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이름} 상세보기 - 제목, 연구진/발행처, 발행인, 보고서번호, 조회수, 내용, 첨부파일 정보 제공
[35-1] 2.시간대별 통행정보를 고려한 장래 AAM 수요예측 새글핫이슈
연구진/발행처 : 김규혁, 이재홍, 김나연, 홍성조, 송태진 / 충북연구원 발행일 : 2024.05.31. 보고서번호 : 35-01-02 조회수 : 115


 [초록]


  AAM (Advanced Air Mobility)은 도로중심의 교통체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러 선진국들은 AAM 도입 및 상용화를 위한 운영전략, 인프라 구축 설계지침 수립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적절한 AAM 도입전략 및 설계지침의 수립은 장래 AAM 이용수요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AAM 수요는 버티포트의 지리적 위치, 개별 버티포트의 규모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추정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실현 가능한 AAM 도입 전략의 개발을 위한 AAM 수요추정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론은 1) AAM 도입 수준에 따른 시간적 범위 설정, 2) 개별 버티포트의 영향권 설정, 3) 모바일 데이터 기반 시간당 수요추정 등의 3개 단계로 진행된다. AAM 도입 수준에 따른 시간적 범위는 도입기, 성장기, 성숙기 등 세 가지 단계로 분류되며, 각 시간적 범위에 따른 수요를 추정했다. 개별 버티포트의 영향권은 버티포트로부터의 차량 통행시간에 따라 낙관적 영향권과 비관적 영향권으로 분류된다. 마지막으로 가구통행조사 자료로부터 제공되는 연간 평균 OD (Origin-Destination) 행렬에 모바일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시간당 OD 프로파일을 융합하여 AAM의 시간당 수요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근 도시, 특히 대도시를 중심으로 AAM의 수요가 높음을 보여준다. 단거리 AAM 수요는 주로 출퇴근 시간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지역별 AAM 인프라 및 운영전략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