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비사업 및 신규사업 아이템 발굴, 도 현안과제 해결방안 모색 등을 위한 연구과제 입니다. 게시물 검색 등록일순 조회수순 제목연구진 검색 총 108건의 게시물이 있습니다.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2016 게시물 목록 [2023기획-01]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에 대한 고찰 관련키워드 걷기보행거리보행안전보행환경보행전용 연구진 : 변혜선, 정용일, 임기현, 오재만, 홍병곤, 이승희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676 요약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 원도심의 열악한 보행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걷기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걷기가 가지는 다양한 의미를 검토하였다. 현대사회에서는 걷기가 더 이상 이동수단이 아닌, 사색, 산책, 운동, 참여, 여행 등의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걷고 싶은 거리 조성과 관련된 법과 제도를 살펴보았으며, 국내의 주요 사례를 고찰하였다. 걷고 싶은 거리는 반드시 차량이 배제되는 형태가 아닌, 차량과 함께 공존하면서 조성될 수 있는 기법이 다양하다. 보차혼용방식으로 일방통행, 주차 등과 병행하면서 이루어진다. 특히, 지방도시에서는 대중교통이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자동차 이용이 많은 편으로, 주차문제는 걷고싶은 거리에서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에서는 보행로 확보, 횡단보도 설치 등 단순히 하드웨어적 접근 이외에, 주민들과의 소통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상점가의 경우, 주민들의 반발로 인해 사업이 진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시재생사업과 농촌중심지활성화 사업 등에서 추진하는 주민교육, 워크샵, 선진지 견학 등을 통해 주민들의 이해를 얻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 원도심의 일정구간을 대상으로 걷고싶은 거리 대안을 제시하였다. 각 구간별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보행교의 경관개선, 대중교통지구, 일방통행으로 전환, 보차혼용도로의 적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안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련 사업을 활용함과 동시에,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 유도, 그리고 지역 자산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도 함께 검토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3제2장 ‘걷기’에 대한 고찰 - 151. 걷기의 기본 기능 - 152. 현대사회와 다양한 걷기 - 163. 걷기와 걷고 싶은 거리 - 24제3장 관련제도 및 적용방식 - 271. 관련법 - 272. 활용가능한 사업들 - 39제4장 적용방식별 국내 사례 - 611. 대중교통전용지구 - 612. 보행전용 및 보차혼용방식 - 773. 종합 시사점 - 90제5장 시범적용 제안 - 931. 제안 개요 - 932. 구간별 보행환경 개선 방안 - 963. 추진방안 - 108참고문헌 - 112Appendix - 1161. ABSTRACT - 1172. Table of Contents - 119 다운로드 [2023기획-07] 한강유역 수리권 쟁점과 갈등조정 방안 공동연구 -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관련키워드 수리권물관리정책한강유역수자원수리권갈등조정 연구진 : 배명순, 김미경, 김문숙, 전만식, 송미영, 이기영, 김성우, 홍미진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748 요약 기후위기로 물의 지역적 편중, 물 부족 문제가 대두되면서, 물관리의 효율성과 위기 대응성이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물관리기본법 시행으로 통합물관리 추진기반을 마련하였고, 이·치수 중심의 물관리에서 수생태까지 고려하며 자연과 인간의 공생과 균형점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합리적이고 공평한 물 배분으로 물복지 격차 해소도 추구하고 있다. 그러나 통합물관리 관점에서 물 배분 및 비용부담 관련 수리권의 기본원칙이 부재한 상황에서 국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및 협력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기본법 제정, 지방자치제 시행 30년, 분권 및 유역 중심의 거버넌스 강조 등 전환점을 맞이하는 시점에서 한강수계 수리권과 관련한 제반 사항에 대한 갈등과 쟁점 사항들을 되짚어보았다. 이를 위해 한강수계 시도 연구원이 공동연구를 통해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국내외 수리권과 관련 법제도, 시도별 물 이용 쟁점 등을 분석하고, 수리권 개념 및 기본원칙을 재정립하고 이의 제도적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수리권은 민법, 하천법, 댐건설관리법에서 관행수리권, 허가수리권, 댐용수사용권 등으로 분절되어있어 상호 간 충돌과 법적 분쟁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물관리기본법에도 수리권의 기본원칙, 개념 등이 담기지 못하였고 국가물관리기본계획에서는 기본 철학만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앙과 광역, 광역과 지방정부 간 갈등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심화되곤 했다. 현실적으로는 수자원공사가 수리권 관련 권한과 조정에 주도적으로 관여하고 있지만, 법적 권한은 한강홍수통제소가 관리하도록 되어있으며 이 문제 해결에는 수리권 관련 법·제도 정비가 필요하다는 연구들이 있어 왔다.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수리권 관련 현행 법·제도의 원칙과 규정의 재정립, 댐사용권 개선, 유역공동체 중심의 수자원 이용·관리 기반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한강유역 내에서도 수리권의 개념 및 기본원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물 배분·이용 관점에서 법적 근거와 이행 상충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노력은 미흡했다. 그 과정에서 지역별, 용도별 물 이용과 비용의 배분 과정에서의 갈등이 반복되어왔다. 공통된 주요 쟁점으로는 수리권 개념 통합 미흡으로 개별 법제에 따른 수리권의 독점적, 임의적 운용에 의한 유역 내 물순환체계 훼손, 물 배분 및 조정 시 일관성의 부족, 해당 지차체 의견수렴 미흡, 허가수리권 제도 및 규정 이행 미흡에 따른 물관리 효율성 한계로 나타났다. 주요 쟁점 중 하나는 현행 댐건설관리법의 댐용수사용권의 운용 문제로, 댐용수사용권한을 가진 수자원공사가 다목적댐 용수에 대해 독점적 권한을 가지면서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사용권이 제한되고 기존의 하천수가 댐용수로 전환되면서 비용부담 원칙에 대한 갈등도 수자원공사와 광역 시도간에 반복되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상류인 강원과 충북지역에는 댐 건설로 인해 풍부한 수자원을 확보하고 있으나 물의 배분·이용에 대한 권한은 제한되어 수리권 관련 형평성 문제를 제기해왔다. 수도권은 인구 및 산업 집중으로 물의 이용의 지역적 편중이 지속되어왔고, 현재도 용인의 대규모 반도체 공장의 물 배분 문제가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으나 구체적 협의는 중앙정부와 관련 공공기관 간에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하천법과 댐건설관리법에는 중앙정부가 광역/기초지자체와 협의 조정해야 할 절차가 명시되지 않아 중앙정부가 임의적으로 물 이용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기존 하천법에 따른 하천수사용권도 관련 지침의 개정과 관련 이행과정이 시도되는 과정이라 명시된 허가량과 수요량, 실제 사용량 간의 불일치가 여전하고 허가량과 불일치하는 사용료 납부 등이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이러한 문제는 한강유역 내에서 수요량 대비 허가량이 과다한 지역과 부족한 지역을 발생시키고, 물관리가 효율적, 체계적이지 못한 결과를 낳게 된다. 수리권 관련 기존 제도 및 시도별 물이용 쟁점 관련한 문제점을 극복하려면 관련 법제도 정비와 보완이 시급하다. 국가차원에서 민법과 하천법, 댐건설관리법 등에서 서로 상충되는 개념을 통합 정비하고, 그 내용에 물 이용과 배분 관련한 조정기준, 물 사용 용도별 우선순위, 미래 물 사용자와 환경적 고려와 수생태까지 포괄하는 수리권 개념의 도입이 필요하다. 또한, 물의 배분·이용 과정에서 계획부터 최종 의사결정까지 유역을 토대로 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하고 유역 물관리의 핵심 주체인 유역위원회, 광역/기초지자체에 대한 참여와 소통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가물관리위원회와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수리권의 공평하고 공익적 특성을 보장하고 배분할 수 있도록 권한과 재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관리기본법 제15조(물수요관리 등) 및 제11조(유역별 관리)에 물 배분 원칙을 상세 추가하고 수리권을 하천법의 하천수사용권 중심으로 통합하며 사용량 규모에 따라 하천수 사용량 허가 및 재배분 시 (가칭)하천수배분조정위윈회를 통해 협의·조정하고 최종 결정은 유역물관리위원회를 거쳐 필요시 국가물관리위원회와 공동으로 승인하는 절차 등을 제안하였다. 수리권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으로는 물관리기본법, 댐건설관리법 및 하천법 개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물관리기본법에는 취수부담금 부과 및 유역관리기금 설치, 국가 및 유역물관리위원회의 물 배분 역할 내용도 제안하였다. 목차 제1장 서론 -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제2장 우리나라의 수리권과 물관리 정책 - 71. 수리권의 개념 및 법적 성격 - 72. 국외 수리권 제도 및 사례 - 653. 국내 수리권 갈등 사례 및 조정 시도 - 97제3장 한강유역 수자원 이용현황 및 쟁점 - 1131. 수자원개발의 역사 - 1132. 수자원 이용현황 - 1163. 한강수계관리기금 동향 및 시사점 - 1314. 시도별 물 이용 쟁점 및 시사점 - 1405. 수리권 관련 설문조사 - 179제4장 한강유역의 수리권 갈등조정 및 제도개선 방안 - 1891. 수리권 갈등조정 방향 - 1892. 제도개선 방안 - 199참고문헌 - 211Abstract - 217 다운로드 [2023기획-05] 충북 그린 바이오 산업 육성전략 방안 관련키워드 그린바이오그린바이오동향그린바이오육성방안 연구진 : 허진아, 이유환, 김미옥, 양서우, 이소영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819 요약 ○ 농식품분야 신성장 동력인 그린바이오는 농업생명자원에 생명공학기술을 적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분야로 최근 인구증가,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식량부족의 대안으로 부각됨 - 글로벌 그린바이오 시장은 ’20년 약 1조 2천억 달러 규모로 ’30년까지 2배 이상 성장 가능성 전망 - 국내 그린바이오 시장은 ’20년 5조 4,000억 원으로 세계 시장 대비 0.3% 수준이며 ’30년에는 12.5조 원 규모의 시장 형성 예상 ○ 그린바이오는 식량, 작물, 축산, 식품, 천연, 바이오 소재로 구분하며, 핵심기술로는 육종기술,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기술, 동물용 의약품 기술, 대체육 기술 등이 있음 ○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에서는 지속가능한 경제 실현을 위해 레드·그린·화이트바이오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에 대한 정부투자 확대 ○ 정부는 그린바이오 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20년 9월 “그린바이오 융합형 신산업 육성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산업화의 가속을 위해 ’23년 2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을 통해 3대 추진전략을 제시 -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전략”에서는 6대 분야(종자, 동물용의약품, 미생물, 식품소재, 곤충, 천연물 유래 소재)를 선정하여 산업화 촉진 ○ 충북은 주력산업인 바이오산업의 중점 육성을 통해 바이오관련 전·후방 산업 생태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21년 기준 바이오산업 생산액은 2조 628억 원 규모로 전국 3위 - 대표기업으로는 녹십자, 셀트리온제약, 대웅제약 등이 있으며, 6대 국책기관과 6대 국가바이오메디컬 시설 등 산·학·연·관이 집적된 오송 바이오클러스터 보유 ○ 충북 지역은 그린바이오 벨류체인상 전방 산업인 식료품 제조 중심의 산업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양군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의 주요 업종에 식료품 포함 - 충북의 산업구조를 보면 식료품, 음료,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등의 제조업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그린바이오 관련 전·후방 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 제조기반 및 성장동력 보유 ○ ’20년 기준 충북 그린바이오 중소·벤처기업 수는 79개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기업이 포진하고 있어 그린바이오 기업 Pool 충분히 형성 ○ 국책연구기관, 연구개발 지원센터 등 28개의 바이오 관련 기관이 설립·운영 중으로 그린바이오 소재·원료 발굴, 연구개발 및 제품화 협력, 기술·산업 교류 및 판로개척 지원 협력 수행 가능 ○ 충북지역 소재 대학의 산업 전문인력 양성 및 공급, 특화·전문 기술분야별 R&D 역량 등 가용자원을 적극 활용하면 그린바이오 창업지원 연계·협력 체계 확립 가능 ○ 충북은 산수가 뛰어나고 농업인구가 적지 않아 레드바이오와 같이 특정 지역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기보다는 충북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분야를 선정하여 분산형 클러스터를 육성하는 것이 필요 - 충북 그린바이오 산업 여건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특화 분야(충주(식품), 제천(천연물), 청주(마이크로바이옴, 동물용의약품)) 선정 - 그린바이오산업 컨트롤타워 구축으로 도내에 조성된 바이오헬스산업의 풍부한 물적·인적 인프라를 활용한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이 필요 - 그린바이오 전문인력 공동육성체계를 구축하여 기업현장에 바로 투입 가능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전문교육 훈련 제공 등을 통한 인적역량 강화 - 충북의 주력산업인 바이오헬스산업, 디지털 선도기술과 그린바이오산업의 연계를 통해 관련 기반 시설을 활용하고 지역기업의 성장성 확보로 그린바이오산업 고도화 가능 - 식품, 건강기능식품 분야에 집중되어 있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야를 화장품, 수의학까지 확대하여 R&D 기초부터 전략적인 지원으로 미래시장 선점 필요 ○ 본 연구는 마이크로바이옴, 식품 등 특정분야 외에는 관련 데이터가 적고, 분야별 관련 기업 수 파악이 어려워 분석에 한계가 존재하며, 농·식품 분야의 디지털 전환과 바이오 신기술 융합이 확대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식량안보 및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서는 효율적 지원 방안 마련을 위한 후속 연구 필요 목차 제I장 서론 - 111. 연구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 내용 및 방법 - 15 제II장 국내·외 그린바이오산업 동향 - 171. 그린바이오의 이론적 배경 - 172. 국내·외 그린바이오 정책 동향 - 403. 국내·외 그린바이오 기업 동향 - 594. 지역별 그린바이오 현황 - 66제III장 충북 그린바이오 현황 및 여건 분석 - 711. 충북 그린바이오 현황 - 712. 충북 그린바이오 산업 여건 분석 - 79제IV장 충북 그린바이오 육성방안 및 결론 - 971. 충북 특화 중심의 육성방안 도출 - 972. 연구결과 요약 - 103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과제 - 106참고문헌 - 107Appendix - 1111. ABSTRACT - 113 다운로드 [2023기획-17] 충청북도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실천전략 관련키워드 충북미세먼지미세먼지대응사례미세먼지저감실천 연구진 : 배민기, 함창모, 오상진, 정용일, 허진아, 이소영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230 요약 충청북도는 지형적 영향으로 대기가 정체되어 미세먼지 고농도 지역 중 하나였으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충북도와 각 시군의 총력 대응을 통해 연평균 농도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 하지만, 수치상 미세먼지 농도는 낮아졌지만 실제 도민들의 미세먼지 개선 체감도는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도민들의 일상에서 미세먼지에 노출을 줄일 수 있는 방안, 그간 미세먼지 대응정책이나 사업들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미세먼지 저감 사업 등 도민들의 미세먼지 개선 체감도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미세먼지 대책은 크게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이는 대책과 미세먼지로 인한 도민의 건강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본 과제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을 기반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시도해 볼 만한 사업들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본 과제는 크게 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바람길, 숲 활용 방안, 2) 이동오염원으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전략, 3) 제조업, 에너지부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전략, 4) 생물학적 연소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전략, 5) 과학기술 기반의 미세먼지 저감 전략, 6) 제도적 기반, 광역단위 문제, 도민교육으로 구성되었다. 기상 여건 등 외부 요인 변화에 따라 고농도 발생 가능성이 높지만, 도민들이 미세먼지 걱정 없이 맘껏 숨 쉴 수 있는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 필요히다. 본 과제의 결과는 도민들의 미세먼지 개선 체감도를 높이고 안심 호흡권 확보 및 미세먼지로 인한 충북도민의 건강영향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I. 과제의 개요 - 9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9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1II. 충북의 미세먼지 현황과 대책 - 121. 충북의 미세먼지 현황 - 122. 충북의 미세먼지 대책 - 17III. 미세먼지 대응 사례 고찰과 시사점 - 241. 미세먼지 관련 국토/환경관련 법제 검토 - 242. 국내외 미세먼지 대응 모범정책 및 사업사례 고찰 - 26IV. 충북의 미세먼저 저감 실천전략 - 421.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바람길, 숲 활용 방안 - 422. 이동오염원으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전략 - 613. 제조업, 에너지부문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전략 - 864. 생물학적 연소로 인한 미세먼지 저감 전략 - 955. 과학기술 기반의 미세먼지 저감 전략 - 1186. 제도적 기반, 광역단위 문제, 도민교육 등 - 130참고문헌 - 139Appendix - 143 다운로드 [2023기획-03] 충북 문화기반시설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연구 관련키워드 공연시설전시시설예술공연전시시설지원정책 연구진 : 임기현, 정지현, 변혜선, 김미경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097 요약 전반적인 생활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 추구 현상, 노년층의 급격한 증가 및 퇴직 후 삶을 보다 의미 있게 보내게 하는 수단으로서의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는 점차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또한, 100세 시대를 맞아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이의 주요 내용도 문화예술과 관련된 것이 될 것이다. 문화예술의 가치가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지만, 충북지역 문화예술 향유 및 예술인의 창작활동과 관련된 지표는 충북의 다른 영역 지표와는 달리 하위권에 위치해 있다. 문화예술 활동에서 창작하는 예술인과 향유하는 주민들이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문화기반시설이 갖춰져야 하고, 그 시설이 제대로 운영되어야 한다. 최근 사회문제가 되는 인구 감소(지역 소멸)와 문화환경 기반 시설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는 사실 역시 각종 보고서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주민의 정주 여건 개선을 위해서도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점검과 보완은 필요하다. 무엇보다 한 지역의 건강한 문화생활 생태계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문화기반시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 기반 시설은 작품창작을 하는 예술인의 활동과도 관련이 있고, 주민의 문화 향유권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우선, 문화예술 활동 중에서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는 공연과 전시 분야의 기반 시설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건립과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고민해 보고자 했다. 건립의 부분에서는 우선, 기존 시설의 정확한 실태 파악, 시설 이용자들의 충분한 의견수렴에서 계획될 필요가 있다. 충북지역은 청주와 비청주권의 문화 격차가 심하며 공연 및 전시시설의 배치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시각, 미술 분야의 기반 시설은 그 격차가 더욱 크다. 충북 도내 활동 예술인의 분야별 분포를 보면, 충주지역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에서 미술인 수가 가장 많다. 따라서 이러한 문화 소외 지역과 지역 예술환경의 현실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그 지역 특성에 맞는 기반 시설이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운영의 측면에서는, 각 지역의 공공공연장을 대표하는 충북 도내 12개 문예회관의 경우 100% 지자체의 직영 형태로 운영된다. 이에 비해 전국적으로는, 지자체의 직영 형태는 50%를 조금 상회하고 있다. 직영 이외 공공기관 위탁 형태가 43% 이상인데, 그 주체는 대부분 문화재단이며, 그 밖에 공기업과 사단법인도 포함되어 있다. 충북도 그 운영 주체를, 문화예술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운영 주체로 다원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공연시설과 전시시설에서 근무하는 인력, 즉 총원 및 전문인력 등에서 충북은 다른 지역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는 사실도 확인이 된다. 특히 관객의 눈높이에 맞는 수준을 갖춘 공연 및 전시가 되기 위해서는 무대, 공연, 홍보 /전시, 학예사(큐레이터) 등의 전문인력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의 이번 조사 결과 도내 예술인이 실제로 활동 공간으로 삼고 있는 공연 및 전시 공간은 실내 공연시설 116개, 야외 공연시설 86개, 전시시설 113개, 총 316개이며, 이 중 76%에 해당하는 239개 시설이 대관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기존의 등록 시설 중심으로 파악된 시설 수와는 크게 차이가 난다. 추가적인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더 많은 시설을 행정 관리의 영역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 이러한 공연 및 전시시설에 관한 구체적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공연 및 전시 활동의 성수기에는 공간 확보를 어렵게 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의 공연시설과 전시시설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시·군 및 도 단위의 플랫폼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각 시설 정보에 대한 최소한의 공통 매뉴얼(위치, 규모, 장치, 장비, 대관 여부, 대관료 등) 만들어 시설에 대한 이해도와 접근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지역의 건강한 문화예술 생태계 구축은 지역민 삶의 질, 인구의 유입 및 유출과도 직결되는 문제다. 문화예술 분야는 고령화 시대를 맞아 더욱 중요성을 더해갈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예술인(창작자)과 향유층이 문화예술을 매개로 소통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의 합리적인 건립과 운영이 반드시 요구된다. 문화 관련 기반 시설과 관련된 정책이 각종 정책의 후 순위가 되어서는 안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목차 제Ⅰ장 서론 - 131. 연구 배경 및 목적 - 132. 연구 범위 및 방법 - 21제Ⅱ장 공연・전시시설의 개념 및 지원 정책 - 231. 공연 및 전시시설의 개념 - 232. 중앙 및 지방 정부의 관련 지원 정책 - 27제Ⅲ장 각종 지표를 통해 본 도내 공연 및 전시시설 - 431. ‘전국 문화기반시설 총람’을 통해 본 충북의 미술관과 공연장 - 432. 충북의 등록 미술관과 공연장 - 57제 Ⅳ장 충북 도내 공연 및 전시시설 현황 - 641. 조사의 개요 - 642. 청주 - 653. 충북의 북부권 - 754. 중부권 - 875. 남부권 - 1006. 충북의 공연 및 전시시설 분포 - 109제Ⅴ장 공연 및 전시시설에 관한 예술인의 의견과 사례 - 1201. 현지 예술인의 의견 - 1202. 건립 및 운영에 관한 국내외 사례 - 132제Ⅵ장 결론 및 공연 및 전시시설의 합리적 건립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제언 - 1361. 결론 - 1362. 합리적 건립 및 운영 활성화를 위한 제언 - 138참고문헌 - 146Appendix - 147 다운로드 [2023기획-09] 충북 디지털 전환 대응전략_조진희 관련키워드 디지털디지털전환디지털전환현황디지털전환대응 연구진 : 조진희, 최승호, 홍성호, 남윤명, 김미옥, 허진아, 허선영, 배진원, 이상민, 김광주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201 요약 디지털 전환은 인류가 직면한 사회문제에 디지털 기술을 우리 사회 모든 영역에 적용하여, 가치를 부여하며, 근본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 또는 그에 따른 결과를 의미한다. 디지털 전환은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모든 분야를 아우를 수 있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산업 및 도시 등 특정에서 빠르게 전개되고 있어 특정 영역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산업 분야에서는 산업 디지털 전환을 산업 전 과정에 빅데이터, AI, 5G 등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산업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으로 협의의 개념으로 정의된다. 2016년 1월에 열린 스위스 다보스포럼 이후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된 이후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양상은 도시, 산업, 복지, 관광, 의료 등 사회 전 분야에서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중심의 새로운 전환의 시대에 대응하기 위한 충북의 디지털 역량진단 및 분야별 대응 전략 도출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일반론적 관점의 디지털 전환 개념을 고찰하고, 최근 제시되고 있는 미래 디지털 전환의 양상과 국내외 디지털 전환 관련 주요 정책을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전환의 국내 및 지역 차원의 적용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까지 이루어진 분야별 디지털 전환 선도사례의 고찰을 통해 충북의 디지털 전환 잠재력과 전환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충북 디지털 전환의 분야별 시사점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전환 관련 국내외 동향 및 충북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도시, 산업, 농업, 복지, 인력 분야의 디지털 전환 기본방향과 핵심인프라 구축 그리고 분야별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빠르게 진행되는 디지털 전환 대응을 위해 충북은 스마트도시 모델 확산을 위한 도시성장 단계별 스마트도시 서비스 공급, 지역 디지털 경쟁력 강화 및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SW융합플랫폼 및 융합형클러스터 확산, AI 및 빅데이터 기반의 디지털·제약바이오의 융복합 가속,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한 디지털 기술 보급, 농업 분야 사용자의 디지털 활용 기술 역량 강화, 디지털 기술 수용성 기반의 디지털 포용 정책 확대, 디지털 인재의 성장과 정착 지원 등에 대한 대비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 충북 디지털 전환 지원 통합거점 육성, 선도적 디지털 전환 거점 인프라 구축, 지역화된 선도프로젝트 발굴, 취약계층 대상 디지털 복지 확대, 디지털 맞춤 인재 양성체계를 추진전략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도시, 산업, 농촌, 복지, 인재 분야별 선도 인프라 및 세부 대응전략을 도출하였다. 목차 제I장 서론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143. 연구수행체계 - 15제Ⅱ장 디지털 전환 개념 및 동향 - 161. 디지털 전환 개념 및 전망 - 162. 국내·외 디지털 전환 정책 동향 - 273. 국내·외 디지털 전환 선도사례 - 68제Ⅲ장 충북 디지털 전환 현황 및 여건 진단 - 941. 충북 디지털 전환 잠재력 - 942. 충북 분야별 디지털 전환 양상 - 1043. 종합진단 및 시사점 - 122제Ⅳ장 충북 디지털 전환 대응 전략 - 1231. 기본방향 - 1232. 선도 인프라 구축 - 1283. 분야별 대응전략 - 130제Ⅴ장 정책제언 - 146참고문헌 - 151Appendix - 153 다운로드 [2023기획-12] 기후위기 적응 고도화를 위한 전략 수립 관련키워드 기후위기기후위기적응정책변화기후변화시나리오기후위기적응고도화 연구진 : 배민기, 최은희, 이소영, 홍제우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284 요약 - 기후위기 적응의 중요성에 비해 현재 기후위기 적응정책·사업은 탄소중립 정책의 구성요소로서 여러 세부사업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음 - 기후위기 적응은 생존의 문제로 미래 기후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비전과 목표, 그에 따른 세부 시행계획 추진이 지자체가 가지는 위험, 취약성, 리스크 특성을 감안하여 수립·추진되어야 함 - 국내외적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기후위기 적응 정책 트렌드 및 새롭게 주목받는 개념들을 파악하고 실제로 어떻게 기후위기 정책과 사업에 접목될 수 있는지 모색해볼 필요가 있음 - 본 과제의 목적은 기후위기 적응, 과연 어떻게 할 것인가? 에 대한 해답을 모색하는데 있음. 이를 위해, 2장에서는 기후위기 적응의 개념, 기후위기 취약성 및 리스크평가, 기후위기 적응의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음. 3장에서는 IPCC 핵심내용의 변화, 국외 선진국과 기관에서 추진하고 있는 기후위기 적응정책 변화 및 새롭게 제기되는 이슈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4장에서는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해 고찰하고 기후위기 시나리오(SSP 8.5)를 기반으로 충북의 기후요소 변화, 극한기후지수, 기후변화 영향 등에 대해 분석하였음. 5장에서는 기후위기 적응 고도화 방안을 1) 기후위기 취약계층과 취약공간 평가방법 개선, 2)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강화: 거버넌스、3) 지자체 기후위기 대응 매뉴얼 개선: 폭염, 4) 도시 회복력을 고려한 기후위기 대응을 주제로 모색하였음 - 본 과제를 통해 현재 기후위기 적응을 둘러싼 다양한 국내외 주요 정책 이슈들에 대해 고찰하고 현실에 접목방안을 모색함으로서 실효적이고 체감도 높은 기후위기 적응정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함 목차 I. 서론 - 91. 과제의 필요성 - 92. 과제의 목적 - 15II. 기후위기 적응의 개념과 내용 - 161. 기후위기 적응의 개요 - 162. 기후위기 취약성 및 리스크 - 183. 기후위기 적응의 사회경제적 영향 - 27III. 기후위기 적응 정책 변화 고찰 - 341. IPCC 핵심내용의 변화 - 342. 국외 기후위기 적응 정책 및 계획 동향 - 423. 국내 기후위기 적응 정책 및 계획 동향 - 524. 시사점 - 62IV. 충북의 기후변화 시나리오 분석 - 641.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적응 - 642. 충북의 기후위기 시나리오 분석 - 74V. 기후위기 적응 고도화 방안 - 1061. 기후위기 취약계층과 취약공간 평가방법 개선 - 1062. 기후위기 취약계층 지원 강화 : 민관협업 - 1243. 지자체 기후위기 대응 매뉴얼 개선 : 폭염 중심 - 1414. 도시 회복력을 고려한 기후위기 대응 - 146참고문헌 - 139Appendix - 143 다운로드 [2023기획-15] 시내외 버스환승센터를 중심으로 한 농촌 대중교통망 개선 관련키워드 농어촌대중교통교통체계대중교통환승체계 연구진 : 오상진, 홍성호, 정용일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120 요약 본 연구는 대중교통 공급이 열악한 농촌지역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시외-시내 연계로 대중교통을 활성화할 수 있는 환승센터 구축 운영방안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환승센터 구축방안 보다는 농촌지역 벽지노선과 같이 비효율적인 대중교통 운영 문제와 현재 신교통모델로 공급되고 있는 농촌형 교통모델, 버스형 DRT 등 농촌지역 교통서비스 공급방안의 설정, 각 수단들의 기능을 정립하고, 농촌지역 공공교통수단 정립을 위한 수단의 하나로 환승체계 도입을 검토하였다. 우선 군지역 일반현황, 교통체계 현황, 대중교통 운영현황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농촌지역 대중교통체계 개편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한 농촌형 대중교통체계의 확립이 필요하며 지역 맞춤형 교통서비스 공급 필요성, 벽지노선 제도 개편의 필요성, 간선-지선 노선체계와 환승체계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농촌지역 대중교통체계 개편방향으로 간선-지선체계의 확립, 지선교통서비스의 다양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간선-지선체계의 확립은 기존 읍~면~마을 연계노선을 읍~면간 간선과 면~마을간 지선으로 분리하며, 간선서비스의 운행 횟수를 증가시켜 지선과의 환승시 대기시간을 줄여주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지선교통서비스의 다양화 방안으로 면~마을간 지선체계는 청주시에서 운영하는 버스형 DRT, 벽지노선을 운행하되 수요발생시 주변 마을을 거쳐가는 탄력적 노선운행, 공공형택시를 이용한 다양한 지선 교통서비스 공급방향을 제시하였다. 농어촌지역 버스환승체계 구축방향으로 시외-시내 환승이 일어나는 읍소재지와 간선-지선간 환승이 발생하는 면소재지의 환승체계 개념을 소개하였다. 현재도 대부분 시외교통거점을 이용해 농어촌버스 기종점을 운영하고 있어 시외-시내간 환승은 원활한 편이나, 일부 군지역은 별도의 농어촌버스 기종점을 운영중으로 이에 대한 통합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간선-지선간 환승이 발생하는 면소재지의 환승거점화 방안을 신규로 제안하였는데, 면소재지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지선교통과 읍~면간 간선노선과의 환승기능, 생활중심기능을 함께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정책제안으로 농촌지역에 대한 개별적인 교통서비스 공급의 체계화 필요성, 지속가능한 농촌지역 교통서비스 공급방안 필요성, 농촌 교통서비스 제공을 위한 민간-공공 기능분담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제1장 연구개요 - 111. 연구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123. 연구의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14제2장 군지역 일반현황 및 교통체계 현황 - 151. 군지역 일반현황 - 152. 군지역 통행특성 분석 - 253. 군지역 교통체계 현황 - 35제3장 군지역 대중교통 운영현황 분석 - 461. 군지역 대중교통 현황 - 462. 대중교통 환승체계 현황 - 573. 벽지노선 운영현황 - 724. 충북 농촌 대중교통 시사점 - 76제4장 농촌지역 대중교통 체계 개편방향 - 821. 농촌지역 대중교통체계 개편방향 - 822. 농어촌지역 버스환승체계 구축 방향 - 89제5장 결론 및 정책제안 - 941. 결론 - 942. 정책제안 - 96참고문헌 - 97Appendix - 991. ABSTRACT - 101 다운로드 [2023기획-14]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양성과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관련키워드 농업소득증가농업인육성고소득농업인육성미래첨단농업인농산업발전 연구진 : 우장명, 정진섭, 양인용, 양서우, 김미옥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117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의 정책 및 국내·외 환경 등에 관한 문헌 조사, 인터뷰 및 선행 연구 등을 분석하여 충북 농업이 존속하는데 필요충분조건인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육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과 지원 제도를 모색하는 것이다. 농업정책의 목표가 지향하는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전반을 아우르는 거시적 정책과 기술성과 객관성에 기초한 정책 설계와 추진으로 농업정책의 합리성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농업인의 수요가 반영된 농업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셋째, 농업 자원의 특성을 반영하여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이란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 실정에 맞는 정책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넷째, 전통적인 농업의 역할 이외에 새롭게 국민들이 요구하는, 즉 환경문제와 치유농업 등과 같은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농촌이 농업인만 거주하는 거주공간이 아니라 농촌 주민 또는 농촌에서의 삶을 향유하고자 하는 귀촌인 등이 모두 이용하는 복합적인 터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대응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농가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되면서 질적으로 양적으로 농업 노동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기후가 바뀌면서 농업 생산에서도 위험이 증대되고 있어 농업과 관련한 여러 현상과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각종 현안과 과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농업의 디지털화’, ‘스마트 농업’ 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농업의 첨단산업화로, ICT와 AI의 연계, 드론의 사용 등과 같이 최신 장비와 데이터와 센서가 결합하는 형태로 농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고소득 농업을 달성하려면 ‘농업 디지털로의 전환’이 필수적인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농업 생산·유통·소비 등 모든 과정에서 자원과 프로세스를 표준화·모듈화하여 농업의 디지털화를 추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생산 현장에서 문제가 발생하면 각기 다른 주변 환경과 주관적 요소(생산시설 형태, 구성요소, 재배자의 기술 수준 등)에 따라, 농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한다. 농업의 디지털 전환은 스마트 농업 등 이미 우리 곁에 와 있지만 아직까지 많은 현장에 전파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는 기술과 서비스를 도입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농민의 마인드와 역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농업에 대한 비전을 전환시키는 ‘교육’이 필수이다. 모든 농민이 디지털 기술과 트렌드에 관심을 갖고 유연하게 소통하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을 하는, ‘데이터로 농사짓는 문화’가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농업문화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농업 기술자가 아니라 디지털 전환의 주체로서 ‘가치관과 철학을 겸비한 농업인 또는 청년농’이 필요하다. 충청북도 미래 첨단농업인 육성과 경쟁력 강화는 청년농을 육성하여 후계농업인을 양성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농업을 확대해 자연재해와 노동력 감소 등에 대응, 농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후계농업인을 대상으로 하여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여 후계자의 창업 의욕을 높인다. 농업인의 연령대에 따른 경영능력 강화교육, 주기적인 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경영전략 및 경영기술에 대한 교육을 지원한다. 전국의 농가 인구는 감소하지만,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 속도는 빨라지고 있어, 귀농·귀촌 정책도 단순한 ‘양적 확대'보다 ‘안정적인 정착 지원'으로 바뀌는 추세에 있다. 특히 농업인 육성은 농촌이 아닌 도시에서도 할 수 있으며, 예비 귀농인을 위한 도시 교외의 실습농장도 필요하다.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스마트팜 등 농업 시설에서 재배하는 시설재배 위주의 기술 개발 및 투자가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나날이 중요해지는 식량 주권의 확보를 위해서도 스마트팜은 합리적인 대안이며, 성장 여력도 충분한 만큼 이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육성 정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농업인 육성에서는 MZ세대의 영입, "교육, 자금 지원, 생산 활동 지원" 등의 프로그램 활용, "단계별 사업 체계화" 등이 필요하다. 둘째, 후계농은 다양한 지원 제도를 마련하여 후계자의 창업 의욕을 높여 농업인의 연령대에 따른 경영능력 강화교육, 주기적인 상담 및 멘토링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경영전략 및 경영기술에 대한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기존 농업인에게는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경영 능력을 강화히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일반 농업인은 귀농인을 전문농업인으로 육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다섯째, 미래 첨단 농업인은 '스마트 기술과 농업 인공지능(AI) 활용 등에 대한 지원' 등이 요구된다. 한편, 스마트팜은 시설원예, 노지농업, 축산 등의 분야에 속하는 농업 경영체를 중심으로 이뤄져 있다. 특히, 현재의 농업밸류체인은 ‘생산’ 단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러나 실질적인 농업의 밸류체인은 작물의 재배가 이뤄지는 생산 단계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고, 작물의 품종 개발이 이루어지는 작물 생산의 사전 단계 즉, 종자산업에서부터 시작한다고 할 수 있다.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품종 개발 단계에서부터 첨단기술의 접목이 이뤄져야 한다. 종자는 농산물의 생산, 생산 이후의 가공, 유통, 저장 등의 방향까지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우리나라 농업의 대내외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농업의 진정한 스마트화를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육종-채종-육묘–생육-수확-유통-소비에 이르는 농업 전후방 산업에 걸쳐 데이터가 축적되어야 한다. 또한 각 단계별로 축적된 데이터가 작물의 생육환경과 재배환경을 관리하는 데 유연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이력 추적 기능(Traceability)을 확보하는 것이 필수이다. 즉, 농업 생태계 전반에 걸친 스마트 농업화가 절실하다. 기존에 생산·유통·소비로 논의되는 농업의 밸류체인을 더욱 확장시키는 밸류체인을 구상할 때이다. 스마트 농업의 밸류체인도 ‘농사의 사전 단계(Pre-Production)’에서 시작하는 것으로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향후 농업 생태계 전반으로 밸류체인을 확장할 때 ‘농업의 종합적 스마트화’가 실현될 것이다. 지속가능한 농업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농업이 이를 실현해 나갈 방안으로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성공적인 스마트 농업 실현은 생산 이전 단계인 종자 단계부터 생산, 유통, 소비에 이르는 전 단계에서 기술의 융복합이 이뤄질 때 가능하다. 스마트 농업을 통한 농업 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꾀하기 위해 농업 밸류체인 내 타 기업과의 적극적 협력을 통해 4차 산업혁명 및 ICT 기술, 생명공학(BT), 나노기술(NT), 환경기술(ET), 우주기술(ST), 문화기술(CT) 등 융복합 기술 기반의 농산물 고부가가치화를 꾀하는 동시에 농업 혁신을 확산시켜 나가야 한다. 또한 범부처 차원에서 농업 전후방산업 간의 협력적 접근을 강화하여 공공 연구개발 보유자원의 효과적 활용에 힘써야 한다. 스마트 농업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능동적·주도적인 혁신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세계 각국에서도 정부와 기업들 모두 농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인식하고 경쟁 우위 선점에 나서고 있다. 점차 심화되고 있는 세계 스마트농업의 경쟁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사업개발 및 정책, 그리고 적극적 비즈니스 등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육성 및 농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미래 첨단 농업인 육성 종합계획 및 로드맵"의 이행이 시급하다. 둘째, 충북의 농업 스마트화가 진전됨에 따라 ‘스마트팜’ 또는 ‘농업의 스마트화’를 도입하는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고려한 ‘새로운 충북형 농업의 벨류체인 혁신’이 요구된다. 목차 제Ⅰ장 서론 - 1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12. 연구의 내용과 방법 - 14제Ⅱ장 농업인 소득 증가를 위한 정책 - 151. 고소득 농업인 육성을 위한 정부 정책 - 152. 정부의 프로젝트 방향과 기후변화 등에 대한 시사점 - 213. 농업정책의 변화 - 22제Ⅲ장 고소득 농업인 육성을 위한 국내·외 환경 - 271. 농식품 산업과 4차산업 융합 동향 - 272. 미래첨단농산업 전망 - 32제Ⅳ장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육성정책 - 431. 국내·외 고소득 농업인 육성정책 - 432. 충청북도 농업소득 증대를 위한 농업인 지원정책 현황 - 453. 고소득 정예농업인 육성을 위한 표준경영 - 46제V장 충청북도 미래첨단농업인 육성 과제 및 경쟁력 강화 방안 - 521. 청년농업인 육성 - 522. 후계농업인 육성 - 553. 기존 농업인 육성 - 554. 일반 귀농인 농업인 육성 - 565. 미래첨단농업인 육성 - 586. 농업인 경영마인드 제고 및 경쟁력강화 - 597. 농촌진흥청 - 60제Ⅵ장 충청북도 고소득 농업인 육성 및 농산업 발전 방안 - 67참고문헌 - 74Appendix - 771. ABSTRACT - 79 다운로드 [2023기획-13] 충청북도 농업의 신산업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관련키워드 농산업식품산업농업기술농업신사업농업신산업스마트농업 연구진 : 우장명, 정원덕, 이교, 이유환, 이소영 발행일 : 2023.12. 조회수 : 1,327 요약 최근 농업은 농가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고령화, 경지면적의 감소, 농업소득의 정체 등으로 힘들고 어려운 상황이며, 주식인 쌀은 자급률을 유지하고 있으나 전체 식량과 곡물 자급률은 2009년 이후 하락하고 있다. 또한 WHO와 FTA로 인한 시장개방의 확대, 기후 변화로 인한 재배 환경 변화 등은 우리나라 농업과 식량 안보를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우리나라 농업은 과학기술을 토대로 발전하였으며 통일벼 개발로 주곡 자급을 달성한 60~70년대의 녹색혁명, 과채류의 연중공급을 가능하게 한 80~90년대의 백색혁명이 있다. 2000년대부터는 농업 관련 산업의 융·복합과 바이오혁명 관련 기술 등을 기반으로 한 농업의 6차산업화로 농업 소득을 증대시키는 등 첨단 과학이 스며든 새로운 행태로 바뀌고 있다. 농정의 중심 이동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한다. 일차적으로 쌀을 비롯한 주요 작물의 생산 증대는 일정부분 목표를 달성하였다고 볼 수 있다. 생산증대로는 농촌 소득증대에 한계가 있고 농촌의 소득원 다양화, 농촌의 소득과 생활수준 향상, 농업인의 인식 변화 등에 영향을 주어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특히 농촌 현장에서는 농업의 6차산업화와 연관된 치유농업 등 융·복합화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다. 전통적 1차산업 형태의 농업에서 유무형 자원을 활용한 2차 제조 및 가공산업으로 전환되거나, 체험, 치유, 관광, 서비스 등 3차산업을 융·복합한 6차산업화가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농업정책의 중점 내용이 농작물 생산증대에서 가공, 유통, 수출 등으로 이동한다. 주요 과제도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한 먹고사는 문제에서 질 좋은 먹거리, 안전한 먹거리, 힐링 먹거리로 이동한다. 농정의 중점 내용이 이동하였다는 것은 농작물 생산증대 중심의 1차산업이 2차, 3차산업으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이 도입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이동을 바탕으로 우리 충청북도 농산업도 4차산업혁명과 융복합시대, 탄소중립농업이라는 큰 시대의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대처한 농업 부문 미래첨단신산업으로, ①바이오+바이오소재, ②종자산업, ③힐링농업, ④6차산업, ⑤반려동물산업, ⑥곤충산업, ⑦고령친화식품산업, ⑧스마트팜과 청년농업으로 충청북도 농업기업과 농업인을 육성하고, 소득을 높이면서, 수요자를 만족시키는 충청북도 농업의 미래첨단산업화 정책의 일환이다. 농생명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은 4차산업혁명 시대의 과학기술기반 경제운영과 상상력, 창의력으로 무장한 창조사회와 맥을 같이한다. ICT·융합, 인공지능, 스마트기반 농장 자동화와 같은 첨단 농법 개발을 통해 농업의 자동화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농·생명산업은 과거의 1차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으로 융·복합되고, 확대되고 있다. 관광, 치유, 신소재, 바이오신약 등 산업간 융·복합과 국가 간 국제협력 농업으로, 나아가 공간적으로 우주농업, 바다농업, 극지농업 등 새로운 형태의 농업으로 영역이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농생명산업은 그동안 축적된 농업과학기술을 토대로 ICT, BT, 문화예술, 힐링 등 다양한 분야와 연계하여 농업+식품+융복합을 통해 미래의 성장산업으로 전환하여 새로운 산업으로 다시 떠오를 것이다. 목차 제Ⅰ장 서론 - 9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92. 연구 범위 및 방향 - 103. 연구 방법 - 10제Ⅱ장 국내외 농산업의 동향 - 111. 세계 식량 위기와 식량안보 - 112. 기후변화와 농가 경영 - 123. 푸드테크의 확산과 영향 - 144. 메가트렌드의 변화와 대응 - 155. 농림축산식품부의 주요 업무 추진 계획(2023) - 186.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발전계획(2023-2027) - 257. 농촌진흥청 관련 사업 - 268. 시사점 - 30제Ⅲ장 농업 관련 유망 신산업 - 311. 4차산업혁명 대응 농업기술 - 312. 농업·농촌 6차 산업화 - 383. 곤충과 농산업 - 414. 치유농업·농촌 - 485. 반려동물산업 - 496. 종자산업 - 537. 고령친화식품산업 - 638. 그린바이오 신산업 정부 정책 - 67제Ⅳ장 충청북도 농업 관련 신사업 계획과 정책 - 731. 충북 농업 관련 계획 - 732. 농업 유망 신산업 - 75제Ⅴ장 충청북도 농업 관련 신산업 육성 과제 - 811. 미래첨단농업·농촌과 고령화 대책 농업정책 - 812. 농업 관련 신산업화 정책과제 - 843. 정책 제언: 스마트농업, 농업의 신산업 전후방 가치사슬 확대 - 87참고문헌 - 90Appendix - 93 다운로드 처음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 다음 10 페이지 끝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