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보기    |    홈페이지 바로가기    |    지난 소식보기
SINCE 2023.01~                                
VOL.19

충북 지방소멸대응기금의 효율적 운용 방안은?
[충북FOCUS-222호] ‘충북 지방소멸대응기금 대응 방안’ - 한승석 연구위원

충북은 인구 감소로 지정된 6개 시군이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지역이 이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충북의 지방소멸대응기금 대응 방안은 투자계획 수립과 사업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 있는데요, 이를 통해 정주 인구 증가와 지역 활력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충북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 바로가기 ☞ ]


* 지방소멸대응기금: 인구 감소와 지역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도입한 중요한 재정 지원 제도

충북 농촌의 빈집 정책은?
[충북FOCUS-223호] ‘충북 농촌 빈집 정책 진단과 향후 개선과제’ - 김선덕 연구위원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전국 농촌 빈집 수는 550,638호로 이중에서 충북 농촌의 빈집 수는 41,678호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방치된 빈집은 주민 안전과 주거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빈집 정비와 활용을 위한 민간 참여 유도, 빈집 정보시스템 구축, 재정지원 확대 등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충북의 농촌 빈집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바로가기 ☞ ]

뉴스속의 CRI

단양팔경 중 3경이 수몰될 위기…날벼락 같은 일 (배명순 박사)

[방송] 충북 인구감소지역 체류 인구, 주민 3.7배 (최용환 박사)

[방송] 충북 관광 만족도·지출액 ‘하위권’ (고영모 박사)

단양포럼 심포지엄 개최... `단양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들여다본다 (정삼철 박사)

[방송] 권역별 인구포럼…저출생 대응 등 논의 외 (함창모 박사)

충북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 '시동' …"청년인구 유입 인구감소·지방소멸 해법"

(이유환 박사)

[방송] 중부내륙 발전안 모색…“특별법 개정 시급” (홍성호 박사)

옥천군의회 의원연구단체, '옥천군 스마트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중간보고회 성료

(김미옥 박사)

CRI 오피니언

CRI Publication :

지역정책연구 제35권 제2호

제8호 시그널 Signal (지역축제 안전사고)

지역정책연구 원고모집

지난 뉴스레터 보기
충북연구원
(28517)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대성로 102-1(문화동 15) 전화 : 043) 220-1107~1108 
수신거부