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보기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지난 소식보기
SINCE 2023.01~                                
VOL.23

[2024 연구과제보고서 바로가기 ☞]

 도시재생사업 「뉴:빌리지」를 아시나요? 도시재생사업의 다양한 유형 중 2024년에 도입된 「뉴:빌리지」유형은 노후단독주택지역을 아파트 수준의 공간으로 개선하고자 도입된 사업입니다. 충북에서는 2024년 말 기준으로 총 42개소의 도시재생사업이 완료 또는 진행 중입니다. 충북에 맞는 「뉴:빌리지」 대응 방향의 자세한 내용은 충북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

[ 바로가기 ☞ ]

  

 '식품 사막'이란 신선하고 영양가 있는 식품을 구하기 어려운 지역을 말합니다.
이러한 식품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주민들의 영양 불균형과 건강 문제, 생활 비용 증가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는데요. 특히, 인터넷 활용이 어려운 고령층과 차량을 보유하지 않은 저소득 가구가 주요 피해 계층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충북 지역내 식품 사막 지역은 어디인지 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충북연구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해 보세요!
[ 바로가기 ☞ ]

CRI Now :

2025년 연구직 업무연찬회 개최

 2월 12일, 2025년 상반기 업무연찬회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연찬회에서는 25년도 전략과제 수행 계획과 연구원 사업계획 변경(안) 발표에 이어 건의사항에 대한 열띤 논의로 연구원의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급여 우수리 만원의 행복' 사업 추진

 연구원은 지역사회 나눔 문화 확산 및 연구원 내 기부 문화 활성화에 기여하고 공공기관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기 위해 ‘급여 우수리 만원의 행복’사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본 사업은 참여 직원 급여에서 만원미만 우수리를 자동공제하여 모금액을 적립하고 모금액으로 필요한 기부 물품을 구입하여 연말에 관내 취약계층에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2월부터 충북연구원 임·직원의 자발적인 나눔 참여가 시작 되었습니다.

생명나눔 헌혈 캠페인 동참

 2월 10일, 지역사회의 혈액 보유량 안정화에 기여하고자 2025년 1차 ‘생명 나눔 헌혈 캠페인’에 참여하였습니다. 연구원은 매년 업무공백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헌혈 참여을 권장하고 ‘사랑의 생명 나눔’ 실천에 지속적으로 동참하고 있습니다. 

충북학연구소, 충북 문화유산 답사기 외 2024년 연구성과 공유

 충북학연구소(소장 임기현)에서는 충북의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가치 있는 자료를 발굴하기 위해 매년 연구성과물을 발간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학술지 '충북학' 제26집, 충북 충북인 이야기 4 '충북 문화유산 답사기-청주·진천·괴산·증평', 충북 동제자원 조사연구 3 '단양의 동제' 등 3권을 발간하였습니다.

뉴스속의 CRI

[방송] 식료품 살 곳이 없다...충북 농촌 75% '식품 사막화' (유진아 박사)

충북 지자체 ‘뉴빌리지사업’ 적극 대응해야 (변혜선 박사)

[방송] 충청북도, 통상전담팀 가동…“미국 관세정책 대응” (윤영한 박사)

[방송] 진천 농다리 관광 특수 '총소비 지출 656억' (이유환 박사)

"트럼프發 관세 폭탄, LG엔솔 등 충북 자리한 기업들 영향권" (경제미래연구부)

[영상] 충북도,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 계속 지연…추진 동력 잃나 (홍성호 박사)

[영상] 초고령화 코앞…충북 인구 실태와 전망 (설영훈 박사)

[영상] 진천·단양 '핫플' 등극..충북 관광 과제는? (고영모 박사)

CRI 오피니언

CRI Publication :

대한민국의 중심 충북 균형발전 (제39호)

  

지역정책연구 원고모집

지난 뉴스레터 보기
(28517)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 102-1(문화동 15) 전화 : 043) 220-1107~1108 
수신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