책 방향성 설정의 선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조례를 최적화하고 초기 방향성을 제시해야한다. 두 번째로는 많은 사람들과의 공감대 형성이다. 세 번째로는 문화유산 전승에 대한 노력을 기울여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네번째로는 기초조사와 기초연구를 충실히 수행해야한다. 이처럼 본 연구는 최근 시행된 ‘근현대문화유산법’을 충청북도의 정책에 적용하고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